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이면 동네 사람들이 나무 아래에 모여 감을 주거니 받거니 하던 집. 이제 새로운 주인을 만나 작은 서점과 함께 골목을 밝힌다.
1 - 기존 건물에 썼던 것과 같은 사이즈의 비슷한 벽돌로 대체한 1층과 토끼 귀 모양 지붕이 있는 2층이 새로이 쌓여 오래된 동네에 활기를 불어넣는다.
2 - 집 안에서도 이어지는 아치. 1층은 세탁실과 주방, 평상이 있는 거실 등 공용 공간 위주로 꾸몄다.
결혼 후 10년 동안 10번의 이사를 거친 부부. 남편의 전근으로 지방에서 몇 년 살다 온 사이 집값은 천정부지로 올라 있었다. 마지막으로 살았던 옥탑이 있는 작은 집에서의 기억이 좋았던 부부는 아파트가 아닌, 예산이 감당할 수 있는 구옥을 찾아보기로 했다. 그렇게 발견한 쌍문동의 작은 집. 도봉산 자락에 경사가 거의 없으며 동네 사람들의 느슨한 교류가 있는, 얼마 남지 않은 서울의 정겨운 동네처럼 보였다.
대지위치 ▶ 서울시 도봉구
대지면적 ▶ 64.84㎡(19.61평) │ 건물규모 ▶ 지상 2층
건축면적 ▶ 35.32㎡(10.68평) │ 연면적 ▶ 55.42㎡(16.76평)
건폐율 ▶ 54.47% │ 용적률 ▶ 85.47% │ 최고높이 ▶ 8.44m
구조 ▶ 기초 - 철근콘크리트 매트기초 / 지상 - 철골조(1층 벽), 경골목구조 2×6 구조목(2층 벽) / 지붕 – 경골목구조 2×10 구조목
단열재 ▶ THK140, THK235 그라스울 단열재, THK50 가등급 압출법 단열재
외부마감재 ▶ 벽 – 75×150 각타일, 스터코, 적벽돌 타일, 기존 벽돌 / 지붕 – 컬러강판
담장재 ▶ 시멘트블록 │ 창호재 ▶ 대동엘로이 시스템창호 │ 에너지원 ▶ 도시가스
시공 ▶ 제타디자인 어쏘시어트
설계 ▶ 비유에스아키텍츠 건축사사무소 02-725-9900 http://bus-architecture.com
총공사비 ▶ 1억5천만원(설계비 제외, 구옥 2억원)
내부마감재 ▶ 신명원목마루 │ 욕실 및 주방 타일 ▶ 티앤피타일
수전 등 욕실기기 ▶ 아메리칸스탠다드 │ 주방 가구 ▶ 제작, 이케아
조명 ▶ 을지로 조명나라, 루이스폴센 │ 붙박이장 ▶ 이케아
3 - 10평 남짓한 건축면적의 집이지만, 리모델링이라 기존 집에서 쓰던 작은 마당도 유지할 수 있었다. 오묘한 빛깔의 분홍색 대문과 담장은 벽돌과 톤을 맞춰 건축가 직접 디자인했다.
부부는 집을 허물고 새로 짓는 대신 원래 있던 부분을 살리고 공간을 조금 덧붙이는 증축을 택했다. 주변 곳곳 공동주택으로 개발된 필로티 건물이 조금씩 들어서는 상황 속에서 그리 넓지도 않고, ‘쓸모가 보이지 않는’ 건물을 살리면서 작업해 줄 건축가는 선뜻 나타나지 않았다. 이들의 쉽지 않은 결정에 젊은 건축가 비유에스 아키텍츠가 동행했다. 신축을 역으로 제안하지 않고 “이 집이 낙후되어 가는 주거지역의 새로운 대안이 되길 기대”하는 마음이 부부는 참 고마웠다고.
단층이었던 기존 주택. 측량 후 마당의 절반이 건축선을 침범하고 있어 도로로 공간을 내어주고 감나무 뿌리 일부를 정리해야 했다.
①서점 ②거실 ③주방 ④화장실 ⑤침실 ⑥드레스룸 ⑦테라스
4 - 건축주가 운영하는 1.5인용 작은 동네 서점 ‘쓸모의 발견’. 기존 옥외 창고를 고쳐 만든 곳으로, 건축주가 좋아하는 책들로 직접 큐레이션 했다.
5 - 집 안에는 건축주 부부가 보유한 더욱 많고 다양한 책들이 꽂혀 있다. 계단실 한쪽에 사다리를 달아 활용도를 높였지만, 실제 덜 보는 책들은 위쪽에 쌓았다.
세 칸의 방이 나란히 배치된 단층집이었던 구옥. 63년에 지어진 집인데다 이웃집과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은 터라 내부 구성의 전면적인 재조정이 필요했다. 실내의 조적벽을 철거하고, 모든 면으로 통풍을 할 수 있게 후면 공간을 작은 중정으로 만들었다. 1층은 주방과 거실을 두고, 경량의 목구조로 수직 증축한 2층에는 사적인 공간을 배치했다. 원래 옥외 창고로 쓰이던 작은 공간은 건축법이 허락하는 한도 내에서 수평 증축해 1.5인용 작은 서점도 만들었다.
6 - 밖에서 봤을 때 아치형 지붕은 실내 채광의 1등 공신이다. 안쪽에 아치형의 구조물을 통해 반사된 간접광이 자연스럽게 퍼진다.
사실 부부는 집을 설계하기 전 이 집에서 일부러 몇 개월 살아봤다고 고백한다. 해는 어디에서 떠서 어떻게 지나가는지, 환기가 잘 되는 방법은 무엇인지, 고양이 4마리와 함께 살아야 하는데 어떤 점을 신경 써야 하는지 등을 직접 체험하면서 원하는 것들을 정리해 나갔다. 건축가 역시 고치기 전 건축주가 살고 있는 집에 찾아와 집이 가진 조건을 파악하고 현장과 생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다.
7 - 거실 평상은 훌륭한 독서 공간이 되어 주는 동시에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참 역할도 겸한다. 큰 창으로 동네가 보이고 따뜻해 고양이들의 차지가 될 때가 많다.
POINT 1 - 세월의 흔적이 보이는 벽돌
정면에서 보면 언뜻 새집처럼 보이지만, 측면의 덧댄 벽돌이 지난 세월을 짐작케 한다.
POINT 2 - 감나무를 배려한 2층 베란다
감나무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2층 베란다 일부를 나무 윗동 반경만큼 덜어냈다.
POINT 3 - 이웃 집과 면한 주방 외부 공간
뒷집으로부터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한 채 공기는 통하게 하고 불투명한 유리로 막았다.
8 - 고양이 털 때문에 좁더라도 거실과의 분리가 필요했던 주방. 작은 창을 내어 거실과의 소통을 꾀했다.
9 -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에서의 모습. 오른쪽 작은 창은 서점과 연결된다.
외부에서 가장 돋보이는 것은 2층의 아치 모양 지붕이다. 동네 사람들은 토끼를 닮았다며 ‘토끼집’이라 부른다. 동그란 곡선에 낸 지붕창은 자칫 어두워질 수 있는 계단실에 은은한 자연광을 드리우며 실내를 환하게 밝힌다. 곡선은 집 안 곳곳에 배치되었다. 현관 옆에서 세탁실을 구분하는 가벽이 되기도 하고, 원래 심어져 있던 감나무를 존중하기 위한 2층 침실의 드라마틱한 경계가 되어주기도 한다.
10 - 침대와 TV만 둔 간소한 침실. 코너창을 통해 도봉산까지 시야가 펼쳐진다.
11 - 베란다는 여름철 나뭇잎이 만드는 그늘에서 쉴 수도 있고, 감이 열리는 가을이면 감 따기도 좋다.
작은 집은 원래 수납과 동선 때문에 반듯하게 짓는 거라고들 한다. 그래서 이 곡선은 공간의 낭비처럼 보일 수도 있다. 건축주는 이 집을 지으며 읽은 <여름은 오래 그곳에 남아>라는 책의 한 구절을 인용했다. 처음에는 상상하지 못했던 공간이었지만, 살다 보니 빠듯하게 쪼개고 밀도와 효율만 신경 쓴 게 아니라 뭔가 낭비할 것을 갖고 있어서 기쁘다는 후기다.
12 - 어둑한 저녁, 동네를 조용히 밝히는 세상에서 제일 작은 서점
오래된 집을 허물지 않고, 원래 있던 감나무를 최대한 살리고, 옥외 창고를 탈바꿈해 서점을 계획하고… 사람도 살면서 본인의 ‘쓸모’에 대해 고민하게 되는 무렵, 이들은 집짓기를 통해 다양한 쓸모를 발견하는 기쁨을 찾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