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사전설계 - 맞춤형 주택
페이지 정보

본문
| ||||||||||||||||||||||||||||||||||||||||||||||||||||||||||||||
▒ 가족들의 휴식을 위한 별장형 주택 광명시에서 조그만 플라스틱 용기 공장을 운영하고 있는 김수한 씨. 그는 우연한 기회에 거래처로부터 결제대금대신 파주땅 60평을 받았다. 막상 땅을 받고 나니 그 땅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고민이었다. 아직 아이들도 어리고 아직 하고 있는 일도 있었으므로 무작정 전원생활을 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었다. 인터넷을 통해 건축 관련 사이트를 검색하면서 정보를 수집하기 시작했고 각종 건축잡지를 보면서 무슨 일을 어떤 과정을 통해서 해야하는지 꼼꼼하게 체크했다. 공간의 목적과 수, 배치 등이 문제였다. 지금 살고 있는 곳은 아파트와는 다른 공간구조를 가졌으면 했다. 내가 짓는 집인 만큼 내가 원하는 대로 짓고 싶었던 것이다. 시중에 나와 있는 설계도면을 살펴보았으나 우리 가족들에게 맞는 것인지 쉽게 결정할 수 없었다. 그렇다고 설계사무소를 찾아가자니 비용이 부담되었다. 때마침 전원주택 전문잡지를 통해 ‘인터넷을 이용한 초보자들의 내집짓기’라는 기사를 보게 되었고 그 사이트를 통해 김씨 가족들이 원하는 맞춤형 주택을 찾을 수 있었다. 40대 부부, 15세 아들, 13세 딸의 가족 구성을 갖는 김수한·이인숙 씨 가족은 개인 공간보다는 공용공간이 넓고 특히 거실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았으면 했다. 또 휴식을 위한 공간이므로 최대한 편안한 분위기이면서 전원주택의 백미인 데크를 최대한 이용할 수 있길 바랬다.
![]() 흔히들 정년퇴직을 경제활동의 중단으로 받아들인다. 그러나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새로온 삶의 시작이 될 수도 있다. 노인인구가 증가하면서 새로운 문화가 형성되었고 주거에 있어서도 실버주택이라는 새로운 주택형태가 등장한 것이다. 이러한 실버주택에 전원주택의 개념을 접목시킨 것이 바로 실버형 전원주택인데 다른 것이 있다면 일반 전원주택은 전체 가족구성원을 위한 구조를 갖고 실버형 전원주택은 노인들의 편의를 중심으로 공간을 계획하고 배치한다는 것이다. 새로이 건축하는 주택의 경우, 철저하게 노인들을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어 더욱 그 의미를 발휘할 수 있다. 일찌감치 전원생활을 계획, 10년 전 쯤 이천에 농가주택을 구입했다. 새로이 신축할 때 복잡한 절차를 생략할 수 있고 또 가격도 저렴해 구입하기가 용이했다. 그 당시는 허름한 농가였으나 정년퇴직을 계기로 새로운 전원주택으로의 변신을 시도한 것이다. 막연하게나마 실버형은 여느 전원주택과 다르게 계획해야 될 것 같은 생각이 들었으나 구체적으로 떠오르지 않았다. 인터넷으로 설계를 대신해주는 사이트인 이목수(www.emoksu.com)에 들어가 검색해 보았으나 실버형 주택에 관한 설계안이 그리 많지 않았다. 다행히도 이목수에서는 맞춤형 설계도 해주고 있었으므로 차승연 씨가 원하는 몇 가지 조건을 넣어서 의뢰를 했다.
▒ 각 세대별 라이프 스타일 살린 3세대형 주택 강남에 회사를 두고 있는 조길웅 씨. 부모님을 공기 맑고 경치 좋은 곳에 모시고 아이를 넓은 마당에서 마구 뛰어 놀 수 있게 해주고 싶은 마음에 현재 살고 있는 아파트를 처분하고 중간정산한 퇴직금을 합쳐 강남권과 근접한 경기도 광주에 땅을 구입, 전원생활을 하기로 했다. 3세대가 살 공간이므로 각 세대별로 라이프 스타일에 맞는 공간을 만드는 것이 중요했고 2세대인 조길웅 씨 부부를 중심으로 각 공간마다 유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져야 했다. 그러나 한정된 비용에 맞는 공간을 계획하기란 무척 어려운 일이었으며 내 가족이 살집이므로 잘 지어야 한다는 부담감 때문에 무엇이든 쉽게 결정할 수 없었다. 싸게, 다양한 설계안을 제시해 주는 이목수를 통해 3세대형에 어울리는 여러 형태를 제공받을 수 있었는데 이목수는 3세대형 전원주택의 라이프사이클 분석까지 곁들여 주어 단기적인 주택 계획이 아닌 장기적인 주택계획이 될 수 있도록 했다. 지금은 노부부와 젊은 부부, 유치원생 아이를 위한 공간이지만 식구가 늘어날 때 또 아이가 성장해 초·중·고를 다닐 때, 대학을 다닐 때, 직장을 다닐 때, 분가를 할 때 등에 따라 공간의 크기나 용도가 달라질 수 있다. 바로 그런 점으로 인해 공간의 가변성까지 고려해야 했다.
|
|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