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과 사람을 포근하게 품은 곤지암 주택
본문
오랜 고민 끝에 실행에 옮겼지만, 곧바로 위기가 찾아왔다. 모든 것을 포기하려다 마음 맞는 건축가를 만나 이를 극복하기까지. 그 힘들었던 1여 년의 집짓기 과정이 궁금하다.
©홍석규
집을 짓겠노라고 찾아온 건축주는 비교적 일찍 출가한 두 아들을 둔 50대 중후반의 부부였다. 이들은 당시 아파트에 살고 있었지만, 남은 생애는 서울 근교에 집을 지어 출퇴근에 무리 없고 도시 생활에도 불편함 없는 전원 속의 삶을 즐기고자 했다. 그렇게 집짓기 도전이 시작되었고, 우연히 이 땅을 찾았다.
건축주와의 첫 번째 상담 후 다음 만남은 집이 들어설 대지에서 이루어졌다. 땅은 경사 도로인 진입 레벨에 맞춰 지반이 형성되어 있었다. 흙을 성토하여 가둔 석축은 어설프게 쌓여 있고, 돌들이 이리저리 굴러다녔다. 사연인즉슨 이러했다.
집이 마당을 감싸 안음으로써 가족만의 공간이 완성되었다.경사 도로에서 바라본 집의 모습 / 작은 텃밭을 둔 뒷마당 ©홍석규
처음 부부는 설계와 시공을 함께 해주는 업체를 통해 집을 지으려 했고, 몇 군데 알아보다 한 업체와 서둘러 계약했다. 도심지와 달리 전원에 집을 지을 땐 대부분 전용허가와 개발행위허가를 받아야 한다. 이 허가들은 건축신고 및 허가와 동시에 접수되므로 일단 아무 집이나 앉힌 상태로 허가를 득하고 추후에 설계 변경을 하려 했다고 한다. 어차피 대지가 조성되려면 토목공사가 선행되어야 하니 건물의 설계는 좀 미뤄도 된다 생각했던 모양이다. 한데, 믿었던 업체는 상당 금액의 공사비를 이미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된 설계 협의 없이 인터넷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짜깁기한 도면을 내놓았다. 그러다 언제부턴가 연락마저 끊겼다.
대지 위 넓게 펼쳐진 건물이 주변 산세 풍경과 하나인 듯 잘 어우러진다. ELEVATION
토목공사는 하다만 듯 널브러진 채로. 어렵게 결심한 집짓기는 시작하자마자 난관에 부딪혔다. 금전적인 손실뿐만 아니라 사교적이고 사람을 좋아하는 부부의 마음에 큰 상처로 남았다. 결국 공사가 중단되고 다 포기하려던 순간, 지인의 소개를 받아 우리 사무소와 연이 닿았다. 다시 설계부터 차근차근 시작해야 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두 사람의 다친 상처를 보듬어주고 싶었다.
입구 쪽에 마련된 게스트룸. 전통미가 느껴지는 미닫이문이 인상적이다. 현관 중문 옆 수납장과 정원 풍경과 맞닿은 긴 복도 공간 ©홍석규
대지는 진입로에 들어서는 동안 ‘이런 곳에도 집을 짓나?’라는 생각이 들 만큼 산기슭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곳에 있다. 주변에는 신경 써서 지은 집들이 군데군데 놓여 있고, 집이 세워질 장소는 도로가 북측에 면해 있는 비교적 넓은 땅이었다. 반대쪽 땅 끝자락에는 낮은 야산이 땅을 에워싸고 있어 건물의 배치에 따라 외부 공간은 주위에 과시할 만한 마당이 될 수도 있고, 집주인만이 누릴 수 있는 사적인 공간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았다.
도심지나 주택단지로 조성된 택지와는 달리 이런 땅들은 흙의 성토나 절토를 통해 땅을 만질 기회가 있는데, 기존 땅에서 읽히는 잠재성 같은 것을 최대한 끌어내다 보면 집의 배치와 모양이 결정된다.
HOUSE PLAN
대지위치 ▶ 경기도 광주시 | 대지면적 ▶ 977.0㎡(295.54평)
건물규모 ▶ 지상 1층 | 건축면적 ▶ 188.98㎡(57.16평) | 연면적 ▶ 188.98㎡(57.16평)
건폐율 ▶ 19.34%(법정 40% 이하) | 용적률 ▶ 14.33%(법정 100% 이하)
주차대수 ▶ 2대(법정 1대 이상) | 최고높이 ▶ 5.55m
구조 ▶ 기초 – 철근콘크리트 매트기초, 줄기초 / 지상 – 내·외벽 : 경골목구조, 2×6 S.P.F 구조목, 지붕 : 2×10 구조목 / 주차장 – 벽 : 경골목구조 2×6 S.P.F 구조목 + 철골 H-150×150×6×9 4본, 지붕 : 구조목 2×12 + 철골 H-150×150×6×9
단열재 ▶ 외벽 – 중단열 수성연질폼 140mm 발포 + 외단열 비드법단열재 2종3호 60mm(네오폴) / 내벽 – 그라스울 24K / 지붕 – 수성연질폼 240mm 발포
외부마감재 ▶ 외벽 – STO 외단열시스템 등 / 지붕 – 컬러강판
창호재 ▶ 이건창호 70mm,185mm PVC 시스템창호 35mm 삼중 양면 강화로이유리(아르곤가스 충전)
철물하드웨어 ▶ 심슨스트롱타이 | 에너지원 ▶ LPG
조경석 ▶ 현무암 판석, 차돌, 청고벽돌 | 조경 ▶ 그린조경
토목 ▶ 진성토목 | 구조설계 ▶ 두항구조 엔지니어링
총공사비 ▶ 3억원(설계 및 감리비용, 가구, 조경공사 제외)
시공 ▶ 케이에스하우징
설계 ▶ ㈜건축사사무소 더함
경사 도로면을 따라 바로 진입할 수 있는 마당과 내부에서 바로 마주할 수 있는 마당으로 나눠 단차를 두면 넓은 외부 공간을 유용하게 쓸 수 있고, 인접한 토지와 옹벽의 높이차를 낮출 수 있을 듯했다. 마당의 단차는 자연스레 집 내부에도 만들어져 공간의 변화와 개방감을 확보하고, 벽으로 나누어지지 않았지만 공간의 성격 또한 구분된다. 현관으로 들어와 긴 복도를 따라가다 보면 남쪽의 큰 창을 통해 안마당과 주변 풍경을 바라볼 수 있어 집 안의 산책로로 손색없다. 눈에 보이는 풍광은 자연이 집을 품고 있음을 깨닫게 한다.
주방과 다이닝 공간의 아래쪽으로 배치된 거실주방에는 상부장 대신 선반을 설치해 답답함을 줄이고, 별도의 다용도실을 두어 수납을 해결했다.
집은 두 팔 벌려 마당을 감싸 안은 모습이다. 도로를 따라 오르면서 보이는 집은 뒷모습이기에 단층으로 펼쳐진 집이 마당을 보여주지 않는다. 얼굴이 궁금하면 안으로 들어와서 보라는 것 같다. 주차장으로 진입했을 때 마당이 드러나고 야산이 병풍처럼 에워싸고 있는 모습은 방문객의 궁금증을 해소해준다. 집 뒤쪽 먼 원경에는 산들이 있지만, 지붕의 선이 산의 선을 거스르지 않는다.
겨울 추위가 매섭고 습한 지역적 특성을 고려해 성토량을 늘려서라도 땅의 지반을 높였다. 단열이 우수하고 기밀한 창호 시공이 용이한 경골목구조로 택하고, 벽체의 중단열을 수성연질폼으로 촘촘하게, 외부는 네오폴 비드법단열재를 추가로 설치한 뒤 스토(STO)로 마감했다. 입자의 굵기가 굵어 외관은 콘크리트 주택처럼 보이기도 한다.
가장 안쪽에 놓인 부부 침실과 파우더룸 및 욕실. 모두 하나의 동선 위에 놓여 이동의 편의를 도모했다. PLAN(1F - 188.98㎡) ①현관 ②복도 ③게스트룸 ④화장실 ⑤주방/식당 ⑥거실 ⑦서재 ⑧안방 ⑨파우더룸 ⑩드레스룸 ⑪테라스 ⑫욕실 ⑬다용도실/세탁실 ⑭창고/보일러실 ⑮주차장 ⑯외부 데크 ⑰툇마루 ⑱아랫마당 ⑲윗마당 부부의 단란한 모습. 집을 짓고 매일 할 일은 많아졌지만, 웃음만큼은 더 늘었다.
공사가 마무리될 무렵, 건축주에게 즐거운 숙제를 주었다. 내부 마감재에 대한 기준과 스펙 북을 제공하고 가이드라인에 따라 부부가 각 공간에 들어갈 자재를 직접 쇼핑할 수 있도록 했다. 이 과정에서 부부는 집이 지어지는 내내 기대감과 즐거움을 내비쳤다.
INTERIOR SOURCE
내부마감재 ▶ 벽, 천장 – 신한벽지(실크) / 바닥 – 동남마루 제누스원목마루 | 욕실 및 주방 타일 ▶ 새론바스 수입 타일
수전 등 욕실기기 ▶ 더존테크 수입 수전, 새턴바스 욕조, 아메리칸스탠다드 도기 | 주방 가구 및 붙박이장 ▶ 마비 가구연구소
조명 ▶ 유로세라믹 비타조명, 을지로 프라하라이팅
계단재 ▶ 오크 계단 집성목 | 데크재 ▶ 방킬라이
현관문 ▶ 성우스타게이트 LSFD-8500
중문·방문 ▶ 예림도어 YSL-100, 예림도어 YG-111(완자살), 예림 ABS도어, 자작문
커튼 ▶ INT(아이앤티) 패브릭
집을 짓기까지 많은 우여곡절을 겪었고 상처도 받은 두 사람. 집을 짓지 못할 뻔도 했지만, 그 상처를 치유하려면 오히려 다시 도전해 결실을 보는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건축가와 나눈 집에 대한 이야기와 시공자와의 소통, 집을 짓는 과정을 통해 모든 것이 아물었다. 이름처럼 따뜻하게 보듬어줄 수 있는 어머니의 ‘품’ 같은 집에서 부부가 계획했던 은퇴 이후의 새로운 삶이 풍요롭게 시작될 것 같다.
건축가_ 조한준 [㈜건축사사무소 더함]
고려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종합건축사사무소 고우건축과 공간종합건축사사무소 등에서 실무경험을 쌓았다. 2013년 건축사사무소 더함(ThEPluS Architects)을 설립하고, 제34회 서울시 건축상 우수상과 신진건축사 대상 최우수상, 포항시건축문화 최우수상 등을 수상하였다. 02-733-3824|http://the-plus.net
글_ 조한준 | 취재_ 김연정 | 사진_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