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지붕 아래 1인 가구 둘로 구성된 듀플렉스 주택 > HOUSE
한 지붕 아래 1인 가구 둘로 구성된 듀플렉스 주택
- 관리자 오래 전 2021.09.08 18:09 인기
-
7,034
0
따로 또 같이 독립적인 주택
건축설계는 계획설계, 기본설계, 실시설계로 이어진다. 대지 여건을 고려한 배치부터 공간의 풍성함을 결정짓는 단면, 세대수와 가족의 취향을 반영하는 평면 계획 단계에서 건축가의 다양한 아이디어를 엿보는 기회를 가져본다.
![]()
SITE
경기도 용인에 위치한 소규모 주택 단지 가장 안쪽의 필지. 수려한 경관을 가진 남향을 품는 동시에 아늑한 내부 공간감을 갖는 주택을 짓는 것이 목표였다. 높은 곳과 낮은 곳 기준 3m 단차가 있어, 보는 방향에 따라 규모나 모양이 다른 것도 강점이다.
FAMILY
홀로 남은 두 중년의 이성 친구가 함께 늙어가기 위해 집을 짓기로 했다. 각자의 프라이버시와 선택적 공간 공유를 위해 한 건물이지만 두 개의 집이 결합된 형태가 요구되었다.
HOUSE PLAN
대지위치 경기도 용인시|지역지구 도시지역, 자연녹지지역
용도 단독주택|대지면적 304㎡ (91.96평)
건물규모 지하 1층, 지상 2층
건축면적 60.48㎡(18.29평)|연면적264.96㎡(80.15평)
건폐율 19.89%|용적률 87.16%
주차대수 4대|최고높이 7m
구조 철근콘크리트
![]()
DIAGRAM
![]()
① 가중평균치를 계산, 지하층 600mm 레벨 다운 후 지하로 산정했다.
![]()
② 지하층 매스를 북서측으로 밀착해 남향을 확보하고, 채광이 필요한 프로그램을 배치했다.
![]()
③ 가늘고 긴 지상층 매스를 지하층 매스와 교차 시켜 외부와의 심리적·물리적 경계를 형성했다.
![]()
④ 조망을 위해 매스를 틀면서 자연스럽게 입구를 확보, 풍부하고 역동적인 공간을 만들었다.
CONCEPT & INTERIOR
![]()
따로 또 같이 사는 집 | 각자의 사정으로 혼자 살게 된 두 중년이 한 주택에서 조화롭게 살기 위한 주거 공간이다. 프라이버시는 보장하되, 함께 어울릴 공간이 필요한 상황. 각 집을 수직적으로 분리하고 한 명은 1층을, 다른 한 명은 2, 3층 두 개의 층을 쓰기로 했다.
![]()
접근성과 외부 공간 | 접근 가능한 대지 레벨이 서로 달라 독립적인 입구와 주차장, 마당 등 외부 공간을 가질 수 있도록 배려했다. 각각 남향 빛과 좋은 전망을 누릴 수 있도록 배치하고 매스를 엇갈리게 놓아 힘 있고 유쾌한 형태로 역동적인 외관을 구현했다.
![]()
공통의 관심사와 공유 공간 | 1인 가구의 집인 만큼 내부 역시 단출하게 구성되었다. 거실 겸 주방과 본인의 방, 그리고 자녀들이 가끔 묵을 수 있는 방 한 칸으로 이루어져 있다. 골프를 좋아하는 두 사람을 위해 교집합 공간에 실내 골프장을 두어 공통된 취미 생활을 즐길 수 있도록 공간적으로 풀었다.
![]()
SECTION & PLAN
![]()
① 주차장 ② 현관 ③ 거실 ④ 주방/식당 ⑤ 방 ⑥ 욕실 ⑦ 가족실
![]()
B1F / 1F / 2F
건축가 안철민 _ 9cm
![]()
경희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더 시스템랩에서 실무를 익힌 후 2012년 9cm architecture를 개소했다. 건축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가구, 조명, 그래픽디자인까지 아우르고자 하며 건국대학교 건축학과 외래교수를 역임하고, 인터넷 라디오 방송 ‘예술핥기’를 진행했다. 대표작으로는 판교 타운하우스, 정자동 아파트 인테리어, 서교동 풀 메탈 자켓 등이 있다. 02-749-8182 | www.9cm.kr
구성_ 편집부
ⓒ 월간 전원속의 내집 / Vol.258 www.uujj.co.kr
월간 <전원속의 내집> 의 기사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습니다. 무단전재, 복사, 배포는 저작권법에 위배되오니 자제해주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고전적인 형태와 공간을 현대적으로 해석한 서울 단독주택2021.09.08
- 다음글층간소음 피해 지은 오직 부부만을 위한 주택2021.08.3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