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레 성수 내 성수가든 전경
서울 성수동은 1960년대부터 각종 제조 공장이 밀집한 준공업 단지였다. 현재까지 자동차 정비 공장·수제화 공장의 낙후된 건물들과 기계의 소음이 가득 찬 이 도심 한가운데, 숲이 생겼다. ‘아모레 성수’는 아모레퍼시픽이 옛날 자동차 정비 공장이었던 땅을 허물고 그 위에 지은 브랜드 아카이브다. 오른쪽으로 회전된 ‘ㄷ’자 형태를 한 건물 안에는 오랜 시간 축적해온 미(美)에 대한 고민이 들어있다. 그리고 건물의 가운데, 삭막한 회색 동네를 생태 정원으로 만들어 줄 자연이 숨 쉰다.
얼마든지 상업적 콘텐츠를 뽐낼 수 있는 공간적 여유를 과감히 포기하고 숲을 조성한 이유는, 사람들이 그 안에서 아름다움을 발견함과 동시에 스스로의 모습 그대로 휴식하기를 바라서였다. ‘성수가든’이라 이름 붙인 이 정원을 설계한 사람은 제주도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더가든’의 김봉찬 조경 디자이너. 자연에 대한 관찰과 이해를 중요시하는 그는, 조경수 농원과 플랜트센터를 직접 운영하며 정원 식물의 보급과 정원 문화 확산에 힘쓰고 있다. 그는 이 정원이 도심 속에서 오래된 숲의 차분함과 촉촉함을 느낄 수 있는 휴식처가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작업에 임했다.
아모레 성수의 전경. 최소한의 디딤석이 경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외부 관리가 되도록 설치되었다.
숲은 태초에 인위적이지 않고, 정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성수가든 역시 이러한 점을 살려 시공했다. 자동차 정비 공장을 덮고 있었던 콘크리트와 기름에 찌들어 썩은 흙을 1.5m가량 들어냈다. 그다음, 배수가 잘되는 마사토와 보습을 도와주는 피트모스를 섞어 20cm 두께로 깔았다. 그 위에 수분을 머금도록 도와주고, 햇빛을 차단해 잡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바크를 8cm 이상 덮어 자연의 환경을 조성했다. 실제 식물의 사회구조와 집단의 이해를 염두에 두고 심었기 때문에 정원은 패턴이 아닌 군락으로 형성되어 있다. 땅의 단차를 달리해 깊이감을 준 것, 다관 식물을 심어 길들여지지 않은 입체감을 선사한 것, 식재 위치를 교차 시켜 제각기이지만 조화로운 모습을 보여준 것 모두 자연이 으레 하는 일이다.
(위, 아래) 실내에서 바라본 정원의 모습. 바위와 교목의 자연스러운 배치가 실제 숲을 보는 듯한 느낌을 준다.
정원을 길게 가로지르는 연못은 따로 방수 처리를 하지 않았다. 물과 식물, 흙이 서로 연계할 수 있도록 한 조치다. 오버플로우를 설치해 연못의 물이 80cm 이상이 되면 우수관으로 흘러 들어가도록 설계한 것이 배수 시설의 전부다. 나머지는 햇빛과 땅, 식물이 알아서 할 수 있도록 두었다.
안개분수는 타이머가 맞춰져 있어, 주기적으로 분사된다. 투명한 연못의 표면에 건물의 외벽이 비쳐 보인다.
A . 아주가 - 정원에 사용된 지피 식물에는 아주가, 참골무꽃, 이끼류가 있다. 이 식물들은 땅을 낮게 덮어 대지의 면을 살린다.
B. 서리이끼 - 이끼는 두 종류가 사용되었다. 솔이끼와 서리이끼. 서리이끼는 푸른 빛을 띠고, 솔이끼는 그보다 색이 짙다. 구석에는 솔이끼를 사용했는데 그 이유는 서리이끼보다 음지와 건조에 강하기 때문이다.
C. 꼬랑사초 - 일반적으로 꼬랑사초는 숲속이나 그늘에서 자라는 식물이지만, 물속이나 양지에서도 생육할 수 있다. 잎이 가느다랗고 부드러워 질감도 좋고, 겨울까지 형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장점이 많다.
D. 호스타 - 호스타도 두 종류가 사용되었다. 꼬랑사초처럼 우드랜드 플랜트에 속한다.
Q. 건물 안에서 정원을 바라봤을 때, 정원을 가장 잘 느낄 수 있는 위치는 어디인가요?
저희는 예쁘기만 한 정원이 아니라, 사람과 자연이 함께 어우러진 숲을 만들고 싶었습니다. 때문에 건물의 세로 면인 장축에서 보시는 게 좋아요. 땅의 높낮이, 나무의 깊이감, 이끼의 싱그러운 모습까지 자연스럽게 보이니까요.
Q. 성수가든에 사용된 식물 중 주택에서도 잘 자라는 식물이 있나요?
사용된 정원 식물은 야생종 중 선발되거나, 교배된 식물이니 자생지와 비슷한 환경 조건만 충족된다면 무리 없이 키울 수 있습니다. 특히 초화류나 지피 식물이 잘 적응하는 편입니다. 다만 배수가 되지 않는 환경이나, 다져진 토양에 식재하면 안됩니다. 배수성이 좋은 마사토로 객토하고, 뒤집기 작업(Digging)을 한 뒤 심는 것이 좋습니다.
Q. 교목을 심을 때 팁이 있다면요?
교목을 식재하려면 지주목을 2년가량 설치해야 하는데, 이곳의 외관상 어울리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저는 매설형 지주목을 사용해 뿌리를 받쳐주는 형식으로 땅에 매립했습니다.
도로에서 보이는 정원의 모습. 그라스류는 빛을 받아야 더욱 아름답기 때문에 해가 잘 드는 입구 정원에 식재했다.
취재협조
아모레 성수 서울시 성동구 아차산로11길 7 AM 10:30 ~ PM 8:30 (매주 월요일, 설/추석 당일 휴무) www.amore-seongsu.com
취재 _ 박소연 사진 _ 변종석
ⓒ 월간 전원속의 내집 / www.uujj.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