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에서의 여유로운 삶을 꿈꾸던 부부가 오래된 단층집을 고쳤다. 교토 여행에서 만났던 고즈넉한 정취를 단정하게 담아낸 주말주택이다.
거실 창 앞에 마주선 성명수, 김현경 씨 부부. 옛 구조를 살리되 필요한 곳에 H빔 보강을 하고, 불필요하게 많았던 창은 완전히 막거나 크기를 조정해 원목창을 직접 디자인, 제작했다.
인연은 어느 날 갑자기 찾아온다. 서울에서 직장 생활을 하며, 언젠가 고향에 내려가 사는 게 일생의 꿈이었던 성명수 씨. 그저 막연히 ‘터라도 있으면 조금이라도 더 빨리 실현되지 않을까’ 생각했고, 아내 김현경 씨와 나들잇길에 들른 부동산에서 급매로 나온 이 집을 만났다. 첫눈에 반한 두 사람은 그 자리에서 바로 매입 계약을 마쳤다. 그게 작년 3월이었다.
문 너머 보이는 다실. 수납 가능한 평상을 제작하고, 다다미를 구입해 평상 모양에 맞게 수선했다. 거실 장식장에는 파리 벼룩시장에서 산 그림, 맥주병을 활용한 소품 등으로 연출했다. 원목 제작한 가구와 선반, 은은한 조명이 돋보이는 주방. 유난히 두꺼운 벽체가 눈에 띈다.“일단 사람을 불러 철거부터 했어요. 그 후 아내와 함께 여행 다니며 참고할 만한 것들을 체크하고 그림을 그려나가기 시작했죠.”
나지막한 천장을 뜯어내자 오래된 서까래와 보, 그리고 상량문이 드러났다. 강원도 강릉, 이제는 구도심이 된 교동에 자리한 단층집은 1975년 지어진 곳. 낡은 대문을 열고 들어서면 임시로 달아낸 곳에 현관 및 신발장이 있었고, 군데군데 깨어진 시멘트 바닥의 마당이 그간의 세월을 실감케 했다. 특히 열악했던 화장실은 부부의 말을 빌리자면 ‘스릴러 영화의 배경으로 나올 법한 공간’이었다고.
리모델링은 평소 집 꾸미기에 관심이 많았던 명수 씨의 주도로, 현경 씨와의 깊은 대화를 통해 진행됐다. 대략적인 콘셉트를 구상하고 마땅한 시공 팀을 찾지 못하던 중, 인테리어 일을 하는 지인으로부터 ‘두경건설’이라는 곳을 추천받았다.
현관에서 바라본 집. 외벽 발치에 가로창을 내어 답답함을 덜어냈다. / 나란히 서서 차를 준비하는 부부의 모습. 천장은 기존 집의 지붕 형태를 살려 서까래를 노출하고 목재로 말끔하게 마감했다. 주방 안 왼쪽에 자리한 욕실. 내추럴한 질감과 톤의 석재 타일, 목재의 조화가 인상적이다. “직접 만든 콘셉트 보드를 들고 찾아갔죠. 준비를 너무 열심히 한 탓에 까다로워 보였는지 처음엔 못하겠다고 하셨는데, 결국 속초에서 강릉을 오가며 꼼꼼하게 작업해주셨어요(웃음).”
주말에는 명수 씨가 현장에서 직접 그림을 보여주며 작업했고, 그럴 수 없는 평일에는 현장 확인이 중요하지 않은 작업 위주로 이루어졌다. 갑자기 처리해야 할 일이 생기면, 서울에서 강릉으로 출퇴근하는 강행군도 마다하지 않았다. 먼 거리이기도 했지만, 전문가가 아닌지라 부분부분 맞춰가면서 작업하다 보니 진척이 꽤 더뎠다. 4월 공사를 시작하고, 추석이 지나고서야 사람이 지낼 만한 집이 됐다. 꼬박 7개월에 걸친 긴 여정이었다.
침대와 책상 하나씩만 두어 간소하게 꾸민 침실. 진정한 휴식을 위한 공간이다.
INTERIOR SOURCE
ENTRANCE 현관문 : 원목 제작(나왕)|중문 : 창호지 문|바닥 : 석재타일
LIVING ROOM 벽 : 삼화페인트|바닥 : 폴리싱 타일|조명 : T5 간접등|창호 : 원목 제작(나왕)|장식장 : 오투가구|스위치 : 융(JUNG)
KITCHEN 주방가구 : 원목 제작(멀바우)|싱크볼 : 이케아 HÄLLVIKEN|수전 : 이케아 BOSJÖN 냉장고 : 벨(Belle) 레트로 냉장고|조명 : 조지넬슨 버블램프
BEDROOM 침대 : 원목 제작(미송, 두경건설)|조명 : 벽 조명 – 루이스폴센 / 테이블 램프 – 플로스 그림 : OFR Paris(Sereda Taras)|책상 : 오투가구
TEA ROOM 조명 : 이케아|평상 : 원목 제작(미송, 두경건설)
BATHROOM 타일 : 석재타일|천장 마감재 : 미송|세면대장 : 원목 제작(멀바우)|욕실기기 : 아메리칸스탠다드
간결한 선과 깨끗한 흰 바탕, 따스한 질감의 목재가 어우러진 집은 머무는 이의 마음을 차분하게 다독인다. 부부가 가장 많은 영감을 받은 곳은 400년 넘게 일본의 수도로 자리했던 ‘교토’. 유서 깊은 전통을 잘 보존해온 집과 마을 모습이 인상적인 도시로, 그 고즈넉한 분위기를 세련된 감각으로 재해석해 집 안팎에 담아냈다. 외벽의 목재 세로 슬릿(Slit), 나무 미닫이문과 창호 등이 무심한 듯 온기를 불어넣고, 뒷마당으로 향하는 산책로에는 강릉에서 잘 자라기로 유명한 ‘오죽(烏竹)’을 심어 의미를 더했다.
침실 옆 다실에는 하부에 수납이 가능한 평상을 제작했다. 여름에는 창문을 바깥으로 활짝 열고 앉아 풍경과 바람을 누리며 차를 마시고, 손님이 오면 이불을 깔아 침대로 활용할 생각이다.
서재 테이블 아래 장식한 꽃 그림. 유리 테이블 아래 잡지를 연출한 외국 쇼룸에서 영감을 받았는데, 정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잡지나 꽃 대신 교토에서 사 온 그림을 놓게 되었다고. 새 주인을 만나 말끔해졌지만, 여전히 옛 모습을 간직한 주택 외관. 달아내어 쓰던 현관은 제대로 벽을 세워 안으로 들였다.
아파트에서만 살아온 터라 걱정이 많았던 현경 씨는 휴식에만 온전히 집중할 수 있는 침실이 가장 마음에 든다고 한다. 명수 씨는 옛 모습은 온데간데없이 완전히 변신한 욕실을 볼 때마다 감동이라고.
동서양의 절묘한 조화가 느껴지는 서재 공간은 부부가 모두 좋아하는 곳이다. 아치 창 아래 선반엔 부부가 소장한 책을 분기별로 달리 진열할 생각인데, 그 첫 번째 테마는 ‘여행’이다.
“집에 손님을 초대하는 걸 정말 좋아하는데, 지인의 SNS에서 교동주택을 본 분들이 생각지도 못하게 문의를 많이 주시더라고요. 주말에는 대부분 저희가 머물지만, 그렇지 못할 때나 평일에는 고향에 계신 부모님이 도시민박업을 맡아 집을 빌려드리려고 해요.”
두 사람은 앞으로의 즐거운 계획을 들뜬 목소리로 전했다. 날이 좀 더 따뜻해지면 서핑 후 돌아와 마당에서 바로 씻을 수 있도록 수도를 만들고, 뒷마당엔 바비큐 파티를 위한 장비도 제대로 갖추고 싶다. 젊은 세대가 모이기 시작한 이 골목에서 재미있는 프로젝트를 기획해보면 어떨까도 상상해본다. 어디 하나 정성과 추억이 담기지 않은 곳이 없어 애정이 남다른 집. 이제 더 많은 추억과 시간이 쌓일 일만 남았다.
교동주택 인스타그램_ kyodonginn
취재_ 조고은 | 사진_ 김진솔
ⓒ 월간 전원속의 내집 / Vol.240 www.uujj.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