ㆍ지은이 : 기의호 / ㆍ펴낸 곳 : (주)주택문화사
ㆍ판형 : 248㎜(가로)×250㎜(세로)㎜ / ㆍ쪽수 : 324쪽
ㆍ가격 : 30,000원 / ㆍISBN : 978-89-6603-034-7 (13520)
ㆍ초판 : 2008년 / 전면 개정판 출간일 : 2017년 5월 24일
책 소 개
국내에서는 좀처럼 찾아보기 힘든 ‘전통건축물 내 공간에서의 야생화 조원’을 소개하여 많은 애화인(愛花人)들 사이에 잔잔한 반향을 일으켰던 <야생화 전통조경>의 전면 개정판이 새롭게 발간되었다.
사실 한국의 야생화 조원 현상은 그리 보편적이지 않았다. 근간에 들어 야생화와 자연생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정작 야생화 조경이 잘 다져진 정원을 찾기란 그다지 쉬운 일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한옥 등 전통 건축물에 있어 조원의 대상 또는 요소는 지형, 건물, 화계, 화목, 개울과 지당(池塘), 괴석, 조산(造山), 담장, 조형물 등이 있다. 이러한 요소들 주변에 야생화를 심는다면 여느 현대건축물의 조형미보다 한층 인상 깊은 경관을 얻을 수 있다. 그만큼 전통 건축물이 자아내는 아름다움은 자체로서도 빛이 나지만 야생화가 곁들어질 때 한결 돋보이게 된다. 본서는 이러한 전통건축물에 어울리는 야생화 조원을 예시하고 분석하여 건물의 외부공간을 여하히 조원해 나아갈 방법을 제시한다. 나아가 조원의 요소들을 활용하여 부분적인 조원을 완성하고, 다시 전체적으로 조화로운 장면을 연출할 수 있는 기법과 요령도 수록되었다. 눈을 떼기 힘든 사진과 함께 해박한 지식과 방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저자가 풀어내는 야생화의 매력, 전통건축물에 얽힌 일화를 맛깔스럽게 들려주는 저자의 글귀를 읽는 맛도 색다르다.
저 자ㆍ기의호
경기도 김포에서 태어났다.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영학을 전공하였고, 미국으로 건너가 워싱턴대학교에서도 경영학을 공부하였다. 그와 더불어 오랜 기간 동안 백두대간을 누비며 야생화를 답사하면서 우리 꽃의 아름다움에 천착해 왔다. 깊이 있는 연구와 경험을 토대로 야생화 식물원을 본격적으로 조성해 운영하고 있으며, 야생화 동호회 ‘김포 들꽃풍경’을 이끌면서 답사, 강연, 전시회 등 야생화 홍보와 보급에 매진해왔다. 나아가 김포야생화 영농조합(법인)을 설립하였고, 야생화 조원업체인 '들풍조경'을 통해 주택, 학교, 도로, 공원, 생태공원 생태탐방로 등을 야생화 특수조원 방식으로 가꾸고 있다. 또한 야생화에 내재된 문화적 요소들을 식물원에 접목해 야생화문화원으로 발전시키는 활동도 병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야생화 주택 & 테마조경>, <야생화 조경도감 365> 등이 있다.
출판사 리뷰
정원을 어떻게 하면 격조 높은 야생화원(野生花園)으로 꾸밀 것인가에 대한 방법론을 제시한 도서는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으나, 한국의 전통 건축물 내 공간에 이뤄진 야생화 조원을 차분하게 조망할 수 있는 자료를 찾기가 어려운 게 현실이다. 이러한 가운데, 잠시 먼지 속에 쌓여 있던 초판을 가다듬고 새롭게 정리해 전면 개정판을 내놓았다.
한국 전통 조원문화의 특성은 자연에 순응하여 조화를 이루는 것을 근간으로, 인간 생활 주변을 융화시키는 데 있다. 정원에 야생화로 조원을 하여 즐거운 경관을 만들어 놓고 안식을 취하며 정신적 사색과 정서의 함양을 통해 자연스러움과 멋을 동시에 취했다.
본서는 개별적인 야생화의 매력과 특징에 대한 설명에 치중하기 보다는 전통 건축물과 야생화가 조화에 집중하였다. 그만큼 전통 건축물이 갖고 있는 자연스러움과 아름다움은 역사적, 실험적인 과정을 거쳐 정제되었으나 야생화 세계는 그렇지 못한 터에 이 둘의 상호 교호작용을 감지하고 기록하는 싶지 않은 과정에 대한 고민과 성찰이 고스란히 책에 담겨 있다. 아울러 전국의 전통가옥 주인들이 이 책을 볼 수 있기를 희망한다. 그리하여 전통가옥의 역사성과 멋스러움에 야생화 조원이 접목되어 묵직함을 잃지 않으면서 산뜻한 옷을 입었으면 한다.
목 차
제1장 한국 전통조경에 야생화 조원 접목하기
제2장 주택의 정원
ㆍ예안이씨 세거지 / 충남 아산 송악면 외암리
ㆍ남평문씨 세거지 / 대구 달성 화원읍 본리
ㆍ옻골 경주최씨 종가 / 대구 동구 둔산동
ㆍ함라마을 옛 담장 / 전북 익산 함라면 함열리
ㆍ함양 일두고택 / 경남 함양 지곡면 개평리
ㆍ함양 정씨댁 / 경남 함양 지곡면 개평리
ㆍ동계 정온고택 / 경남 거창 위천면 강천리
ㆍ안동 하회마을 / 경북 안동 풍천면 하회리
ㆍ성주 한 개마을 / 경북 성주 월항면 대산리
ㆍ독락당 / 경북 경주 안강읍 옥산리
ㆍ경주 양동마을 / 경북 경주 강동면 양동리
ㆍ서백당 / 경북 경주 강동면 양동리
ㆍ경주 최부자댁 / 경북 경주 강동면 양동리
ㆍ경주 법주집 / 경북 경주 강동면 양동리
ㆍ관가정 / 경북 경주 강동면 양동리
ㆍ무첨당 / 경북 경주 강동면 양동리
제3장 상업공간의 정원
ㆍ온두물 / 경기 남양주 조안면 조안리
ㆍ토담골 / 경기 광주 퇴촌면 영동리
ㆍ고가 / 경기 김포 고촌면 풍곡리
ㆍ봉래정 / 서울 강서 외발산동
ㆍ명지원 / 전남 담양 고서면 고읍리
ㆍ아자방 / 경북 청도 각북면 오산리
ㆍ경주 요석궁 / 경북 경주 교동
제4장 별서정원
ㆍ영양 서석지 / 경북 영양 입압면 연당리
ㆍ선암서원 / 경북 청도 금천면 신지리
ㆍ임대정원림 / 전남 화순 남면 사평리
ㆍ명옥헌원림 / 전남 담양 고서면 산덕리
ㆍ소쇄원 / 전남 담양 남면 지곡리
ㆍ운림산방 / 전남 진도 의신면 사천리
ㆍ부용동 세연지 / 전남 완도 보길면 부황리
ㆍ운조루 / 전남 구례 토지면 오미리
ㆍ심수정 / 경북 경주 강동면 양동리
ㆍ귀래정 / 경북 경주 강동면 다산2리
ㆍ삼괴정 / 경북 경주 강동면 다산리
제5장 기타 정원
ㆍ온양민속박물관 / 충남 아산시 권곡동
ㆍ수종사 / 경기 남양주 조안면
ㆍ쌍계사 / 경남 하동 화개면
ㆍ분황사 / 경북 경주 구황동
ㆍ미황사 / 전남 해남 송지면 서정리
ㆍ백련사 / 전남 강진 도암면 만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