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원주택을 짓는 업체를 찾아 비용을 물어보면 평당 3백~350만원이 훌쩍 넘는 시공비를 제시한다. 부지구입에 드는 비용까지 고려한다면 부담스러운 비용이 아닐 수 없다. 그렇다고 비용절감을 위해 아무 자재나 사용할 수는 없는 일이다. 인터넷 설계사이트인 이목수에서는 건축주들의 이런 고민을 해결해 줄 수 있는 설계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같은 집이라도 내ㆍ외장재의 선택에 따라 세 가지 가격대 중 선택할 수 있도록 했고, 원하는 옵션은 해당 부분의 비용만 추가하면 얼마든지 다른 제품으로 교체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내집짓기의 해결책을 마련해 줄 이목수의 인터넷사이트에서 평당 2백만원대에 지을 수 있는 경제주택, 27평형 30평형의 구조 및 마감, 자재까지 꼼꼼히 짚어본다. ▒ 27평 주택 평당 2백만원으로 뚝딱
내부구조 세 개의 방과 식당&주방(4.54평), 거실로 구성된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실내. 거실은 5평 남짓한 규모의 독립된 공간으로 만들었다. 거실과 주방을 분리해 주부의 가사공간을 분리시켰으며 주방 옆에는 별도의 수납공간을 만들어 자잘한 살림들을 수납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식당쪽에서 외부로 나갈 수 있는 발코니를 빼 옥외 휴식공간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평면 형태를 단순화 시키고 유사한 황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가까이 배치해 건축 자재를 절약할 수 있는 공간 구성 아이디어.
▒ 평당 220만원으로 지은 31평 주택 3세대가 함께 살기에 적합한 30평형 주택의 기본모델. 사이딩 패널로 마감한 외관이 화사하다. 사이딩 소재는 전원주택의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내 줄 수 있는 마감재로, 색상연출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나무, 플라스틱, 시멘트, 인공목재 등 다양한 소재가 시중에 나와 있기 때문에 선택의 폭이 넓다. 지붕은 평지붕을 택해 공간활용도를 높였으며 3세대가 함께 살다가 자녀가 결혼을 해 공간 확장이 필요할 경우 2층 증축도 가능하다. 또한 거실에 자연스럽게 데크(deck)를 연결하여 옛 건축에서의 마당과 같은 기능을 한다. 물론 충분한 외부공간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은 전원주택의 장점이겠지만 데크는 외부공간이면서 내부공간처럼 활용할 수 있어 더욱 쓰임새가 많다. 사이딩 패널로 외벽을 마감해 목조주택 같은 느낌을 주는 이 주택을 실제 시공하는 데에는 평당 220만원, 총공사비 6천9백만원 가량이 소요된다.
인터넷을 이용해 공간설계에서 자재선택에 이르기까지 온라인상에서 건축에 관련된 모든 것을 알 수 있다. 이목수에서는 다양한 테이터베이스를 구축해 놓고 소비자가 원하는 평수, 층수, 주변 여건, 예상 건축비 등을 입력하면 그에 맞는 사례들을 제시해주는 인터넷 사이트다. 건축에 관련된 각종 정보는 물론 3D를 통해 조건 변화에 따른 주택의 변화를 생생하게 전달, 초보자라 할지라도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새로운 모델들이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되고 있어 다양한 정보를 접할 수 있다. (문의 : 042-823-0854) 내부구조현관에서 직접 각 실로 들어갈 수 있는 최소한의 동선을 계획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내부 설계이다. 총 면적 31평중 거실이 차지하는 공간은 약 7평 정도로, 비교적 넓은 편이다. 내부공간은 안방을 비롯해 총 4개의 방과 식당겸 주방, 거실 등으로 구획되었다. 특히 주방은 주부의 주요 가사공간으로 되도록이면 동선이 짧아질 수 있도록 했으며 안방에 별도의 화장실을 배치하여 부부만의 독립적인 생활공간이 되도록 했다.
|
전원주택 & 단독주택
인터넷 사전설계 - 경제주택 짓기
![profile_image](https://uujj.co.kr/img/no_profile.gif)
건달
작성일
건달님의 댓글
![profile_image](https://uujj.co.kr/img/no_profile.gif)
윤주환
작성일
윤주환님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