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돈 절약하는 농가주택 마련법
페이지 정보

본문
인간은 나이가 들면서 고향과 시골에 대한 귀소본능을 가지고 있다. 시골생활을 시작할 때 준비해야 할 첫 번째는 주택마련. 이러한 주택마련에는 농지를 구입해서 전용허가를 득하고 새로 집을 신축해서 입주하는 일반적인 전원주택과 기존주택을 매입해서 이주하는 방법이 있다. 이때 기존주택 중에서도 지은 지 오래되었지만 매입해서 이주할 수 있는 주택을 농가주택이라고 한다. 농가주택은 옛날부터 자연적으로 농촌지역에 취락이 형성되어 사람이 거주하는 주택이므로 신규로 주택을 건축해서 이주하는 것보다 여러 면에서 신중을 기해야 한다. 또한 기존 자연취락 내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지역 원주민들과 어울려 사는 마음의 준비가 미리 되어있어야 한다. 기타 농가주택 구입에 있어서 중요시되는 몇 가지 조건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원주택지와 마찬가지로 지역선택이 중요하다. 자신의 고향에다 농가주택을 구입하면 가장 좋을 것이다. 왜냐하면 기존마을 주민이 모두 아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처음부터 위화감 없이 어울려 살 수 있다. 고향이 너무 멀어 갈 수 없는 사람은 생활권을 고려해 서 지역을 선택한다. 둘째 지역이 결정된 후에는 농가주택의 위치선택이 필요하다. 보통 농가주택은 시골마을이 한곳에 모여서 형성된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마을 한가운데 형성된 주택보다는 차량출입이 용이한 곳이 적당한데, 마을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거나 약간 언덕에 위치한 주택이 좋다. 농가주택의 위치도 일반적인 전원주택의 위치와 거의 비슷하게 선택하면 된다. 셋째 주택의 상태가 중요하다. 보통 농가주택을 찾는 사람은 적은 자금으로 허름한 주택을 구입하여 개조(리모델링)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주택의 상태 중에서는 기둥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둥만 견실하면 얼마든지 기둥을 기초로 해 내·외부 구조를 변경하여 생활하기 좋은 주택으로 다시 고칠 수 있다. 기둥 다음으로는 지붕의 상태, 그리고 서까래의 상태를 확인하는 순으로 주택 곳곳을 살펴본다. 이때 리모델링의 비용은 보통 평당 70만원에서 1백만원 정도가 소요된다. 하지만 집의 구조나 상태에 따라서는 신축하는 게 오히려 현명한 경우도 많다. 넷째 주택의 구조를 살펴봐야 한다. 시골집의 전통가옥은 ㄱ자, ㄴ자, ㄷ자 주택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주택의 형태와 마루의 크기, 툇마루 유무, 본채와 행랑채의 위치관계에 따라 내가 원하는 구조로 개조가 가능한지의 유무가 결정된다. 즉 원하는 방의 개수, 작업실, 서재, 거실의 형태 등등이 기존 주택의 구조에 따라 결정된다. 이러한 몇 가지 조건을 항상 염두에 두고 많은 시간을 투자해서 여러 지역, 여러 주택을 살펴봐야 한다. 특히 농가주택은 매물로 나와있는 것을 외지인이 잘 알 수 없기 때문에 현지 부동산 중개업소에 미리 부탁해 두는 것이 원하는 집을 보다 쉽게 찾아내는 방법일 수도 있다. 누구나 전원생활을 꿈꾸며 자연환경이 좋은 곳에 위치한 아름다운 주택을 생각하기 마련이다. 그러나 마음 속에 있는 그림을 지우고 약간의 노력을 기울이면 저렴한 비용으로도 즐거운 전원생활을 충분히 할 수 있다. 이렇듯 적은 자금으로 전원주택을 구입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겐 기존 농가주택을 구입해 개조한 다음 입주하는 게 가장 좋다. 또 현명한 재테크의 한 수단도 될 수 있다. |
|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