갓 구운 빵 내음이 골목길을 가득 채운다. 일주일 중 나흘. 정성스레 만든 빵을 진열하며 손님을 기다리는 일도, 꿈을 찾은 그녀에겐 그저 행복으로 다가온다.
새집, 새 직업. 만족하는 삶에 대하여
“남편의 학업 때문에 일본 교토에서 살 기회가 있었어요. 거기서 오래되었지만 잘 관리된 작은 단독주택들을 만났고, 아기자기하게 늘어선 정감 있는 동네 모습은 정말 인상적이었죠. 특히 주거와 상업공간이 어우러져 있는 건축 형태가 꽤 많이 보였어요. 나도 저런 집에 살며 일하고 싶단 생각이 든 것도 그때쯤이었던 것 같아요.”
취미로 시작한 베이킹은 공무원이었던 그녀에게 ‘파티시에(Patissier)’라는 새 직업을 안겨주었다. 오랜 기간 준비해온 바람이 이뤄지던 순간. 마지막 꿈의 종착역으로 조그마한 주택과 함께 나만의 베이커리를 짓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미 아파트라는 주거 환경에 큰 회의감이 밀려오던 찰나, 내 소유의 집에 일터를 마련하는 건 어쩌면 그녀가 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었다. 임대료 부담에서 벗어나야 했고 주거와 일 사이의 시간적·공간적 효율성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었다.
주어진 예산 한도 내 가능한 지역을 중심으로 발품을 팔았다. 정말 ‘맨땅에 헤딩’이라는 게 이런 거구나 싶을 만큼 주변엔 집짓기 경험자도, 건축 관련 지인도 하나 있지 않았다. 키보드만 몇 번 두드려도 나오는 수백 수천 페이지의 정보와 검색어에 의지해 얻은 내용을 지푸라기 삼아 몇몇 설계사무실의 문을 두드렸다. 그렇게 얼마 지나지 않아 마음 맞는 건축가를 만났고, 이는 그녀가 꿈을 향해 한 발짝 더 다가서는 계기가 되었다.
선택한 땅은 작았지만, 동서로 긴 형태였기에 1층의 레벨을 반지하에 가깝게 내리고 최상부에서의 일조권 사선제한을 피해 최소 규모의 4층 면적을 확보했다. 그리고 별도의 마당을 만들 수 없는 협소한 부지라 꼭대기에 부부만의 아담한 테라스를 놓았다. 남측도로에 면한 곳은 그녀의 작업실이자 일터인 베이커리로 내려가는 계단을, 북측 통로 쪽에는 주거공간으로 오르기 위한 계단을 배치했다.
“집에서 내려와 건물을 한 바퀴 휙 돌아 베이커리로 가는 짧은 출근길이 너무 즐거워요. 만약 내부에서 두 공간이 연결되었다면 몸은 편했겠지만, 이웃들과 인사하며 이야기를 나누는 소소한 기쁨은 느낄 수 없었겠죠.”
못 하나 마음대로 박을 수 없던 불안한 임차인의 입장에서 내 집을 갖게 되니 집이라는 물리적인 공간이 행복한 가정을 위해 얼마나 중요한 요소인가를 깨달았다는 그녀. 무언가를 꿈꾸고, 그 꿈을 현실로 만들어낸다는 건 참으로 보람된 일이다. 그런 만큼 주인을 닮은 그녀의 베이커리 이루카가 이 작은 동네 속에 오래 머물러주길.
1F BAKERY
이렇게 짓자! | 일터와 주거 공간을 명확하게 구분하세요
일터와 주거가 함께 있음으로 해서 얻을 수 있는 효율성 못지않게 둘 사이의 분리도 중요하다. 자칫하면 일과 가정 또는 사생활이 뒤범벅되어 버릴 수도 있으니, 두 공간이 가까울수록 오히려 더 명확하게 구분해야 쉼표가 있는 삶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된다.
2,3F MINI HOUSE
HOUSE PLAN
대지위치 ▶ 서울시 성북구 | 대지면적 ▶ 63㎡(19.05평)
건물규모 ▶ 지상 4층 | 건축면적 ▶ 27.19㎡(8.22평) | 연면적 ▶ 72.69㎡(21.98평)
건폐율 ▶ 57.12% | 용적률 ▶ 152.71%
최고높이 ▶ 9.6m | 구조 ▶ 기초 – 철근콘크리트 매트기초 / 지상 – 철근콘크리트
단열재 ▶ 압출법보온판 가등급 125㎜, 150㎜ / 경질우레탄폼 보온판 2종2호 90㎜, 120㎜
외부마감재 ▶ 벽 – TERRACO社 플렉시텍스 / 지붕 – 컬러강판 돌출이음
창호재 ▶ 공간시스템창호 | 에너지원 ▶ 도시가스
전기·기계 ▶ 세원엔지니어링 | 구조설계 ▶ 아크필구조
내부마감재 ▶ 벽 – 친환경 페인트 / 바닥 – 강마루(스타강마루), 수입 타일(중국산)
담장재 ▶ 일본 미야자키산 적삼목 본덱스 오일스테인 2회
욕실 및 주방타일 ▶ 수입 타일(중국산) | 수전 등 욕실기기 ▶ 대림바스
조명 ▶ 공간조명 외 | 계단재·난간 ▶ 애쉬집성목 무광투명락카 2회, 평철난간 소부도장
현관문 ▶ 단열스틸도어(제작) | 내부 목문 ▶ 영림도어
데크재 ▶ 방부목 데크재 본덱스 오일스테인 2회
시공 ▶ 인터플랜
설계팀 ▶ 이경훈
설계 ▶ 건축사사무소 오파드건축 연구소(OpAD) 오문석 070-8600-0463, https://blog.naver.com/opad_oms
대지위치 ▶ 서울시 성북구 | 대지면적 ▶ 63㎡(19.05평) 건물규모 ▶ 지상 4층 | 건축면적 ▶ 27.19㎡(8.22평) | 연면적 ▶ 72.69㎡(21.98평) 건폐율 ▶ 57.12% | 용적률 ▶ 152.71% 최고높이 ▶ 9.6m | 구조 ▶ 기초 – 철근콘크리트 매트기초 / 지상 – 철근콘크리트 단열재 ▶ 압출법보온판 가등급 125㎜, 150㎜ / 경질우레탄폼 보온판 2종2호 90㎜, 120㎜ 외부마감재 ▶ 벽 – TERRACO社 플렉시텍스 / 지붕 – 컬러강판 돌출이음 창호재 ▶ 공간시스템창호 | 에너지원 ▶ 도시가스 전기·기계 ▶ 세원엔지니어링 | 구조설계 ▶ 아크필구조 내부마감재 ▶ 벽 – 친환경 페인트 / 바닥 – 강마루(스타강마루), 수입 타일(중국산) 담장재 ▶ 일본 미야자키산 적삼목 본덱스 오일스테인 2회 욕실 및 주방타일 ▶ 수입 타일(중국산) | 수전 등 욕실기기 ▶ 대림바스 조명 ▶ 공간조명 외 | 계단재·난간 ▶ 애쉬집성목 무광투명락카 2회, 평철난간 소부도장 현관문 ▶ 단열스틸도어(제작) | 내부 목문 ▶ 영림도어 데크재 ▶ 방부목 데크재 본덱스 오일스테인 2회 시공 ▶ 인터플랜 설계팀 ▶ 이경훈 설계 ▶ 건축사사무소 오파드건축 연구소(OpAD) 오문석 070-8600-0463 https://blog.naver.com/opad_oms
취재_ 김연정 | 사진_ 변종석, 이강석
ⓒ 월간 전원속의 내집 / Vol.235 www.uujj.co.kr
![201809191629525325vx7.jpeg](https://t1.daumcdn.net/news/201809/19/homegarden/201809191629525325vx7.jpe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