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제안_빛을 품은 지하마당집 > 설계제안
설계제안_빛을 품은 지하마당집
- 관리자 오래 전 2022.08.24 16:32 인기
-
5,577
0
건축설계는 계획설계, 기본설계, 실시설계로 이어진다. 대지 여건을 고려한 배치부터 공간의 풍성함을 결정짓는 단면, 세대수와 가족의 취향을 반영하는 평면 계획 단계에서 건축가의 다양한 아이디어를 엿보는 기회를 가져본다.
![]()
HOUSE PLAN
대지위치 ≫ 경기도 용인시
지역지구 ≫ 도시지역, 보전녹지지역
대지면적 ≫ 264m2(79.86평)
건물규모 ≫ 지하 1층, 지상 2층
건축면적 ≫ 51.52m2(15.58평)
연면적 ≫ 189.25m2(57.34평)
건폐율 ≫ 19.51% | 용적률 ≫ 35.70%
최고높이 ≫ 6.6m
구조 ≫ 철근콘크리트
외부마감재 ≫ 스토(Sto)
SITE
부지는 택지개발지구의 필지로, 높이 차이가 심한 대지를 개간한 땅이다. 계획된 도로보다 낮아 토목공사를 통해 성토를 해야 하는 상황이고, 법정 건폐율 20%의 보전녹지지역으로 지상은 한 층당 15평 내외의 건축만 가능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하여 지하를 비워내 열린 마당을 구성하고, 최소한의 필요 공간들만 지상층에 두는 방식으로 계획하였다.
![]()
![]()
![]()
![]()
FAMILY
건축주는 독특하고 남다른 취향과 성격을 가진 젊은 신혼부부로, 프라이빗하고 특별한 집을 꿈꾸고 있었다. 다양한 방식으로 요리하기를 좋아하는 아내 덕분인지, 부부는 자신들의 삶을 엮는 공간으로 ‘주방’을 이야기했다. 또한, 별 관측이 취미인 남편은 동화 <피노키오> 속 제페토 할아버지의 공방 같은 취미실을 만들어 주기를 요청했다.
INTERIOR
![]()
불리한 조건을 유리하게
대지 내 심한 단차에 넉넉하지 않은 건폐율까지 여러모로 조건이 까다로운 집이었다. 15평 남짓한 층별 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상황에서 건축주의 요청을 모두 수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층수를 높이기보다 대지를 활용한 넓은 지하 공간을 만들기로 했다. 지상처럼 보이는 지하에는 넉넉한 마당을 두고 이와 연계된 주방, 거실을 배치했다.
![]()
지하 공간의 활용
높이 차이가 심한 대지 위에 앉힌 주택은 진입로에선 언뜻 절벽 위에 서 있는 듯 보인다. 지상에서 보면 조그마한 건물이지만, 안으로 들어가면 그렇지 않다. 주택의 주요 공간 대부분이 지하에 숨어있기 때문. 주변 집들과 달리 지하에 고유한 마당과 넓은 주방, 거실을 가진 이 집은 밖으로 열린 동시에 안으로 닫힌, 프라이빗한 가족 공간을 갖게 되었다.
![]()
빛의 활용
지상 건물은 건축주 부부의 요구에 따라 적정한 규모로 계획하고, 지하층 매스 위에 ㄱ자로 얹어 다양한 비율의 프레임으로 입면에 변화를 주었다. 내부는 메인 침실&욕실, 취미실 등 사적 공간으로 구성했다. 단정하고 차분한 형태 안에 각각의 개성을 지닌 창들을 디자인하여 안으로 들어오는 빛이 공간을 더욱 풍성하고 흥미롭게 만들어준다.
![]()
![]()
![]()
건축가 박현근 _ 재귀당 건축사사무소
![]()
정림건축, 디자인캠프 문박디엠피(dmp)에서 크고 작은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실무를 익혔다. 자신의 집 ‘재귀당’을 지은 후 집과 같은 이름의 건축사사무소를 개소하였으며, 집을 지어가는 방식에 대한 철학을 바탕으로 진정성 있는 건축을 추구하고 있다. 현재 주택 및 근린생활시설, 연구소 및 사옥 등 다양한 규모와 프로그램을 가진 건축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02-408-6045|https://jaeguidang.com
구성_ 편집부
ⓒ월간 전원속의 내집 / Vol.267 www.uujj.co.kr
월간 <전원속의 내집> 의 기사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습니다. 무단전재, 복사, 배포는 저작권법에 위배되오니 자제해주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경사진 20평 삼각 대지에 3층 스튜디오 짓기2020.07.06
- 다음글설계제안 / 마당을 품은 붉은 벽돌집2022.10.1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