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도 돌보지 않은 채 쌓인 시간을 짊어지던 구옥. 지금까지 지켜온 자리와 품어온 이야기에 이끌려 부부는 직접 집에 새 생명을 불어넣는다.
BEFORE › 방치된 지 오래되었던 구옥. 여기저기 쓰러져가는 상황이었지만, 다행히 기둥만은 굳건해 한옥 마니아의 유유자적 도전 살려보기로 마음을 정했다.
+where 용인 시내에서 멀지 않아 ‘이런 주택가에 한옥이 어디 있다는 걸까?’는 생각이 들 무렵, 한적한 농촌 마을과 황톳빛 한옥이 나타났다. 남편의 고향이기도 해 이곳저곳 옛날 이야기가 묻어나오던 마을로, 녹음이 풍성하면서도 서울 접근성, 문화시설, 의료시설이라는 현실을 누리기에도 모자람이 없다.
+who 자녀들도 독립시키고 인생의 후반부를 즐기고 있는 박찬구, 박세영 씨 부부. 시골집 한옥을 좋아하고 또 지키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조언을 주거나 서로 의견을 나누곤 한다. 차와 사찰음식을 좋아하는 아내와 음악 취미에 몰두하고 있는 남편 덕분에 집에서는 맛있는 냄새와 음악소리가 끊이질 않는다.
+how 자신감을 보였던 시공업체들도 구옥의 모습을 보자 고개를 흔들었다. “수리보다 철거하고 새로 짓는 게 낫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부부는 구옥이 가진 100년의 세월을 잃을 수 없었다. 그래서 직접 자재를 구매하고 공종 전문가를 부르고, 때론 직접 망치 들고 손보며 1년여를 거쳐 지금의 희담재를 만들 수 있었다.
01 희담재 여기저기에, 화초가 심긴 화분들이 집에 싱그러움을 불어넣는다. 매일 돌보는 게 만만치 않은 일이지만, 그런 일 하나하나가 소중하다고.
02 주 생활은 함께 고친 양옥에서 이뤄진다. 양옥이라고는 하지만, 이 건물도 40년 넘는 세월 동안 이 마을을 지켜온 터줏대감이다. 한옥과 통일감을 주기 위해 황토로 미장 마감했다.
“한옥 리모델링은 이번이 두 번째예요.”
박찬구, 박세영 씨 부부는 15년 전 양평에서 진행했던 한옥 리모델링의 경험을 소개했다. 처음에는 그저 농가적 전원 분위기를 좋아해 시골 한옥을 소소하게 고쳤던 것이었는데, 의도치 않게 다른 사람들의 호응을 얻어 방송까지 타게 되었다고.
쏟아졌던 대중들의 관심에 느꼈던 것이 많았다는 세영 씨는 전국의 한옥을 만나며 사람들과 의견을 나누고 공부했다. 사정이 생겨 양평 한옥을 더 쓰지 못했지만, 전원 속 한옥에 대한 애정은 더 커졌다. 그러다 2년 전 용인에서 이 한옥을 만나게 되었다.
“이런 집이 사라져 가는 건 무척 아쉽잖아요? 이 집에서 많은 사람이 태어나고 살아가며, 울고 웃었을 거예요. 한옥이 가진 매력과 스토리, 시간을 제가 더 이어가고 싶었어요.”
03 날씨가 좋은 적당한 날이면 나무 그늘이 드리운 바깥 평상이나 테이블에서 점심을 먹곤 한다는 세영 씨. 이날 부부의 점심에는 사찰요리 모임에서 다 같이 만들어 가져온 연잎밥과 뒷산에서 직접 따와 담근 산딸기 장아찌 등이 상 위에 올랐다.
04 구옥 시절에는 주방 자리였다는 방. 지금은 조용히 사색하거나 독서를 즐기는 용도로 사용한다.
05 침실에는 벽장을 그대로 살려 원래 용도에 맞게 이불 등의 수납공간으로 쓴다. 덕분에 수납도 챙기고 한옥이라는 공간 분위기도 살릴 수 있었다.
06 침실 맞은편에는 세영 씨가 시어머니에게서 물려받은 낮은 자개장이 놓였다. 조금 흠집 나고 깨진 부분이 있지만, 물건에 대한 기억과 애정은 새 물건이 따라올 수 없다.
01 농한기에 이웃과 함께 치우고 겉을 걷어냈더니 100년 전 흙벽과 구조가 그대로 드러났다.
철거 – 300만원
02 구조와 단열재를 보강하면서 벽체를 고치고 그 위에 황토를 발라 ‘한옥의 색’을 냈다.
보강 및 미장 – 1,300만원
03 금속 기와로 지붕을 새로 올렸다. 서까래도 오래된 때를 벗겨냈다.
지붕 공사 – 300만원
04 한식 창호를 달고 실내 전기 배선도 마무리했다.
한식 창호 – 550만원 일반 창호 – 180만원
05 마당엔 몇 번의 시행착오를 거쳐 한옥에 어울리는 쪽마루를 설치했다.
쪽마루 공사 – 200만원
06 주변의 돌과 한식 기와로 담장을 두르고 잔디를 심었다.
담장 및 잔디 – 1,060만원
사찰음식을 즐기는 아내 세영 씨는 종종 지인과 함께 이곳 희담재에 모여 음식을 만들고 나누곤 한다.(좌)
도시 아파트에서는 누리기 힘들었던 취미도 이곳에서는 자유롭게 즐긴다. 국악을 공부하는 손녀와 함께 종종 협주도 한다고.(우)
쉬운 일은 아니었다. 서까래가 비뚤어져 어떤 문은 완전히 열리지 않고, 툇마루도 몇 번 뜯고 고치는 등 시행착오도 많았다. 하지만, 그 2년여의 과정에서 집은 더 사랑스러워지고, 어떤 새집도 갖지 못할 느낌의 멋진 한옥으로 돌아왔다.
“지금은 지인들에게 묵을 수 있도록 종종 빌려드리고 있어요. 이 한옥이 가지고 있는 매력을 나누고 싶어서요.”
세영 씨는 앞으로 경험이 좀 더 쌓이면 공유숙박 플랫폼 등을 통해 더 많은 사람과 공간을 누렸으면 싶다는 생각을 전했다.
부부는 집 이름을 ‘희담재’로 부른다. 즐거운(喜) 이야기(談)가 가득한 집(齋)이라고. 이름대로 한옥에는 다시 사람이 모이고, 차향과 음악이 흐르고, 또 이야기가 넘친다.
구옥 한옥은 철거하기 전까지 난이도와 비용을 가늠하기 어렵기 때문에 예산과 기간을 넉넉하게 잡아야 해요. 외장재 교체 정도면 괜찮지만, 구조를 보강하고 벽체를 새로 세워야 한다면 쉽지 않은 공사가 될 수 있어요. 한편, 작은 공정은 주변에 공사 현장이 있다면, 그 인부나 기술자에게 ‘온 김’에 맡기면 따로 부르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해결할 수도 있어요. 여기에 건축주 스스로가 목공학교 등을 다니며 일부 공정을 직접 해보는 것도 비용을 아끼고 집에 대한 애정을 키우는 데도 좋을 거예요.
건축주 카카오스토리 '한옥 힐링' https://story.kakao.com/ch/hhdvega
취재 _ 신기영 사진 _ 변종석
ⓒ 월간 전원속의 내집 / www.uujj.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