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uujj.co.kr/bbs/board.php?bo_table=notice&wr_id=396&page=24
CULTURE 4 페이지 | 전원주택 정보의 모든 것 월간 전원속의 내집
로그인
회원가입
쇼핑몰
HOUSE
LIVING & DECO
CULTURE
설계제안
아이디어
분양정보
업체정보
공지사항
CULTURE 4 페이지
검색
포인트정책
CULTURE 포인트 정책
글쓰기
5P
전체 338건 / 4 페이지
인기
2015.11.20
복사열 차단에 투습 성능까지 갖춘 불연 하우스랩 단열재
몇 해 전, 건축물에너지절약설계기준이 개정되면서 건축 자재와 시공 업계는 많은 혼란을 겪고 있다. 강화된 단열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한 새로운 자재들이 속속 등장하고, 현장에서는 이중 내단열, 추가 외단열 공법 등으로 묘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이중 기존 열반사단열재의 복사열 차단 기능에 투습방습 효과까지 갖춘 불연 하우스랩 단열재가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취재 이세정 사진 변종석 취재협조 (주)윈코 02-3272-0661 www.winco.co.kr전도, 대류, 복사는 건축물의 열을 전달하는 세 가지 경로이다. 이중 열 전달량이 가장 많은 복사열을 제어한다면 주택의 단열 성능은 높아지고 냉난방비도 그만큼 절감된다.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건축용 단열재 중 복사열 차단 효과가 높은 제품은 단연 열반사단열로, 표면에 알루미늄 재질의 금속판이 덮여 있어 외부 열을 반사시키는 데 뛰어난 성능을 보인다. 때문에 국내에 열반사단열재가 처음 출시되었을 때, 그 인기는 꽤나 높았다. 당시에는 시멘트콘크리트뿐 아니라 목조나 스틸하우스에도 외부에 반짝거리는 은박 소재의 단열재를 두른 모습이 눈에 많이 띄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상황은 달라졌다. 여기저기서 제품 성능에 대한 의문이 생기기 시작하고 하자 문제가 속출하며 그 인기는 급속도로 식어갔다. 특히 최근 들어 패시브하우스와 목조주택 전문가들이 열반사단열재를 결로 발생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하면서, 리모델링이나 저가 공사에 사용한다는 인식이 커졌다. 현재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열반사단열재는 그 종류만 해도 20여 개가 넘는다. 서너 개의 유명 브랜드 외에도 열반사시트, 열반사벽지 등의 이름이 붙어 판매되고 있다. 반면 불연 하우스랩 단열재는 생김새는 열반사단열재와 비슷하지만, 전혀 다른 성능으로 무장한 새로운 제품이다. 불연ㆍ단열ㆍ흡음 성능이 우수한 E-Glass Fiber(유리 섬유)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해 직조하고 바깥쪽에는 고투습 알루미늄을 붙인다. 이는 뛰어난 복사열 차단 효과는 물론, 타공으로 인한 투습방습 효과를 갖춰 목조주택에도 무난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주)윈코의 스카이텍 하우스랩은 열전도율 0.031w/mK로 단열재 ‘가’ 등급을 획득하고 열관류율 0.14W/(㎡K)의 시험성적서를 갖춰 강화된 단열기준에 맞추기 위한 보조단열재 역할이 가능하다. 이젠 설계 과정에서 도면에 단열재 사양이 들어가는 것은 물론, 단열재의 시험성적서 등 자료 제출이 의무화된 실정이다. 이로써 목조주택 현장의 그라스울과 EPS 조합의 이중단열 공법을 대체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단열기준은 충족하면서 벽체는 슬림하게 그라스울 R19 + 불연 하우스랩 단열재 조합 현재 국내 경량목구조 주택은 2×6 벽체 스터드에 R19그라스울을 넣고, 지붕은 2×8 서까래에 R30의 그라스울을 시공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초창기 시공하던 2×4 벽체에 R11은 지금은 당연히 불합격 조건이 되며 2×6 벽체에 R19그라스울을 사용해도 사용승인을 받지 못한다. 160㎜ 두께로 공급되는 그라스울도 있지만, 2×6 스터드 벽체 두께가 140㎜이다 보니 단열재를 눌러서 시공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는 단열 성능을 떨어뜨린다는 이유로 허가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그렇다 보니 그라스울 내단열에 EPS 외단열을 추가하는 공법이 늘어나고 있지만, 벽체가 두꺼워지고 외벽 마감제 종류가 제한되는 점, 추후 결로가 생길 수 있는 점 등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EPS 외단열 대신 하우스랩 단열재를 시공하면 단열기준을 충족하는 동시에 얇은 벽체를 구현할 수 있고, 복사열까지 차단하는 효과를 얻는다. (주)윈코 기술개발팀의 김성훈 과장은 “스카이텍 하우스랩 8㎜는 일반 그라스울 60㎜ 두께에 해당하는 성능을 가진다”며 “석고보드 - 0SB - R19그라스울 - OSB - 스카이텍 - 공기층 - 시멘트사이딩 벽체의 경우, 건축물의 열손실을 30% 이상 감소시킨다는 공인시험성적서를 받았다”고 밝혔다. 단, 이 모든 시스템의 전제 조건은 정확한 시공 디테일에 있다. 하우스랩 단열재는 벽체와 수직으로 롤을 풀면서 시공하며, 겹침 부위는 최소 10㎝ 이상으로 한다. 연결 부위는 알루미늄 테이프로 테이핑한 후 스카이텍과 최종 마감재 사이에 40×40 각재를 사용하여 타카 등으로 고정시킨다. 반드시 최소 20㎜ 이상의 공기층을 가져야 복사열 차단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점이 시공의 핵심이다. <열화상 테스트 비교> ▲ 불연 하우스랩단열재를 설치한 현장 - 외벽에 열이 새어나가는 면이 없이 기밀하고 지붕과 벽체가 맞닿는 면도 열교 현상이 거의 없다. ▲ 하우스랩 미적용 건물 - EPS단열재로 시공한 건물은 면이 닿는 부분에 선형 열교가 생기고 특히 지붕과 벽체 연결 부위에 열교 현상(붉게 나타난 부위)이 심하다. 불연 하우스랩 단열재 제품 구성도 1. ALGC(Aluminium & Glass Cloth) 알루미늄에 유리섬유 매쉬를 결합시켜 뛰어난 복사열 차단 성능을 가지며 알루미늄의 취약점인 인장·인열 강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한 숨 쉬는 멤브레인(HPV급 고투습 알루미늄). 미세 기공 공법으로 투습 성능을 가지고 있다. 2. E-Glass Fiber Needle Mat 불연·단열·흡음 성능이 우수한 E-Glass Fiber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화학적 처리를 하지 않고 물리적 공법으로 직조한 고기능성 단열재료(불연, 섬유직경 9~25㎛). 3. Aluminium 반사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높은 순도의 Aluminium을 결합시켜 복사열에 대한 반사성능과 내구성이 뛰어난 직경 30㎛로 천공한 고순도 알루미늄. Q&A 전문가에게 물었다! 불연 하우스랩 단열재, 그 원리가 궁금하다 Q&A 전문가에게 물었다!불연 하우스랩 단열재, 그 원리가 궁금하다 Q1 주요 기능 중 태양열에 대한 복사열 차단은 겨울철에는 효과가 없지 않나? 열반사는 태양열뿐 아니라 복사열 전부에 대한 저항이다. 모든 물체는 온도의 높고 낮음에 상관없이 복사열을 방출한다. 스카이텍 열반사단열재는 표면의 낮은 방사율로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모든 복사열의 이동 경로를 막는다. 여름철에는 뜨거운 태양복사열을 외부로 반사시켜 실내를 쾌적하게 하고 냉방에너지 비용을 절감해 준다. 겨울철에는 내부의 난방열을 실내를 향해 효과적으로 반사시키며, 낮은 방사율로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막는다. Q2 화재에 대비한 성능은 어떠한가? 폴리에틸렌 폼이나 폴리에스터 부직포 등을 붙인 열반사단열재는 석유화학제품으로 불에 잘 타는 가연성 물질이다. 스카이텍 하우스랩 단열재는 준불연 이상의 무기질 재료를 이용하여 화재의 확산, 유해가스 발생을 최소화하여 화재로부터 인명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Q3 꼭 공기층을 두고 시공해야 한다는데, 그 두께는 어느 정도 만들어야 하는가? 복사열 차단 제품을 시공할 때 적정 공기층은 필수이다. 좌측 그림을 참조해 설명하자면 공기층이 없을 경우 외부 마감재의 열이 전도 현상을 통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반면, 공기층을 확보하면 외부 마감재에서 방출하는 복사열이 하우스랩 표면에 닿아 반사되는 원리이다. 공기층의 적정 두께는 최소 20㎜로 권고한다. 공기층이 두꺼울수록 복사열 차단 효과는 높지만, 벽체나 지붕 구조물 두께가 늘어나는 점을 감안해 20㎜로 산정했다. 그 이하의 얇은 공기층일 경우는 전도, 대류 현상으로 열이 전달될 수 있다. Q4 단열재 위에 타카나 못, 고정 화스너 등을 박으면 알루미늄 피박이 부식되지 않는가? 시멘트 등 강알칼리 소재는 일반 알루미늄이 부식될 수 있으나 타카, 못, 화스너는 알칼리 소재가 아니라 산화되지 않는다. 특히 스카이텍은 표면 고순도 알루미늄으로 방사율에 영향이 없는 내부식 코팅을 한 제품이다. Q5 기존 외단열을 위해 EPS를 선택하는 이들에게 하우스랩 단열재를 대체재로 추천한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초기 열반사단열재가 인기를 끈 이유는 시공이 편리했기 때문이다. 하우스랩 단열재 역시 제품이 롤 형태로 되어 있어 종이를 붙이는 느낌으로 손쉽게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EPS, 압출법 보온판 등 판상형 자재들은 이음매의 열교 현상이 있으나 하우스랩 단열재는 이음매 없이 집 전체를 감싸 열교 현상이 확실히 줄어든다. Q6 단열 성능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데이타가 있나? 지난겨울부터 올여름까지 2개의 실험동을 갖추고 직접 테스트를 했다. 한 개의 실험동에는 투습방수지를, 다른 하나에는 불연 하우스랩 단열재인 스카이텍과 리플렉섬을 시공하고 일정 온도을 설정하고 냉난방기를 가동했다. 온도기록계와 적산전력계로 꾸준히 소요 에너지량을 모아 본 결과, 하우스랩 단열재 시공으로 인해 동절기에는 32.36%, 하절기에는 28.8%의 전기를 절약하는 효과를 얻었다. 스터드 주위에 열교 현상도 현저히 줄고, 자체적인 단열성능으로 평균 온도를 올리는 데 기여한 것을 눈으로 확인한 바 있다. 답변ㆍ(주)윈코 기술영업팀 강지현 ※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이 게시물은 전원속의내집님에 의해 2017-04-21 17:21:21 HOUSE에서 이동 됨]
전원속의내집
조회 18,303
인기
2016.01.19
“다락방 높이는 어떻게 계산하나요?”
예비 건축주들이 궁금해 하는 건축 관련 사항 중 다락방의 규정과 실제를 도해와 함께 알기 쉽게 풀어본다. 월간 <전원속의 내집> 취재 조고은 건축법시행령 제119조(면적 등의 산정방법)에 따르면 다락방은 ‘층고가 1.5m 이하, 경사진 지붕(박공지붕)일 경우 1.8m 이하인 것’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층고’란 ‘방의 바닥구조체 윗면으로부터 위층 바닥구조체의 윗면까지의 높이’입니다. 동일한 방에서 층의 높이가 다른 부분이 있을 때는 각 부분 높이, 면적에 따라 가중평균한 높이로 계산합니다. 위층이 없는 다락방의 층고는 바닥에서부터 천정이 아닌 지붕 맨 꼭대기까지의 높이를 말합니다. 평지붕일 경우에는 다락방의 바닥에서 지붕 꼭대기까지 높이를 재어 1.5m 이하인지만 확인하면 됩니다. 하지만 목조주택에서 대부분의 다락방은 경사 지붕인데, 이때에는 방의 체적을 면적으로 나눈 ‘가중평균 높이’가 1.8m 이하여야 합니다. 평균 높이만 준수한다면, 다락방의 최고 높이를 어른 키보다 높은 2m로 설계하여 층고가 낮은 쪽은 수납공간으로 활용해 실생활이 충분히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죠. 하나의 다락방 안에 다양한 높이가 존재할수록 계산은 더 복잡해지는데, 그럴 때는 각 덩어리를 분리하여 체적과 면적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가중평균 높이를 구해주면 됩니다. 자, 그럼 예제를 통해 박공지붕 다락방의 층고를 계산해볼까요? ※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이 게시물은 전원속의내집님에 의해 2017-04-21 17:20:22 HOUSE에서 이동 됨]
전원속의내집
조회 23,055
인기
2016.05.09
건축가의 좌충우돌 다가구주택 짓기 01
우리 시대 ‘집’의 가치가 변하고 있다. 혼란스러운 부동산 시장에서 진정한 내 집 마련의 의미, 그리고 정답은 아니지만 하나의 방법으로서의 가이드를 제시한다. 직접 땅을 사고 설계에서부터 시공까지 모든 과정을 직접 경험한 한 건축가의 집짓기 수기, 그 좌충우돌 분투기가 지금부터 펼쳐진다. 글 곽은선 건축가 정리 편집부 집 값 상승세의 종점이 머지않았음을 예측한 3년 전, 우리 가족은 내 집 마련을 위한 준비를 시작했다 한 아이의 엄마이자 야근과 철야를 밥 먹듯이 하는 일하는 여성, 그리고 온전히 우리의 힘으로 집을 마련해야 하는, 우리 주변의 평범한 가정 속에 내가 있다. 아이가 초등학교에 들어가고 이제 진짜 ‘내 집’을 마련해야 하는 시기가 왔고, 우리 가족은 아파트를 살 것인가 말 것인가 하는 고민에 빠졌다. 설계를 하는 건축가로서 획일적인 아파트는 이미 예전부터 그 가치 이상의 과잉가격으로 거래되고 있다고 생각해 왔다. 설령 지금 아파트를 사더라도 30년 후 배관이 낡거나 내외부가 노후화되어 리모델링이나 재건축을 하게 된대도 소위 ‘돈’이 안 되기 때문에 대형 건설사들이 이 일에 뛰어들기 힘들다는 판단이 들었다. 만약 재건축을 하게 되더라도 각 세대가 부담해야 하는 비용도 상당할 것이었다. 무엇보다 지금 당장은 경제활동을 하고 있지만 30년 후 노인이 된 주민 대다수가 마음이 맞아 아파트를 고쳐가며 살 수 있을까? 30년 후 슬럼화 될 가능성이 큰 아파트 장만을 위해 전 재산을 쏟아 붓고, 거기에 대출금을 갚기 위해 10~20년의 삶을 은행에 저당 잡혀 살고 싶지는 않았다. 게다가 내가 내는 돈의 상당 부분은 건물의 가치가 아닌 건설사 영업의 꽃인 ‘아파트 브랜드’의 가치 아닌가! 아파트 전셋값으로 서울 시내 한복판에 내 집을 마련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싶었다 하지만 아파트가 아닌 대안으로서, 도시 거주자들이 건물과 땅에 어느 정도 지분을 가질 수 있는건 다세대나 다가구 뿐이다. 이들은 우리 도시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주거형태이지만, 저급한 재료를 사용하고 층간소음과 단열, 방수 등의 문제로 ‘돈이 넉넉하지 않은 서민이 사는 곳’이라는 사회적 인식을 지우기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었다. 건설업자의 돈벌이에, 건축주의 공사비 절감, 그리고 건축 설계자의 공장에서 찍어내는 듯한 설계의 삼박자가 지금의 주택가를 ‘그곳에 살면 춥고, 가난하고, 아파트보다 열악한 주거’로 사람들 머릿속에 심어 놓았다. 닭장 같은 아파트보다 드라마틱해야 할 그 공간을 열악한 환경으로 만든 현재 주택가의 모습에 우리 모두가 반성해야 한다. 그래서 나는 건축가로서, 한 가정의 구성원으로서 사회의 허리를 이루는 중류층과 서민이 따뜻하고 조용하게 살아갈 수 있는 내 집을 만들어야겠다고 다짐했다. 무엇보다 내 아이가 브랜드 아파트에 살지 않더라도 무시당하지 않고, 행복하게 추억을 쌓아가며 건강하게 커갈 수 있는 공간을, 아파트 전셋값으로 서울 시내 한복판에 마련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싶었다. 값싼 땅의 문제를 디자인으로 극복하다 그리하여 우리 가족 총 12명, 3세대가 모여 사는 현대판 대가족이 서울 상도동에 자리를 잡았다. 아이의 육아를 위해 함께 거주할 시어머니와 남편의 외할머니, 그리고 큰시누이와 큰조카가 한 세대를 이루고, 우리 부부와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아들이 두 번째 세대를 구성한다. 마지막으로 둘째 시누이 부부와 세 명의 어린 조카가 세 번째 세대를 이룬다. 우리가 모여 살 집을 짓기 위해 1년간 땅을 알아보았고 2011년 말, 시세보다 저렴하게 상도동에 평당 850만원에 40평 대지를 사게 되었다. 대개 가격이 싼 땅은 그만한 문제가 있다. 이 땅도 좁고 길며 땅 면적이 너무 작았다. 철거 전 대지도 도로보다 3m 가량 높았기 때문에 사업성이 떨어지는 부지였다. 1년간 3번의 설계를 변경하며 매달린 끝에 이 땅에 딱 맞는 최적의 디자인을 만들어낼 수 있었다. 주택은 지하 1층과 1층의 절반을 사용하는 A세대, 1층의 절반과 2층의 절반을 사용하는 B세대, 2층의 절반과 3층을 사용하는 C세대가 내부 계단과 화장실 벽을 경계로 각각 완벽하게 구분되며 3세대 모두 복층형 구조를 갖는다. 또한 지하 1층이 도로에 면하여 전면은 온전히 외부로 개방할 수 있다. A세대 지하층의 단점을 1층 테라스의 개방감으로 극복하다 지하 1층에는 3대의 주차 공간과 A세대 시어머니와 시할머니의 방, 화장실, 거실 및 주방이 위치하고 내부계단을 통해 1층으로 올라가면 큰시누의 방과 그녀의 아들 방, 화장실이 위치한다. 지하층이 갖는 단점을 1층 테라스 공간과 시야의 트임으로 극복하고, 한 곳에서 식사를 하면서도 각 구성원들의 프리이버시는 존중될 수 있게 구성했다. B세대 두 층을 어긋나게 사용하며 다양한 공간을 연출하다 주차장 후면에 위치한 외부계단을 통해 올라가면 B세대의 현관이 나온다. B세대는 1층에 거실 및 주방과 안방 1개가 위치하며, 내부계단을 통해 2층으로 올라가면 아이방과 서재가 나온다. 1층에 거실과 방과 연계되는 B세대의 테라스를 계획하였고, 2층의 서재에 외부 발코니를 계획하여 거주 공간을 내부에 한정하지 않고 외부까지 확장시켜 답답함을 최소화하려 노력하였다. C세대 최상층의 이점을 살려 내부계단과 옥상을 적극 활용하다 C세대는 외부로 돌아 계단으로 2층까지 진입하여 현관으로 들어서면, 2층에 현관, 거실 및 주방, 방 1개가 있고, 내부계단을 오르면 3층 방 2개와 화장실, 복도가 나온다. 최상층의 이점을 살려 내부 계단의 다양한 공간감과 3층 외부 옥상부를 자신만의 전용 외부공간으로 갖는다. 건축가가 먼저 공간을 좀 더 품위있게 접근한다면 열악한 주택가 골목의 풍경이 바뀔 수 있지 않을까? 처음 생각한 금액보다 총 공사비는 증가되었다. 최고급 단열재의 사용, 관공서에서나 쓴다는 배관의 사용, LED 전등의 70% 사용, 층간 소음 방지재, 숯페인트 등 이유는 많다. 하지만 그렇게 했음에도 각 세대가 땅부터 완공까지 지출한 금액은 현재 서울 시내의 아파트 전세금 정도이다. 그리고 입주한 지 3개월이 된 지금, 다른 이들이 말하는 내 집 마련의 행복을 만끽하고 있다. 위층 형님의 세 아이와 우리 아이가 뛰어다녀도 시끄럽지 않고, 20평 밖에 되지 않지만 결코 좁게 느껴지지 않는 널찍한 공간감이 있다. 계단에 앉아 읽지 않던 책을 꺼내 읽는 아이를 볼 때마다 흐뭇함을 느끼고, 다양하되 지나치게 크지 않은 창문과 밖으로 비치는 하늘을 바라보며 그 동안의 고생을 잊어간다. ‘집’은 누구에게나 소중하다. 우리 가족 삶의 추억을 담는 곳이고, 치열한 삶의 노고를 달래는 휴식 공간이다. 주거는 문화의 시작이다. ‘재테크의 수단’이나 ‘과시를 위한 집’ 의 시대는 지났다. 이제 주거 공간을 좀 더 품위 있게 접근해야 한다. 내 집부터 시작한다면 우리나라의 열악한 주택가 골목의 풍경이 바뀔 것이라는 믿음으로 이 프로젝트의 시작을 열어본다(다음호에 계속…). 이 글을 쓴 이에스건축사사무소 곽은선 소장은 건축 17년차 베테랑 건축사이자 현재 충북대학교 건축학과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4년 서울의 흑석동 다세대 전셋집에서 신혼을 시작했고 10년간 다세대·다가구에 살며, 우리 시대 공동주거가 왜 이렇게 열악한지, 왜 사람들은 아파트라는 하나의 건축 유형에 자신의 전 재산과 인생을 저당 잡혀 살아가고 있는지 의구심을 가지고 주거 환경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해왔다. 결국 불혹을 앞둔 지난해, 시어머니와 시누이를 꼬드겨 서울 한복판, 상도동 국사봉 자락에 세 가구가 살 집 한 채를 짓기로 결심하고 일을 벌인다. 02-2611-7759 chobabb@hotmail.com※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이 게시물은 전원속의내집님에 의해 2017-04-21 17:19:12 HOUSE에서 이동 됨]
전원속의내집
조회 14,557
인기
2016.09.08
Q&A / 해외직구 돌발상황 대처하기
국내에서 구하기 어려운 물건들을 마음껏 쇼핑할 수 있고, 같은 물건도 훨씬 저렴하게 살 수 있는 ‘해외직구(해외직접구매)’. 긴 배송 기간을 감수하고서라도 이를 애용하는 직구족이 늘어나면서 해외직구 정보와 노하우들이 인기리에 공유되고 있다. 하지만 언어적 차이, 결제와 배송 시스템의 차이로 생기는 크고 작은 문제들이 직구족을 당황하게 한다. 이런 이들을 위해 1,300여 건의 해외직구 문제를 다룬 전문가 최이현 씨에게 조언을 구했다.구성 조고은 Q 해외직구 과정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는? A ‘잘못된 주소입력’이다. ‘핫딜(HOT DEAL)’이라는 특가 세일 정보가 떴을 때 구매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보니, 상품이 품절되기 전 주문해야 한다는 조급한 마음에 주소를 잘못 적을 때가 많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사람이 물건을 잃어버리거나 받지 못하게 된다. 이럴 때는 잘못된 주소를 ‘언제 발견했느냐’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미국은 출고부터 배송까지 모든 것이 컴퓨터로 진행되어 배송 전이라도 주소 정정이 어려울 때가 많다. 만약 주문 후 30분 안에 이 같은 실수를 발견했다면 즉시 고객센터로 전화해 정정 요청을 해야 한다. 30분이 지나면 바로 배송절차가 진행되며 주소는 정정하기 어렵다. 배송 중 주소를 변경하고자 한다면 운송업체에 전화하여 방법을 의논하고, 해결되지 않으면 판매자에게 전화하여 주소 정정이 가능한지 확인한다. 불가능하다면 물품회수요청을 해 물품이 판매자에게 안전하게 돌아가도록 하고 다시 배송받아야 한다. 국내에서처럼 택배 기사에게 전화해서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므로, 주소를 입력할 때는 반드시 신중해야 한다. Q 신용카드 결제가 2번 승인되었다. 이럴 때는 어떻게 하나? A 원인은 결제시스템의 오류일 수도 있고, 카드 확인을 위한 가승인이 포함되어 2번 승인된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 가승인이라면 문제 될 것이 없지만, 다른 것이 문제라면 먼저 사이트에서 주문이 중복으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고 고객센터로 명확한 원인 파악과 해결을 요청하는 것이 좋다. 결제와 관련된 문제는 가능한 한 빨리 처리해야 하므로 이메일보다는 전화로 문의하는 것을 추천한다. Q 결제까지 마쳤는데 계속 ‘주문접수’ 상태로 물건이 오지 않는다. 무엇이 문제인가? A 물건의 재고가 없어 발송이 늦어지는 경우에 이런 일이 자주 일어난다. 미국 쇼핑몰은 재고가 없으면 주문을 취소하지 않고 재고가 생길 때 순차적으로 발송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객센터에 연락해 정확한 배송 지연 이유를 물어보고 빠른 배송처리를 요청하면 된다. 배송추적을 하면 배송완료 상태로 뜨는데, 물품을 수령한 배송대행지는 받지 않았다고 한다. 구매자 입장에서는 정말 황당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는 대부분 배송대행지의 실수 혹은 배송대행지나 배송 직원의 양심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일을 예방하고자 한다면 첫째, 물품 구매 시 수령인의 ‘사인’을 받는 배송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그러면 문제가 발생해도 쉽게 추적할 수 있어 물품을 안전하게 재배송받을 수 있다. 둘째, 믿을 만한 배송대행지를 선택해야 한다. 이때, 대형 배송대행지나 인터넷에서 유명한 배송대행지라고 해서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님을 명심하자. 워낙 많은 양을 처리하다 보니 실수도 잦고 직원관리가 잘 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Q 상품을 받아보니 누락된 제품이 있다. A 고객센터로 연락하면 흔쾌히 재배송해준다. 연락은 메일이나 전화로 하면 되는데, 메일은 처리 기간이 약 7~14일 걸리고 전화는 바로 처리 가능하다. 이때 주의할 점은 배송대행지를 이용한 경우에는 누락 제품이 발생해도 보상받을 수 없다는 점이다. 미국의 쇼핑몰 약관을 살펴보면 ‘물품을 제3자가 수령 시에는 배송과 물품에 이상이 있어도 절대 책임지지 않는다’고 명시되어 있다. Q 불량제품을 받은 경우, 교환이나 환불은 어떻게 하나? A 의류나 간단한 상품인 경우 사진을 찍어 이메일을 보내 교환·환불을 요청해야 한다. 이때, 한국에서 불량제품을 보내는 배송비가 너무 많이 들어 반송 없이 제품을 교환·환불해줄 수 있는지 요청하면 열 곳 중 세 군데는 흔쾌히 환불을 해주기도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쇼핑몰은 불량제품의 상태를 직접 확인한 후 교환이나 환불을 진행한다. 따라서 한국으로 배송받기 전 배송대행사에 물품의 상태를 반드시 확인해 달라고 요청하는 것이 좋다. 특히 인테리어 소품, 가구, 가전 등의 고가 제품을 구매했다면 판매자 측에 배송 전 물품 상태 확인을 요청할 것을 권한다. Q TV를 해외직구로 샀는데 파손된 상태로 왔다. A TV의 경우 배송대행지에서 한국으로 발송 전 반드시 물품 상태를 확인한 후 보내주고 있다. 만만치 않은 가격의 제품인 데다 충격에 약하기 때문이다. 배송대행지에서 TV가 파손된 것을 발견했다면 바로 반송하고 새 상품으로 교환하면 된다. 만약 한국에 도착한 TV가 파손되어 왔다면 배송대행지에 연락해 보상을 요청해야 한다. Q 부피가 큰 가구(혹은 가전제품)를 주문했다. 홈페이지에 기재된 무게 정보를 보고 배송료를 계산하여 주문했는데, 배송료를 추가로 요구한다. 어떻게 된 일인가? A 해외에서는 배송 비용을 계산할 때 무게뿐만 아니라 부피를 함께 고려하여 산출한다. 따라서 가구와 같이 부피가 큰 제품을 살 때에는 배송대행지를 이용하는 것이 배송비를 아끼는 방법이다. 특히 미국 LA에 있는 배송대행지에서는 부피는 따지지 않고 무게만으로 배송비를 책정하고 있으니 알아두자. Q 해외직구로 제품을 구매했는데 생각지도 못한 세금이 부과되었다. A 세금은 선택이 아닌 의무다. 물품을 구매한 가격이 운송비를 포함하여 $200을 초과한다면 반드시 내야 한다. 세금을 내지 않으면 물품을 받을 수 없다. TIP _ 해외직구 반품·관세 환급, 직접 신청하세요! 해외직구로 산 물품을 반품할 때 이전까지는 관세사에게 수수료를 지급하고 증빙서류를 제출해야 했다. 이젠 개인이 직접 수출신고와 환급 신청을 할 수 있게 됐다. 인근 세관에 직접 방문해 신고인 부호를 발급받은 후 관세청 인터넷 통관 포털(portal.customs.go.kr)에 접속해 수출신고서를 작성해 제출하면 된다. 신청 후 세관에서는 물품이 외국무역선 혹은 항공기에 적재된 것이 확인되면 환급금을 지급한다.Q 해외직구로 가구, 가전, 주방용품, 식기류를 살 때 유의할 점은? A 가전제품의 경우 전압이 한국과 호환되는지 꼭 확인해야 한다. TV는 파손 가능성을 대비한 고객서비스가 잘 이루어져 있으니 걱정하지 않아도 되며, 미국에서 구매한 삼성과 LG 제품은 국내에서도 1년간 무상 A/S를 받을 수 있다. 주방용품과 식기는 국내에서 가격 거품이 심해 주부들이 많이 쇼핑하는 해외 직구 품목이다. 주방용 칼도 통관이 허용되고 있으니 참고하자. 이들은 배송 시 안전하게 포장해주기 때문에 파손 염려는 하지 않아도 되며, 파손됐다 하더라도 쉽게 보상받을 수 있는 품목이다. 특히 11월 미국의 최대 세일 기간인 블랙프라이데이에는 주방용품을 아주 저렴한 가격에 살 수 있다. 도움 주신 분·최이현영국 University of Leeds, CSR 석사 과정을 마쳤으며 2013년 11월, 해외직구 문제 해결 대행 사이트‘직구베프(www.jikubef.com)’를 개설했다. 현재까지 의뢰받은 1,300여 건의 문제를 98% 해결한 성과를 가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관련 강연 활동도 펼치고 있다. 블로그(http://blog.naver.com/fly37)에서는 해외직구 문제 해결 사례를 연재 중이다. 010-7346-7788 fly37@me.com※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이 게시물은 전원속의내집님에 의해 2017-04-21 17:18:06 HOUSE에서 이동 됨]
전원속의내집
조회 8,594
인기
2017.02.27
창문,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굳이 패시브하우스를 표방하지 않아도, 열손실을 최소화한 설계와 시공, 그리고 창문과 단열재 등 좋은 건축 재료들이 이러한 건축주들의 우려를 일갈할 만큼 시장에 선보이고 있다. 창호 업계도 마찬가지다. 브랜드만 보고 고르기에는 알아야 할 것이 많은 창. 미학적 측면 외에도 열손실과 채광,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 창호 선택의 가이드를 제시한다. 취재 전원속의 내집 편집부- 건축주를 위한 창호 선택 가이드 -창호, 더 이상 뽁뽁이에 의지하지 말자건물의 열손실 부위를 살펴보면 외벽은 39%, 창호와 환기장치는 32%, 지붕 19%, 바닥 9%다. 이중 벽과 지붕, 바닥은 열이 새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설계자와 시공자가 협의하여 구조에 맞는 단열재를 선택해 시공하는 방식으로 열손실을 보완한다. 하지만 단일 품목인 창호는 다르다. 외부에 단열재를 덧댈 수도 없고 좋은 창에 뽁뽁이를 붙일 수도 없으니, 32%에 달하는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처음부터 열관류율이 좋고 일사량이 적절하며 단열값이 뛰어난 창호를 선택해 개구부와의 시공을 기밀하게 하는 수밖에 없다. 창호 성능을 결정하는 세 가지 숫자창의 가격은 디자인 요소보다는 공학적인 요소로 결정된다. 열과 관련된 창의 요소로 확인할 것은 열관류율, 열획득계수, 단열감봉열성능이다. ▶ 열관류율먼저, 열관류율(W/㎡K)은 창호를 통해 열이 손실되는 정도를 말한다. 수치가 낮을수록 단열 성능이 좋다는 의미인데, 국내 건축물 설비기준에는 창호의 열성능기준표를 지역별로 제시한다. 외기에 직접 면하는 창은 중부지방은 2.4W/㎡K 이하, 남부지방은 2.7W/㎡K 이하를 쓰도록 되어 있고, 따뜻한 제주의 경우는 3.4W/㎡K 이하면 된다. 한데 지나치다 싶게 낮은 숫자의 창호가 있다. 바로 패시브하우스용 창호다. 최근 고단열·고기밀을 표방하며 화두가 되고 있는 이 창호는 열관류율값 기준이 0.8W/㎡K 이하다. 열관류율이 떨어지는 창호를 선택하거나 시공 시에 열이 샐 수밖에 없는 구조로 잘못 시공했을 경우 흔하게 발생하는 것이 ‘결로’와 ‘웃풍’이다. 이 두 가지 현상은 구조체의 표면 온도와 실내 온도의 차이가 많이 날수록 더 심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창호 선택과 시공 미숙을 의심해봐야 한다. ▶ 열획득계수두 번째로 열획득계수(W/㎡K)다. 많은 이들이 간과하는 개념 중 하나는, 창이 열을 받아들이기도 한다는 것이다. 열손실도 많지만 태양열을 받아들이는 데도 유리한 창호는 겨울철에 유리를 통해 태양에너지를 활용해 난방에 필요한 열을 얻고, 반대로 여름철에는 이를 차단해 냉방 부하를 줄이는 건축요소로 활용하는 것이 좋다.창호의 열획득계수는 숫자가 높을수록 좋은데, 이는 열관류율과 함께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열성능이 좋은 로이코팅된 복층유리를 사용했지만 반사값이 높고 색깔이 있어 g-value(열획득계수)가 낮은 유리를 쓴 경우(표1), 실제 열손실이 열획득보다 많아 1년에 177kWh의 열손실이 발생한다는 시뮬레이션 값이 나온다. 창호 선택이 잘못된 경우다. 같은 면적에 유리와 프로파일 값을 바꿔 0.98W/㎡K 열관류율 값을 가진 창호프레임에 g-value가 0.52인 삼중유리를 끼워 시뮬레이션을 돌려보자.<표2>처럼 열손실보다 열획득이 높다. 이런 창호는 남측에 넓은 면적으로 설치했을 때 창을 통해 생기는 에너지가 연간 235kWh나 된다. 이처럼 열관류율은 낮고 열획득계수는 높은 창이 에너지 효율이 높은 창이라고 할 수 있다. 유리에서 이러한 효과를 내는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이 로이(Low-E)코팅이다. 저방사(Low Emissivity)의 약자로서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은(Ag) 등의 투명 금속 피막을 유리 내측에 코팅해 만든 것이다. 이 막이 유리의 투명함은 유지하면서도 코팅면의 방사율을 낮춰 난방 복사열을 감소시켜 열의 흐름을 억제한다. 여름철에는 일사열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해 냉방 부하를 줄이고, 겨울철에는 실내 열이 바깥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해 난방 에너지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또, 일반 복층 유리에 비해 30% 정도 단열성도 높아 최근 고단열 창호에는 로이코팅 유리가 많이 쓰이는 추세다.▶ 단열간봉열성능세 번째로 단열간봉열성능이다. 간봉(Spacer, 스페이서)은 두 장 이상의 판유리 사이를 잇는 브릿지인데, 공기층의 두께를 결정하고 수증기를 차단하며 흡습제를 담는 용기로도 쓰인다. 이 간봉도 플라스틱, 메탈, 폼 등 다양한 재료가 있는데, 창호의 에너지효율을 생각한다면 열이 잘 전달되지 않도록 전도율이 낮은 재료로 만든 단열간봉을 쓰는 편이 좋다.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 등의 비단열 금속 간봉을 적용하면 이 취지는 말짱 도로묵이 된다. 겨울철 찬 외부면의 유리 온도가 고스란히 안쪽 유리에 전달되어 냉복사현상을 만들고, 여름철은 반대의 현상이 일어난다. 단열간봉과 함께 유리와 유리 사이에 공기층 대신 진공관, 반도체 등을 만드는 데 쓰이는 아르곤(Argon)가스를 충진하면 비활성기체층을 만들 수 있어 열이 전달되는 것을 막는 데 큰 도움이 된다.- 건축주가 쉽게 알 수 있는 창문 진단법 -▶ 우리 집에 쓰인 창호의 에너지 효율을 알고 싶어요2012년 7월부터 ‘창호에너지효율등급제’를 실시해 창문도 가전제품처럼 에너지효울등급 라벨이 붙는다. 위에서 언급한 열관류율과 유리의 성능, 그리고 얼마나 기밀하게 제작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정보가 표기되어 건축주가 직접 보고 판단할 수 있도록 돕는 제도다. 창호는 1등급부터 5등급까지 5개의 등급으로 구분한다. 숫자가 낮아질수록 단열성과 열전도성은 낮아지는 좋은 창호다. 에너지관리공단 효율관리제도(http://bpms.kemco.or.kr/efficiency_system)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상단에 ‘제품 신고 및 검색’ 탭을 클릭해 ‘창세트’를 누르면 된다. 2015년 1월 현재 2,164개의 창호가 인증을 받았고, 이 중 1등급 창호는 379개로 검색된다. 집에 쓰인 창호의 브랜드와 제품명을 안다면 누구나 접속해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에너지관리공단 효율관리제도 홈페이지에서 창 세트의 종류를 등급별, 브랜드별, 등급별로 분류해 볼 수 있다.항목을 선택하면 창호의 자세한 열관류율과 유리, 기밀성 등의 수치를 확인할 수 있다. ▶ 시스템 창은 이중창과 무엇이 다른가요시스템 창호는 창틀과 유리 사이의 틈을 없애 일체화한 독특한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다. 개폐 방식도 일반적인 미닫이와 여닫이뿐 아니라 틸트앤턴(Tilt&Turn), 슬라이딩앤틸트(Sliding& Tilt), 패러럴(Parallel) 등으로 다양하다. 창틀과 유리 사이의 틈을 최대한 없애 기밀성을 높이고 수밀성과 단열, 방음, 내풍압성 등 다양한 건축물리적 환경을 개선한 제품이라 일반 창호보다 다소 고가다.▶ 우리집 유리는 이중인가요 삼중인가요라이터를 이용해 유리의 개수를 확인하는 방법유리를 확인해볼 수 있는 간단한 팁도 있다. 먼저 유리의 매수를 알고 싶다면 프로파일과 유리를 잇는 부분의 간봉을 확인해보자. 간봉이 있다면 2중 혹은 3중유리이고 없다면 한 장의 유리로 만들어진 단창유리다. 단창의 경우, 외기와 접한 면에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주로 상업공간이나 내부창 등 인테리어 용도로 사용한다. 2중유리와 3중유리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도 있다. 바로 라이터를 가까이 대보는 것이다. 유리와 가까운 면에 서서 라이터를 대고 비치는 불꽃 잔상을 살펴보자. 유리의 면수만큼 잔상이 생긴다. 유리 한 개당 안팎의 2개 면을 가지고 있으니 2중유리의 경우는 4개의 불꽃이, 3중유리는 6개의 불꽃이 보인다. ▶ 로이코팅은 앞뒷면이 바뀌면 안 된다던데, 제대로 끼워진 게 맞나요우리집에 사용된 유리가 로이코팅인지 아닌지 알 수 있는 방법도 있다. 유리는 한국산업표준(KS)의 기준에 따라 생산되는데, 복층유리의 기준은 KS L 2003으로 번호가 매겨져 있으며, 로이코팅이 속해 있는 단열복층유리는 그 중 B종으로 구분된다. 모든 제품마다 모서리에 KS 마크와 함께 표준번호와 종류를 기입하도록 되어 있는데, 로이코팅 유리의 경우 ‘KS L 2003 B종 U3’로 표기되어있어야 한다. U3-1은 16㎜ 복층유리, U3-2는 22㎜, 24㎜ 복층유리다.로이코팅된 유리를 시공할 때는 반드시 코팅면이 유리 내부에 위치하도록 해야 한다. 외기에 노출되면 산화되어 성능이 없어지기 때문이다. 유리는 각 면에 번호를 붙여서 이야기하는데 번호는 항상 외부면에서부터 시작한다. 주거용 창호는 2중유리의 경우 유리의 3번 면에 코팅되어 있는 것이 좋고, 3중유리는 3, 5번 면에 코팅되어 있는 것이 좋다. 로이코팅 면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유리창에 라이터를 대어 생기는 불꽃 잔상의 색깔로 구분한다. 유리 제조사와 제품마다 유리 고유의 색이 달라 어느 한 색으로 지정할 수는 없지만, 코팅면의 색깔만은 다른 면과 다른 색을 볼 수 있다. 왼쪽 아래 사진과 같이 안쪽에서 라이터를 켜면 2중유리는 두 번째, 3중유리는 두 번째, 네 번째 불꽃의 색이 달라야 한다.LED 후레쉬를 이용해 구분하는 방법도 있다. 소프트로이코팅된 유리의 경우 안쪽에서 후레쉬를 비추면 다른 유리와 다른 푸른빛 혹은 노란빛을 띠는 면으로 구분한다. 단, 하드로이 공정으로 생산된 유리의 경우는 빛의 색상으로 구분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전문 테스터기를 사용해 확인해야 한다. 로이코팅 유리의 KS 마크출처 _ http://blog.daum.net/design5 윤경필 건축사 에너지 효율이 가장 좋은 2중, 3중유리의 로이코팅면소프트로이코팅이 되어있는 면은 불꽃 색깔이 다르다.출처 _ http://ccomjang5.blog.me/30179914518▶ 우리 집 유리 간봉의 소재는 무엇인가요 간봉은 재료에 따라 플라스틱, 폼(Foam), 플라스틱+메탈 하이브리드, 메탈 등으로 구분된다. 사용목적과 작업성, 가격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추세다. 단, 로이코팅 처리되어 있는 유리나 아르곤가스를 충진하려면 단열성능이 좋은 간봉을 쓰는 게 좋고, 흡습제가 반드시 포함되어 있어 내외부 온도차에 의한 수증기의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제품이 좋다. 가끔 은색 알루미늄 간봉에 구멍이 송송 나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간봉 사이에 흡습제가 들어있는 경우다.다양한 소재에 따라 단열값에 차이를 보이는 간봉들출처 _ www.bgehome.com▶ 기밀하게 시공되었는지 알아볼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은 없나요창문에서 웃풍이라고 말하는 냉기가 느껴진다면 창호 개구부와 창호 사이의 기밀한 시공이 안되었다는 증거다. 또, 프로파일이 완전히 체결되었는지도 확인해보는 것이 좋다. 침기가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되는 위치에 담배나 향 등을 이용해 연기를 발생시켜보자. 기밀하다면 연기가 제자리에 움직이지 않고 있어야 하며, 공기압이 발생해 연기가 한쪽 방향으로 흐른다면 기밀성이 떨어진다고 보아야 한다. 그리고 창문과 창틀 사이에 지폐나 질긴 한지를 끼운 뒤 당겨보는 방법으로 자가 테스트를 해볼 수도 있다. 잡아 당겨도 빠지지 않는 정도가 되어야 제대로 시공되었다고 볼 수 있다. 창호나 문은 시공하고 난 후에도 조금씩 틀어져서 에너지가 샐 수 있다. 때문에 반드시 좋은 품질의 창호를 택해야 하고, 유지 관리가 잘 되는 창호 시공업체를 선정해야 한다.연기발생기로 기밀 시공 정도를 확인하는 방법 / 지폐를 이용해 창호 기밀도를 확인하는 방법 ▶ 이미 설치된 창호의 열관류율과 기밀시공 정도를 알 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에너지 진단 전문업체의 도움을 받는다면 창호 열관류율과 프로파일 및 유리의 단열계수, 창호의 기밀 성능 및 기밀시공 여부 등 창호의 정량적 성능을 수치로 확인할 수 있다. ※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이 게시물은 전원속의내집님에 의해 2017-04-21 17:17:11 HOUSE에서 이동 됨]
전원속의내집
조회 16,022
인기
2017.04.18
습기에 강하고 화재엔 약한 압출법보온판(XPS)
우리 집에는 어떤 단열재가 적합한지, 어떻게 시공해야 올바른지 궁금해 하는 건축주들을 위해 패시브제로에너지건축연구소와 한국패시브건축협회가 손을 잡고 매달 한 가지 단열재를 상세하게 소개하는 페이지를 마련했다.구성 이세정분홍색 단열재, 아이소핑크로도 불리는 압출법보온판은 무엇으로 만들어지나요?먼저, 제조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 압출법보온판은 비드법보온판 (스티로폼)의 원료와 같은 고체의 폴리스틸렌 결정체로 만들어집니다. 압출기에 발포제와 특정 첨가물을 넣어 섞은 후, 일정한 고온 고압에서 녹여 점성의 플라스틱 용액을 만듭니다. 그 다음, 이 뜨거운 요액을 금형을 통해 압출시킵니다. 금형 모양에 따라 형태가 결정되며, 이를 식힌 다음 재단합니다. 이러한 연속적인 과정을 통해 균일한 품질의 닫힌 셀 구조의 단열재가 만들어 집니다.출처 | www.intcorcyling.com압출법보온판의 색은 제조 중에 특정 색소를 넣어 만드는데, 이는 업체별로 다릅니다. 세계적으로 생산량이 많은 두 업체, 다우 케미컬(Dow Chemical Co)에서는 파란색, 바스프(BASF Corporation)는 연녹색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벽산에서 만든 분홍색 아이소핑크, 금호석유화학의 연노란빛 골드폼이 유통되고 있습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아이소핑크, 혹은 골드폼이라고 부르는 명칭은 이처럼 특정 회사의 상표 이름입니다. 단열재로서 두드러진 특징은 무엇인가요?압출법보온판은 시간, 물(습기), 추위, 열과 압력의 등 자연 요소들에 저항성과 내구성이 높습니다. 특히 투습저항계수(숫자가 높을수록 투습이 어려움)가 200~300 정도로, 건축에서 본다면 거의 방습 재료에 해당합니다. 일반적인 비드법보온판은 투습저항계수가 40~80입니다. 이렇다 보니, 물과 습기에 강해 지중이나 물이 닿을 수 있는 곳에서 사용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단열재라 할 수 있습니다.다른 보온판들과 중요한 차이점은 무엇인가요?압출법보온판은 보통 보드 형태로 만들어집니다. 금형으로 밀어내며 만들기 때문에 표면이 매끄럽고, 여기에 별도의 가공 처리를 하지 않아 단열재의 물리적·화학적 특성을 잘 유지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습기 저항성뿐 아니라 단열성도 높고, 부식이 없으며 가볍고 가공도 쉽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유기단열재가 그러하듯 불에 약하고, 불이 붙으면 유독가스를 뿜는 단점이 있습니다.주택 시공 시 어느 부위에 주로 사용되나요?주로 물이나 습기가 많은 환경에 적용합니다. 예를 들면, 지하층이나 옥상층의 외단열 재료로 사용됩니다. 단, 지하층의 외단열로 사용될 경우 통상적으로 바닥은 1호 이상, 측벽은 2호 이상의 규격을 사용하며, 구조기술사의 확인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건축물 벽에 외단열 미장 마감 재료로 쓰면 안 되나요?압출법보온판은 외단열 미장 마감 재료로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 전반적인 견해입니다. 그 이유를 몇 가지 살펴보겠습니다. 일단, 표면이 매끄러워 재료가 잘 붙지 못합니다. 부착 강도가 약하다는 것이죠. 따라서 일반적으로 비드법보온판에 적용되는 접착제나 그를 이용한 시공법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고정을 위해서는 별도의 전용 접착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그러나 여기에도 문제가 있습니다. 압출법보온판은 온도가 70℃ 이상이 되면 2차 발포 현상이 나타납니다. 외단열미장마감을 어두운 색으로 했을 경우, 한여름 외벽의 표면온도는 한낮에 70℃ 이상으로 올라갈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외벽에서는 큰 하자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외벽은 아니지만, 유사한 사례를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아래 사진은 전기온돌패널 아래에 압출법보온판을 깔았는데, 2차 발포현상으로 부풀어 오른 모습입니다.출처 | 사단법인 한국패시브건축협회결국 압출법보온재는 아무리 잘 붙는 접착모르타르를 개발한다고 하더라도, 경시 현상이나 2차 발포 등을 고려하면 외단열미장마감에 적용하기는 힘든 소재로 여겨집니다.또한 앞으로 6층 이상 건축물의 미장·단열 일체형 마감 공법의 경우 불연·준불연 마감 재료를 사용하도록 법규가 바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국내 유통되는 제품들은 브랜드별 차이가 있나요?완제품을 만들 때, 발포를 위해 첨가되는 가스의 종류는 다양합니다. 이 가스는 보통 HCFC 계열인데 지구온난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물질이라 각 나라마다 사용이 허가된 종류가 다릅니다. 때문에 국내에서 사용하는 가스와 외국산 제품에 사용된 가스가 다를 수 있습니다. 그에 따라 약간의 성능 차이는 발생할 수 있습니다.최근 셀프리모델링을 한다고 이를 주택 내부에 설치하는 이들도 있던데요?앞서 말했듯, 대부분의 유기질단열재는 화재에 취약합니다. 성능표상에는 난연재료입니다. 라이터불은 잘 붙지 않지만, 지난 번 의정부 화재처럼 큰 불이 나면 순식간에 유독가스를 내며 타버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불에 취약한 단열재를 내단열로 사용하는 것은 만약의 사태를 생각한다면 당연히 피해야 할 일입니다. 그래도 불가피한 경우에는 단열재 밖으로 최소 9.5㎜ 두께의 석고보드를 2장 엇갈려 시공하여, 불이 나도 거주자가 대피할 수 있는 최소한의 시간을 확보해주어야 할 것입니다.압출법보온판의 단열성은 어느 정도 유지가 되나요?압출법보온판은 비드법보온판과 특성이 거의 같습니다. 원재료가 동일하고 제조 방법만 조금 다르기 때문입니다. 단, 시험성적상 단열 성능은 비드법보온판에 비해 약 30% 높기 때문에 동일한 단열성능을 내면서 단열재의 두께를 줄이고자 비드법보온판 대신 압출법보온판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여기서 유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압출법단열재는 발포 시 특정 가스를 사용하는데 이 가스가 시간이 지나면서 공기로 치환되어 단열성능이 떨어지게 됩니다. 연구 자료에 의하면 법적인 성능 이하로 떨어진다고 하며, 거의 비드법보온판 성능과 유사해지기도 합니다. 물론, 밀도와 두께에 따라 결과는 달라질 수 있지만 대체적인 의견입니다.목조주택에 적용할 때 특히 유념해야 할 점이 있다면요?목재는 수분에 굉장히 취약합니다. 주요 구조부를 목재로 사용하는 경골목구조의 경우 특히 그렇습니다. 보통 단열재는 투습이 원활한 소재를 사용해 목재에 도달한 습기가 잘 마를 수 있게 합니다. 일반적으로 목구조는 내측은 방습, 외측은 투습의 기본 원칙을 가지고 설계됩니다. 압출법보온판은 방습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 목재에 침입한 습기가 쉽게 배출되지 못하기 때문에 가급적 사용을 자재하는 것이 좋다는 의견입니다. 도움말_ 조민구 한국패시브건축협회 이사 070-7603-6621, www.phiko.kr※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12,380
인기
2017.04.18
우리 집, 더 빨리 팔 수 없을까? / 매매를 위한 단독주택 연출법
똑같은 집이라도 구매자의 눈에 얼마나 매력적으로 보이는가에 따라 팔리는 시기와 가격에 차이가 난다. 단독주택 매매를 앞두고 어떻게 하면 더 빨리, 좋은 가격에 집을 팔 수 있을지 고민인 이들을 위해 몇 가지 연출 방법을 소개한다.구성 조고은▶ 짐은 집을 내놓기 전에 미리 싸 둔다이삿짐을 미리 싸 두는 것이 집이 빨리 팔리는 데는 도움이 된다. 짐이 없이 깨끗한 방은 잠재 구매자가 정서적으로 내 집이라고 느끼기 쉽고, 집주인이 내일이라도 나갈 수 있다는 심리적 여유를 안겨주기 때문이다.모든 짐을 다 싸둘 필요는 없지만, 박스를 깔끔하게 쌓아 두고 큰 물건은 방의 한쪽 끝에 포개어 두자. 꼭 필요한 가전제품 외에는 모두 정리하여 숨기거나 이삿짐으로 포장하는 것이 좋다. 가구도 마찬가지다. 붙박이장 같은 맞춤식 가구는 괜찮지만, 소형 가구가 지나치게 많으면 집이 더욱 복잡하고 좁아 보인다.▶ 청소가 가장 중요하다잠재 구매자는 깨끗한 집을 관리가 잘된 집으로 여긴다. 걸레받이, 바닥, 욕조, 후드, 환기구, 냉장고 위 등을 말끔하게 청소하고, 모퉁이의 거미줄과 먼지를 제거하자. 청결이 우선인 욕실과 주방은 곰팡이나 물때, 찌든 때의 흔적이 남지 않도록 특별히 신경 쓴다. 단독주택의 외벽, 데크, 차고 진입로 등의 청소도 빼놓을 수 없다. 만약 시간이나 일손이 없는 상황이라면 전문청소업체를 부르는 것도 나쁘지 않다. 덕분에 주택을 더 좋은 가격에 팔게 된다면 청소비용 이상의 이윤을 남길 수 있을 테니 말이다.▶ 냄새 나는 집은 절대 안 팔린다냄새 나는 집, 곰팡이가 많은 집, 누수가 있는 집은 매매하기 힘들다. 특히, 오른쪽 사진처럼 지하공간의 상태가 안 좋으면 방치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잠재 구매자는 쾌적한 지하공간을 보면 지하실 활용을 한 번쯤 생각해보게 되고, 덤으로 얻는 공간이라 생각한다. 이는 다락방도 마찬가지.주택의 악취는 반려동물, 오래된 커튼, 곰팡이, 담배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한다. 문제는 그 집에 사는 사람은 이미 냄새에 익숙해져 알아차리지 못한다는 것. 집을 충분히 환기시키고 공기청정제, 냄새제거제, 환풍기 등으로 냄새를 제거하자.▶ 커튼, 창의 유리를 교체하자커튼을 세탁하는 것만으로도 집이 달라 보인다. 커튼의 상태가 지나치게 안 좋거나 교체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차라리 없애버리는 것이 낫다. 특히 암막 커튼·블라인드는 빛을 차단해 방을 더 좁아 보이게 만든다. 또, 햇볕이 잘 드는 집인데도 창문의 불투명 유리가 이를 가리는 경우가 있다. 프라이버시 문제로 불투명 유리를 선택했다면, 투명 유리로 교체하고 커튼이나 블라인드를 설치하면 된다. 반대로 방에 빛이 들어오지 않거나 창틀이 오래되어 보기 싫다면 커튼으로 창을 가리는 것이 좋다.▶ 가구를 재배치해 새로운 공간을 만든다매매주택 연출은 집의 장점은 부각시키고 단점은 줄이는 작업이다. 가구가 장점이 될 수 있는 공간에 적절히 배치하고 어디서든 단점이 될 가구라면 과감하게 버리자. 가구 재배치를 위해서는 집 안의 가구들을 꼼꼼하게 기억하고 공간을 전체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아이방의 침대와 책상 위치를 잡기는 쉽지 않다. 오른쪽 사진에서는 창 전체를 막고 있던 침대를 최대한 창을 피해서 놓아 길을 터주었다. 여기에 책상과 5단 서랍장을 함께 배치하면 공간이 훨씬 넓어 보인다.사진출처 http://blog.naver.com/card8989▶ 개성보다는 대중적인 스타일로인테리어 트렌드는 시시각각 변한다. 지금까지 프로방스풍, 앤틱, 모던, 클래식, 컨트리, 내추럴, 북유럽 등 다양한 스타일들이 사랑받아왔다. 하지만 매매를 목적으로 한 단독주택에서 중요한 것은 ‘내 집 같은 편안함’임을 명심해야 한다. 개성적인 스타일보다는 대중적이고 보편적인 스타일을 선택하는 것이 잠재적 고객층의 폭을 넓힐 수 있으므로 매매에 유리하다.▶ 벽은 되도록 깔끔하게잠재적 구매자는 집을 보러 왔지 그 집의 그림이나 소품을 보러 온 것이 아니다. 벽에 그림이나 포스터가 많이 붙어 있는 경우 한두 점을 제외하고 정리하여 집 자체를 보여주자. 벽을 깔끔하게 연출하는 것만으로도 집은 훨씬 밝아 보인다.▶ 컬러 변화는 드라마틱한 효과를 낸다페인트칠은 가장 적은 비용으로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방법이다. 화려한 꽃무늬 벽지는 살고 있을 때는 괜찮을지 모르지만, 팔 때는 불리하다. 각 방이 심플한 색으로 구성되고, 집 전체의 컬러가 일관성 있을 때 더 좋은 인상을 준다.오른쪽 사진 속 주택은 마감재인 서기목 위에 흰색 페인트칠을 했을 뿐인데 어두침침한 공간이 환하고 밝은 공간으로 바뀌었다. 컬러 선택에 자신이 없다면 어느 가구에나 잘 어울리는 화이트 계열을 추천한다. 이때, 차가운 느낌의 화이트보다는 따뜻한 계열의 화이트가 더 부드럽고 아늑한 느낌을 준다. ▶ 기능적 공사보다 인테리어에 집중하라리모델링 공사는 상하수도 설비공사, 보일러 공사, 방수공사, 전기설비공사, 방문·현관문·중문 공사, 단열 및 목공사 등의 ‘기능적 공사’와 타일공사, 페인트공사, 도배, 바닥재 마감, 조명 설치, 목가구 제작 등의 ‘인테리어 공사’로 나눌 수 있다. 단순 인테리어가 주가 되는 매매주택 연출은 리모델링과 분명히 구별되어야 하지만, 집의 상태에 따라 두 가지 공정을 모두 해야 할 때도 있다. 그래도 우선순위로 둘 것은 ‘미적 인테리어’다. 기능적 공정을 완벽하게 해도 눈에 보이는 마감 부분이 부족하면 사람들은 이의를 제기한다. 전문가가 아닌 이상 당연한 반응이다. 최근 셀프 인테리어를 많이 하는 추세인데, 인테리어 공정은 DIY로도 충분히 가능하다. 기능적 공정을 최대한 줄이지 않으면 연출 비용이 많이 상승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하자.이종민 ㈜테라디자인 대표이 글을 쓴 이종민 대표는 전세비용으로 내 집을 마련할 현실적 대안으로 노후주택을 리모델링하는 ‘리노하우스’ 개념을 제시, 여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 홍익대 건축도시대학원에서 부동산 개발학을 연구 중이며, 저서로는 <마흔에 살고 싶은 마당 있는 집>, <앞으로 5년 경매하고 리모델링하라>가 있다. 070-4038-7916, www.renohouse.co.kr※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9,449
인기
2017.04.14
소규모 건축물 설계-감리 분리법안 시행, 그 후
최근 몇 년간 건축계에 가장 큰 화두가 무엇인지 묻는다면, 단연 ‘소규모 건축물의 설계-감리 분리 법안’ 이슈였다. 지난해 법안이 통과되고 전면적으로 시행된 지 어느덧 7개월, 그간의 갑론을박과 현재의 상황, 그리고 앞으로의 변화를 진단해본다.취재 조성일 + 소규모 건축물의 범위는 어디까지?소규모 건축물의 설계-감리 분리제도를 담고 있는 건축법 개정안은 「건축법」 25조(건축물의 공사감리)와 「건축법 시행령」 제19조의2(허가권자가 공사감리자를 지정하는 건축물 등) 및 시행규칙 제19조의3을 골자로 한다. 소규모 건축물은 ‘661㎡(200평) 이하의 다가구주택 및 다중주택, 495㎡(150평) 이하의 일반건축물과 분양을 목적으로 하는 30세대 미만의 공동주택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단독주택은 제외된다. 이 중에서도 건축주가 ‘직접 시공’하는 건축물 및 분양을 목적으로 하는 건축물에 한하여 감리는 허가권자(시·도지사)가 설계에 참여하지 않은 자를 공사감리자로 지정하게 된다. 신기술을 적용하여 설계하거나, 역량 있는 건축사(공모전 수상 등)가 설계한 건축물, 설계공모를 통하여 설계한 건축물은 제외된다.+ 건축 시장에서 ‘집장사’를 몰아내자현행 법령상 해당 소규모 건축물 범위는 건설업 면허가 없어도 건축주가 스스로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도를 찬성하는 측에서는 중소규모 시장에 다수 분포된 소위 ‘집장사’라 불리는 업자들이 설계자와 감리자를 일괄 선정하고 직영 시공하면 감리자는 계약상 ‘갑’에 해당하는 집장사에게 비용을 지급받기 때문에 사실상 제대로 된 감리를 볼 수 없고 이는 곧 건축물의 품질 저하와 안전성 취약으로 이어진다는 주장이다. 건축물의 안전사고가 발생한 직후마다 해당 법안이 고개를 들었던 것도 이런 이유에서였다. 설계자·시공자·감리자 사이의 상호 견제를 가능케 하여 불법 행위를 사전에 방지하고 ‘집장사’를 시장에서 몰아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또한 감리의 중요성을 반영해 현실적인 감리비 책정이 필요하고 감리비의 공식적인 기준*을 적용해 건축 시장 전반의 열악한 업무 대가를 제대로 받는 견인차 구실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는 전망도 있다.“집장사에 의한 부실시공 은폐 방지와 건축주 재산권 침해라는 관련단체들의 첨예한 대립 속에 지난해 설계-감리 분리제도가 통과돼 건축시장이 들썩인다.”+ 설계-감리 분리는 건축주의 재산권 침해법 개정의 의도와 취지를 보면 안전성과 품질 저하, 시공 중 불법 행위 방지를 막는 목적의 제도가 왜 그동안 논란이 되었는가 하는 의문점이 들 수 있다. 반대하는 측에서는 ‘일정 규모 이하’라는 포괄적인 규정으로는 합법적으로 작업하는 민간건축물 건축주의 재산권과 선택권을 침해하고 설계자의 원래 의도가 제대로 구현되지 않을 확률이 높아진다고 주장한다. 건축물의 안전성을 근거로 국가의 규제가 허용된다면 이는 민간건축물의 공공성을 인정한다는 뜻인데, 공공의 역할은 민간에 떠넘기고 감리 비용마저 온전히 건축주가 부담하며 선택권마저 박탈당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것이다. 또한, 설계자는 단순히 도면만 그리는 사람이 아니라 건축물이 구축되고 완성되는 모든 과정의 담당자이다. 이들이 현장에 참여할 수 없다면 건축물의 품질을 보장할 수 없고, 100% 완벽한 설계도면 제출이 사실상 불가능하고 시공자가 시공도면을 그리지 않는 국내의 건축 환경에서 감리자가 확인할 수 부분도 제한적이라고 주장한다.감리란 무엇인가감리에 대한 해석을 두고도 다소 의견차가 있다. 「건축사법」 제2조에서 정하는 바에 따르면 공사감리는 ‘건축물 및 건축설비 또는 공작물이 설계도서의 내용대로 시공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품질관리·공사관리 및 안전관리 등에 대하여 지도·감독하는 행위’를 말한다. 이를 두고 공사감리자는 설계자의 의도구현을 위해 존재하는 사람이 아니라는 의견이 있는 한편, 법적인 부분만 감독하는 차원을 넘어 설계자의 의도를 파악해 성공적으로 공사를 끝내게 하는 것이 감리의 목적이라는 해석이 있다. 이렇듯 감리 업무를 바라보는 관점과 철학에도 양측의 차이가 있다.+ 불완전한 제도를 보완하는 시도디자인 감리와 안전 감리를 따로 하는 미국의 시스템을 제안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설계자가 디자인 및 구축과 관련한 감리를 보고, 구조 및 안전과 관련해서는 공공에서 진행하는 것이다. 이때 디자인 감리비용은 건축주가, 안전 감리 비용은 공공에서 지원한다. 그러나 국내 공무원들의 전문성과 불충분한 인력, 비용 확보 측면에서 어렵다는 지적이다.한편, 지난 2월 국토교통부에서 고시한 건축공사 감리 세부기준 일부 개정에서는 ‘공사감리자는 건축물을 설계하는 설계자의 설계의도 구현을 위해 설계자의 적정한 참여가 이루어지도록 협조해야 한다’고 명시했지만, 다소 모호한 부분도 없지 않다.+ 설계–감리 분리에서 직영 시공으로 쟁점 이동지난 3월 13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에서는 건설산업기본법 개정안 상정과 관련해 논의가 진행됐다. 그중 건축주 직영시공의 건축물 범위를 기존 주거용 건축물 661㎡(200평) 이하, 주거용 외 건축물 495㎡(150평) 이하에서 각각 연면적 85㎡(25평) 이하로 대폭 줄여야 한다는 의견이 주목을 받았다. 건축주 직영시공을 통한 세금 탈루와 직영공사로 위장 신고 후 무면허 업자에게 도급을 주는 이면 계약으로 인한 부실시공을 근거로 삼았다. 이는 단독주택을 직영공사로 짓고자 하는 예비건축주에게도 해당이 될 수 있다.만약 이 법안이 통과가 되면 이전에 논의가 되었던 설계–감리 분리제도 논란도 잠식될 가능성이 높다. 여기에 최근 직영 공사의 현장관리인 배치제가 도입되면서 제도적으로 소규모 건축물의 경우 건축주 직영 시공 대신 전문건설업자와의 도급 계약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 그렇게 되면 건축주는 설계자를 감리자로 지정할 수 있어 설계–감리 분리제도가 무력해진다. 뿐만 아니라 안전과 디자인은 뒤로 한 채 오로지 저가 시공과 분양만 목적으로 한 건축주 직영 시공에 제동이 걸리면서 전반적인 시공품질 향상과 건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다만 단독주택 건축주들의 비용 부담 증가나 건설업 등록증 불법면허대여 확산에 대한 예방책도 필요해 보인다.+ 건축계의 밥그릇싸움이 아닌 동반 성장을 꿈꾸다건축물의 품질 및 안정성 확보와 공사 업무에 대한 정당한 대가, 설계자의 권리실현과 건축주의 합리적인 집짓기와 같은 이슈들이 양립할 수 없는 것은 아닐 것이다. 이면의 속뜻이야 어땠는지 몰라도 앞으로 내세우는 주장은 모두 한국 건축의 나아갈 길에 대한 고민에서 비롯된 것들이다. 설계–감리 분리제도와 관련한 대립을 통해 건축계가 서로 자성의 목소리를 내어 성장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이제 공은 직영 시공과 관련한 규제로 넘어왔다. 이 법안의 진행에 따라 설계–감리 분리제도의 향방도 판가름날 것이다.도움말_ ㈜파크이즈건축사사무소 박인수 건축사 / 보편적인건축사사무소 전상규 건축사참고자료_ ㈔새건축사협의회, 「건축과 사회」 2015년 봄·여름 통권 제29호※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13,781
인기
2017.03.31
결로와 곰팡이를 피하기 위한 5가지 방법
공동주택의 경우, 결로 취약 부위에 대한 결로 방지 상세도를 작성해서 설계도서에 포함해야 하지만 단독주택은 그러한 법규가 없다. 주택에서 하자 문제로 가장 골치 아픈 결로와 곰팡이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다섯 가지 가이드라인을 제시해본다. 취재 정사은 ① 골조를 충분히 건조한 후 다음 공사에 들어간다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골조가 올라간 뒤에 한참 동안 그대로 방치되고 있는 모습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수분을 머금고 있는 콘크리트 구조체를 충분히 건조하는 과정이다. 콘크리트가 머금은 습기는 벽체에서, 바닥에서, 슬래브에서 배어 나오기 때문에 골조를 충분히 건조한 후 단열재를 설치하고, 방습층을 설치하는 게 좋다. 마루 공사 역시 바닥 보일러를 깔기 위해 친 방통의 콘크리트가 완전히 마른 후 바닥재를 까는 것이 습기를 바닥에 가두지 않는 방법이다. 콘크리트 구조체로 지어지는 단독주택도 골조의 건조 작업은 가장 기본이다. 목조주택 역시 구조재로 사용한 구조목의 함수율을 미리 점검해 19% 이하일 경우에 다음 공정으로 넘어가는 것이 좋다.▲ 콘크리트 구조체 습기를 충분히 말리는 모습(상)과 나무의 함수율을 측정하는 도구(하)② 실크벽지 대신 합지벽지를 사용한다실크벽지라는 이름의 ‘합성수지벽지’를 시공하면, 벽체와 벽지 사이에 곰팡이가 생기더라도 건축주가 이를 깨닫는 데 걸리는 시간이 한참이다. 벽지 위로 곰팡이가 올라오고 난 뒤에는 이미 결로수가 벽을 타고 흘러내려 바닥까지 번진 후이고, 이미 건강을 해치고도 남을 수준의 곰팡이 포자가 잔뜩 자라있을 시점이다. 그래서 패시브하우스처럼 쾌적한 건축환경을 추구하는 건축물에서는 벽체가 숨을 쉴 공극이 거의 없는 실크벽지의 사용을 지양하고 있다. 콘크리트 주택뿐 아니라 목조주택에서도 실크벽지의 사용은 될 수 있으면 자제하는 편이 좋다. 나무가 숨을 쉰다는 이유로 목조주택을 지어놓고는 실크벽지로 이 숨통을 틀어막는 격이기 때문이다. 외부에 투습방수지 처리를 하고 레인스크린을 설치해 공기의 대류를 원활히 한다고 해도, 내부에서 실크벽지 마감을 하면 숨통을 막고 있는 거나 다름 없다. 최근에는 다양한 디자인과 컬러의 합지벽지도 많이 출시되고 있어 건축주 선택의 폭도 넓어졌다.③ 붙박이장은 외기에 면하는 곳에 설치하지 않는다 구조체를 기밀하게 시공하고, 방습층을 꼼꼼하게 처리했다고 하더라도 외기와 면한 벽체에 붙박이장이 들어가는 경우를 조심하자. 대기업에서 분양하는 아파트의 카탈로그를 자세히 보면 외기와 면한 쪽에는 붙박이장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붙박이장을 외벽 쪽에 붙여서 설치하면, 붙박이장과 실내 공기 사이에 하나의 층이 생겨 오히려 곰팡이를 만드는 최적의 조건이 될 수 있다. 이 공기층은 환기를 시켜도 잘 움직이지 않고 정지된 상태로 존재하는데, 이 층이 강하게 열저항 역할을 해 공기를 따뜻하게 데우지만, 그만큼 구조체의 실내 측 표면 온도를 낮추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앞서 언급했듯 실내와 실외 구조체의 표면 온도 차이가 많이 날수록 습기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지고, 그만큼 결로와 곰팡이가 생길 위험은 증가한다. ④ 북측 창은 아르곤가스가 충진된 PVC프레임 창호를 사용한다흔히 ‘알미늄 샷시’라고 불리는 알루미늄 창호는 주택에 적용할 때 조심스러워야 한다. 알루미늄은 비닐계 합성수지인 PVC에 비해 열전달이 약 1,500배 잘 되는 재료로, PVC 창호의 열적 성능을 따라가기에는 역부족이다. 물론 초고가의 알루미늄 창호도 있지만, 일반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준의 금액은 아니다. 특히 하루 종일 햇볕이 들지 않는 북측 창의 경우 알루미늄 창호는 에너지를 뺏기고 온도 차이에 의한 결로수를 만드는 일등 공신이다. 피치 못하게 북측에 창을 내야 할 경우에는 될 수 있는 한 열관류율이 낮은 PVC 창호와 열난방 복사열을 감소시켜 열의 흐름을 억제하는 로이코팅된 2중 혹은 3중 유리, 그리고 그 사이에 비활성기체층으로 열전달을 막는 아르곤가스를 충진한 창호를 사용할 것을 추천한다. ⑤ 외단열 시 돌출 부위는 열적 분리 시공하는 것이 좋다발코니, 옥상 파라펫, 창호 주변으로 발생하는 선형 열교는 필연적으로 에너지 낭비를 부른다. 구조체가 돌출되는 부위의 경우, 튀어나온 부분에서 전달된 열은 내부로 흘러 들어 건물의 모서리와 접합부에 선형 열교를 발생시키고, 구조체 내·외부 온도 차이를 만들어 결로현상을 만들 가능성이 높아진다. 외단열을 채택해 건물을 감싸는 형태의 디자인을 한다면, 이런 돌출부위의 구조를 별도로 구성해 열교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방법도 고려해볼 만하다. 옥상의 파라펫도 열교가 발생하기 좋은 부분인데, 구조체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를 사용해 분리해주는 것이 좋다. ▲ ALC 블록으로 옥상 파라펫을 시공, 열교를 차단한 현장 ● 열교(Heat Bridge)구조체 두께가 얇거나 단열재 누락으로 열저항이 낮아진 부위로 많은 열이 들어오거나 나가는 경로를 말한다. 열교 부위는 단열성이 떨어져 벽체 표면이 노점 이하로 내려가 결로의 원인이 된다. ● 파라펫(Parapet)건축물이나 건조물의 윗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마련된 비교적 낮은 장벽을 말하는 것으로, 옥상 파라펫의 경우는 옥상 가장자리의 난간을 지칭한다.※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21,324
인기
2017.03.17
단독주택 이사에 대한 궁금증 Q&A
꽁꽁 얼었던 날씨가 풀리고 이사하기 좋은 계절이 오고 있다. 아파트보다 조금 까다로운 단독주택 포장이사와 관련해, 크고 작은 궁금증들을 풀어본다.구성 조고은Q. 포장이사와 반포장이사는 어떻게 다른가요?포장이사와 반포장이사의 가장 큰 차이점은 ‘이사할 때 고객의 할 일이 얼마나 되는가’입니다. 포장이사는 업체에서 포장·운송·정리정돈을 모두 진행하기 때문에 고객은 귀중품을 따로 챙기는 일 외에 특별히 할 일이 없습니다. 그래서 짐이 많거나 편리한 이사를 원할 때 선택합니다. 한편, 반포장이사는 업체에서 포장과 운송까지만 진행하기 때문에 일부 작은 짐의 포장과 이삿짐의 정리정돈을 고객이 직접 해야 합니다. 대신 비용은 포장이사보다 저렴하죠.Q. 이사업체에 처음 견적을 요청할 때,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요?먼저 이사 날짜, 출발지역, 개인정보(전화번호), 도착지역 등 기본적인 사항을 전달하고, 반드시 ‘방문 견적’을 통해 구두가 아닌 ‘서면’으로 계약을 진행해야 합니다. 방문 견적을 받을 때는 이사할 지역에 도착 가능한 시간, 작업 인원수, 식대, 차량 크기와 대수, 이용 장비, 정리정돈 내용, 에어컨 설치 여부, 붙박이장 이전 설치 등 세부 작업 조건과 특약사항을 세부적으로 기재합니다. 또한, 고가의 전자제품이나 피아노 등의 이상 유무 확인은 물론 제품 상태까지 꼼꼼하게 계약서에 반영해야 하며, 이사 갈 집의 작업 환경을 충분히 설명해서 추가운임 발생을 미리 방지해야 합니다. 이사대행업체와 계약할 때는 표준계약서를 받고 계약서에 사업자 대표자명, 주소 등 인적사항을 반드시 확인합니다.Q. 신축의 경우, 입주 청소는 이사 전후 중 언제 하는 게 좋은가요?입주 청소는 말 그대로 아파트나 건물 또는 신축 주택에 입주하기 전에 미리 청소하고 이사 하는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건축시공에 따른 미세 콘크리트, 건설 오염물을 제거하고, 바닥재 및 내부 시설물의 접착제 사용에 따른 냄새 제거, 벽면, 천장, 바닥과 타일, 창호 유리와 창틀 사이, 주방가구의 미세먼지, 공사 오염물질과 냄새를 말끔히 제거한 후 짐을 옮기는 것이 좋습니다.Q. 이사할 집에 사다리차를 쓸 수 없다면 어떻게 하나요?사다리차 사용은 필수가 아닌 선택 사항입니다. 따라서 사다리차 사용에 따른 비용과 시간 등을 확인해보고 결정하는 것이 먼저입니다. 사다리차는 번거로움과 시간을 덜 수 있고, 들고 옮길 경우 벽이나 바닥에 짐이 부딪혀 파손될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만약 사다리차 이용이 불가능한 구조의 주택일 때는 계약 전 업체와 충분히 상의하여 다른 장비를 이용하거나 사람이 직접 들고 옮기는 등 짐을 안전하게 옮기는 방안에 대해 검토하셔야 합니다.Q. 집이 차가 들어갈 수 없는 좁은 골목에 있을 때는요?골목이 좁아 차가 들어갈 수 없을 때는 보통 가장 가까운 대로변에 차를 대고 사람이 직접 짐을 나릅니다. 이사 나가는 집이나 이사 들어갈 집이 이런 상황이라면 업체가 미리 대비할 수 있도록 방문견적 시 자세하게 설명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길이 좁은지 넓은지, 주차 공간은 충분히 확보되어 있는지, 계단 폭은 얼마나 되는지 등 작업 환경을 최대한 상세히 알려야 추가운임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Q. 입주 날짜에 차이가 있는데, 그동안 이삿짐은 어떡하죠?그럴 땐 보관이사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보관이사란 일정 기간 동안 이사 전문 업체에 비용을 내고 이삿짐을 보관한 후 원하는 일정에 반출하는 것인데요, 이때 방법은 크게 ‘창고 보관’과 ‘컨테이너 보관’ 두 가지로 나뉩니다. 창고 보관은 1개월 미만 보관 시 적합하며, 상·하차를 여러 번 해야 하는 불편함과 창고의 청결 상태에 따른 보관 물품의 변형·변질 위험이 있으므로 더욱 꼼꼼한 확인이 필요합니다. 짐을 1년 이상 보관해야 한다면, 하차 시 파손 위험이 거의 없고 밀폐된 상태로 보관해 분실 위험도 적은 컨테이너 보관이 좋습니다.보관이사를 계약할 때는 보관 물품의 종류, 수량, 상태 등을 먼저 확인하고 각 물품에 대한 보관방법과 보관이 불가능한 물품 등을 숙지한 후, 보험부터 상품 파손에 대한 보상까지 철저하게 체크해야 합니다. 보관이사 금액은 보통 ‘공간과 일수에 따른 보관료 + 운송료 + 작업비용(인건비)’로 산정합니다.Q. 장기 보관 시 유의해야 할 점이 있다면?6개월에서 1년 이상 장기 보관해야 할 때는 보관하는 장소가 내부인지 외부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한 달 정도는 외부 창고도 괜찮겠지만, 장기 보관 시에는 내부에 있는 창고를 이용해야 물품의 변형과 변질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도난과 재해 등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여 화재보험이 있는지, 보안업체에 의해 관리가 철저하게 되는지도 꼭 확인하세요. 물품 포장은 어떻게 하는지, 자체 보관이 아니라면 이삿짐을 포장해서 보관업체에 인수된 후 보관이 어떻게 이뤄지는지 등 기본적인 사항은 계약 전에 항상 명확하고 꼼꼼하게 살펴야 합니다.Q. 파손, 분실, 도난 등의 피해 발생 시 보상은 어떻게 받나요?피해액은 사업자가 직접 배상하되, 피해물품이 보험에 가입되어 보험금을 받는 경우에는 동 금액을 차감한 금액을 사업자가 배상합니다. 이삿짐 파손·분실 등의 피해가 발생한 경우 고객은 현장에서 바로 책임자에게 피해 내용의 사실 확인서를 작성하여 배상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혹은 피해 내용 확인 즉시 사업자에게 전화 또는 내용증명우편 등으로 사실을 알리고 배상을 요구할 수 있지요. 이때 반드시 파손 상태를 사진으로 남기고, 피해배상이 완료될 때까지 파손물품을 보관해야 합니다. 사업자와 분쟁이 원만히 해결되지 않을 경우, 소비자 상담센터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으며 피해 사실에 대한 이의제기는 이사 후 14일 이내에 통지해야 합니다.Q. 이사 전후, 잡동사니나 쓰레기, 폐기물 처리 방법은요?침대·소파·세탁기·냉장고·책상·에어컨 등의 대형 폐기물은 해당 지역의 시·군·구청 사이트에 접속해 신청하고 일정 금액을 지급한 후 신고필증을 폐기물에 부착해 집 앞에 두면 지정된 시간에 수거해 갑니다. 재활용제품, 중고물품은 순환자원거래소, 폐가전방문 수거서비스를 통해 처리할 수 있으며, 필요는 없지만 누군가 재사용할 수 있는 물품이라면 비영리 공익법인인 ‘아름다운 가게(www.beautifulstore.org)’에 기증하는 방법도 고려해보세요.도움말 _ 이사스토리고객 중심의 이사 문화를 위해 이야기가 있는 이사, 정감 있는 이사, 책임지고 만족시키는 이사를 추구하는 전국 포장이사 전문업체다. 포장이사는 물론 청소, 인테리어 등 각종 서비스의 모든 과정을 소중한 내 집, 내 물건이라는 마음으로 세심하게 신경 쓰며 고객 만족에 힘쓰고 있다.1800-2450, www.24story.kr※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6,864
인기
2017.03.13
그라스울 단열재에 대한 몇 가지 궁금증
목조주택의 경우 가격 대비 효율성 측면에서는 아직까지 제일로 평가받고 있는 그라스울, 이에 대한 몇 가지 깊이 있는 궁금증을 풀어본다.도움말 (좌)_패시브제로에너지건축연구소 박성중 부소장 www.ipazeb.org (우)_한국패시브건축협회 조민구 이사 www.phiko.krQ 그라스울은 브랜드별로 단열 성능이나 가격 차이가 큰가요?박 | 브랜드보다는 성능별로 가격 차이가 큽니다. 여기서 성능이란 밀도와 두께를 말하는 것이지요. 실제로 열관류율 및 열저항 값은 밀도에 따른 열전도율보다 두께가 더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 또, 동일한 두께라 하더라도 밀도에 따라 자재 원가 차이가 크기 때문에 가격 차이가 생기게 됩니다.조 | 밀도는 단위부피당 질량으로 표현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9K 그라스울의 경우 1㎥부피 속에 그라스울 소재 9㎏가 부풀려서 채워졌다는 의미입니다. 24K 그라스울의 경우는 그라스울 소재 24㎏으로 만들었다는 것이죠. 당연히 더 많은 양의 재료가 들어갔으니 밀도가 클수록 가격이 비례적으로 올라가는 것입니다. 아래 표는 통상 유통되는 그라스울 제품의 밀도별 열전도율로, 제조사별로 약간씩의 차이는 있습니다.밀도가 커지면 단열성능도 조금씩 상승합니다만, 가격이 올라가는 것에 비해 성능의 향상은 매우 작습니다. 아래 표는 한국패시브건축협회가 조사한 일반적인 24K와 48K 밀도의 그라스울 성능비교표입니다.Q 그라스울을 보통 이야기할 때 R19, R21, R23라고 하는데, 숫자가 높을수록 좋은 건가요? 그 이유는 뭔가요?박 | R값은 열전달저항값으로 밀도차와는 무관하고, 오히려 단열의 두께 차이로 보면 됩니다. 국내 단열기준단위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R19 : U(열관류율)=0.30W/㎡K 2×6 각재(두께140㎜) 열전도율 0.04 R21 : U(열관류율)=0.27W/㎡K 2×6 각재(두께140㎜) 열전도율 0.037 R23 : U(열관류율)=0.25W/㎡K 2×6 각재 두께140㎜) 열전도율 0.035이처럼 2×6에 시공 시 R19를 적용한다면 밀도가 낮은 제품을 적용하는 거라 보면 됩니다. 물론 제조사마다 다를 수는 있습니다만 일반적인 그라스울의 열전도율 성능을 보면 비슷하리라 생각됩니다. 조 | 열저항값, 즉 열이 전달되는 것을 많이 방해할수록 단열성능이 좋아지기 때문에 숫자가 높을수록 단열성능이 좋습니다. 또한 열관류율은 열저항값의 역수이기 때문에 열관류율값은 작을수록 단열성능 좋은 것입니다. 그런데 이 단위는 미국식 표현으로 우리가 쓰는 SI단위(미터법)와 다릅니다. 그래서 이를 우리가 사용하는 단위로 변환하면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열관류율로 바꿀 수 있습니다. 방법은 간단한데 미국식 열저항 나누기 5.678 하면 미터법으로 환산이 됩니다. 즉 R19 = 19÷5.678㎡K/W = 3.346㎡K/W 과 같으며, 이의 역수인 열관류율로 변경하면 1÷3.346㎡K/W = 0.30W/㎡K이 됩니다.아래 표는 R11 ~ R30까지의 단열재를 SI의 열관류율로 변경한 표입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비드법단열재의 두께와도 비교해 보았습니다.Q 목조주택의 경우, 2×6 구조재에 그라스울로 중단열만 할 때는 어느 두께의 어떤 밀도의 제품을 써야 벽체용 건축 기준을 맞출 수 있나요?(중부지역의 경우)조 |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 따라 중부지역의 외기에 직접 면하는 벽체의 경우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위와 같은 '단열재의 등급 분류’에 의해 ‘나’등급에 속하는 단열재를 써야 하며,위 표와 같은 ‘단열재의 두께’에 의해 ‘나’등급의 단열재를 140㎜ 두께로 시공하면 현행법에 맞출 수 있습니다.그러나 최근 현장에서는 그라스울 중단열에 외부 단열을 추가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아직까지 기존 ‘다’등급 단열재가 대부분 유통되고 있습니다. 24K 단열재를 실제 보기는 힘든 실정입니다.<10kg/㎥ 밀도의 글라스울 단열재 사진 - 출처 http://www.hiwtc.com><24K 밀도 글라스울, 사진제공 : 풍산우드홈>Q 실제 현장에서는 ‘나’등급 그라스울은 잘 안 쓰던데, 법적으로 어떻게 통과하나요?박 | 그라스울 중단열만 사용한다는 가정 하에 밀도 24K인 대부분의 제품이 중부지방 단열 기준에 맞습니다. 그러나 허가권자는 서류를 통해서 인허가를 주기 때문에 가짜 시험성적서를 첨부하여도 감리자의 역할이 없다면 그냥 넘어갈 수 있습니다.실제 '‘나’등급 단열재를 써야 하는 현장은 단열재의 시험성적서를 꼭 확인하시고, 시험날짜와 인증유효기간 그리고 제품이 자재와 맞는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제품에도 표기된 제품코드와 이름이 맞는지 확인하면 됩니다. 개인주택은 상주감리가 아니기 때문에 아무래도 건축주가 꼼꼼하게 챙기시는 게 좋을 듯합니다. Q ‘나’ 등급의 그라스울은 시중에 어떤 제품이 유통되고 있나요? 제품별 차이는 있나요?박 | 제품별 차이는 시공성과 투습성을 고려하여 표면에 부착된 시트지의 내용입니다. 단열성능 자체의 차이는 거의 없다고 판단됩니다. 현재 국내 유통되는 브랜드로는 생고뱅 이소바 에너지 세이버, 크나우프 에코배트가 있습니다. 그 외 다른 브랜드에서 신제품이 나온다는 소식은 있는데, 구체화되지는 않았습니다.Q 표면에 부착된 시트지는 어떤 차이를 발생하나요?조 | 스터드와 단열재의 사이에 비닐 포장이 되어 있거나 크라프트지로 싸여 있는 경우, 올누드로 아무 포장도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투습이 생명인 건식구조에서 비닐 포장은 결로를 유발할 수 있어 지금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현재 국내 유통되고 있는 ‘나’, ‘다’ 등급 그라스울 단열재는 한쪽 면에 크라프트지가 대어져 있습니다. 투습면에서는 올누드가 좋지만 작업 편의성과 처짐 방지를 위한 선택입니다.Q 건축주가 현장에서 밀도를 판별하는 방법은 없나요?박 | 시공 전에 꼭 시험 성적서를 확인하시고, 제품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해야 합니다. 또한 밀도는 제품에 별도 표기되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면 24K 정품 샘플과 비교하여 중량을 실제로 재보는 것도 가능합니다. 허용오차는 5% 정도 됩니다.조 | 간단하게는 눈으로 보고 손으로 꾹꾹 눌러보면 알 수 있습니다. 대략 솜사탕 수준이라면 9K 그라스울 정도로 보면 되는데, 24K 그라스울은 왼쪽 페이지 아래 사진처럼 보드처럼 단단해서 스스로 처지는 현상이 없습니다. ※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21,180
인기
2017.02.09
반려동물, 사지 말고 입양하세요 / 유기견과 함께 사는 법
요즘엔 개나 고양이 등 반려동물을 키우기 위해 넓은 마당이 있는 집을 선택하는 이들이 꽤 많다. 단독주택 입주를 앞두고 새로운 반려동물을 들일 생각이라면, 유기견을 입양해보는 건 어떨까?취재 조고은입양 전 다시 생각해 보세요다른 반려동물을 들일 때도 마찬가지이지만, 유기견을 입양할 때는 더 신중할 필요가 있다. 단순히 불쌍한 마음에 입양했다가 또다시 버려지는 일이 발생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나와 내 가족이 반려동물을 들이려는 이유가 무엇인지 진지하게 생각해보고, 주거환경이나 라이프스타일, 경제적 여건 등을 골고루 따져 또 하나의 생명을 책임질 준비가 충분히 되었는지 판단해야 한다. 특히, 그저 말 잘 듣고 애교와 귀염성이 넘치는 애완견을 기대했다면 다시 생각해보기를 권한다. 한 번 상처를 받은 유기견들은 새로운 주인에게 마음을 열기까지 생각보다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으니 말이다. : 다음은 입양을 결정하기 전 스스로 질문해볼 수 있는 체크리스트다.- 모든 가족 구성원과 합의는 되어 있습니까?- 반려견은 10~15년 이상, 길면 20년 이상 삽니다. 결혼, 임신, 유학, 이사 등으로 가정환경이 바뀌어도 끝까지 책임지고 보살피겠다는 결심이 섰습니까?- 먹이뿐만 아니라 관리, 치료, 중성화 시술, 훈련 등에 들어가는 경제적 부담을 짊어질 의사와 능력이 있습니까?- 반려동물을 위해 충분히 ‘공부’할 각오가 되어 있습니까?- 입양한 동물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까지 인내심을 갖고 사랑으로 돌봐줄 수 있습니까?유기견, 어디서 입양할 수 있나요드물게는 직접 유기견을 구조하여 키우는 경우도 있지만, 대개 유기견 보호소나 비영리단체, 유기동물 입양 카페 등을 통해 입양한다. 집에서 가까운 보호소를 찾기 어렵다면 동물보호관리시스템 홈페이지(www.animal.go.kr)의 ‘유기동물·동물보호소 - 유기동물보호소’ 페이지에서 지역별로 검색할 수 있다. 검색 후 보호소의 정확한 위치와 연락처를 확인하여 미리 문의한 후 방문하면 된다. 그래도 잘 모르겠다면, 다음의 주요 동물보호단체 목록을 참고하자.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유기견 입양에 관한 정보와 해당 기관에서 보호하고 있는 유기견 현황, 사진을 확인해볼 수 있다.주요 동물보호단체 목록㈔동물보호시민단체 카라 www.ekara.org 02-3482-0999-동물사랑실천협회(CARE) www.fromcare.org 02-313-8886-㈔동물자유연대 www.animals.or.kr 02-2292-6337-동물학대방지연합 www.foranimal.or.kr 02-488-5788-서울동물애호협회 www.sgspca.or.kr 02-445-1204-한국동물보호교육재단 www.kapes.or.kr 02-2024-0477-한국동물보호협회 www.koreananimals.or.kr 053-622-3588-한국반려동물사랑연합 www.akca.co.kr 032-461-7004유기견 입양 절차가 궁금해요보호소에 따라 상세한 입양조건과 절차는 조금씩 다르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그 목적은 입양자에 대한 철저한 검증을 통해 입양된 유기견이 다시 버려지거나 학대에 노출되는 일을 막는 데 있다. 유기견을 입양하려면 먼저 가까운 보호소에 문의하고, 담당자 안내에 따라 사전 질문지나 양식에 답변을 작성하여 보낸다. 그 후 약속한 날짜, 시간에 신청자가 직접 보호소에 방문하여 상담하고 입양 계약서를 작성한 후 입양동물을 데려오는 것이 일반적인 절차다. 데려간 유기견을 끝까지 책임지고 보살필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심층면접을 거치는 곳도 있다. 입양 후에도 정기적으로 유기견과 잘 생활하고 있는지 모니터링하는데, 이에 입양자가 동의하고 협조해야 함은 물론이다.입양자 공통 준수사항- 입양 신청자 본인이 직접 방문해야 한다(대리인 방문 불가).- 입양 신청자와 함께 거주하는 모든 가족 구성원의 동의가 확인된 후에 입양할 수 있다.- 미성년자는 보호자의 동의 및 인터뷰 절차 후 입양이 성사된다.- 집이 종일 비어 있어 입양동물을 돌봐줄 사람이 없으면 신청자에서 제외된다.- 입양자의 주소(실거주지)나 연락처가 변경되었을 시 반드시 보호소에 통보해야 한다.- 입양된 동물은 양도, 판매, 학대, 유기할 수 없다.유기견 입양을 위해 보호소에 방문할 때는 신분증 복사본 2장을 반드시 지참해야 한다. 반려동물 이동장(케이지), 목줄, 목걸이 등 개를 데려갈 때 필요한 물품을 미리 준비하는 것도 잊지 말자. 입양비는 무료인 곳도 있고 아닌 곳도 있다. 보통은 보호기간 동안의 경비를 일부 청구하거나 중성화수술 비용, 각종 접종비, 책임비, 후원금 등을 부담하도록 하는데, 평균 10만원 정도다. 열악한 환경에서 어미 개에게 끊임없이 새끼를 낳게 하는 ‘종견장’에서는 지금도 수많은 강아지가 태어나 애견숍, 인터넷에서 판매된다. 길에는 매년 수많은 동물이 버려지고, 운 좋게 보호소에 들어간다 하더라도 한정된 시설, 인력, 예산 때문에 안락사에 처해지는 일이 허다하다. 나와 내 가족이 새로운 생명을 책임질 준비가 충분히 되었다고 생각된다면, 유기견들에게 새로운 삶을 선물해주는 것은 어떨까. 그로 인해 내 삶의 의미도 한층 깊어질 테니 말이다.※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28,996
인기
2017.02.06
직영공사를 앞둔 건축주를 위한 지침서
내가 원하는 대로, 더 저렴하게 집을 지을 수 있는 직영공사. 하지만 준비도 없이 무턱대고 뛰어들었다가는 오히려 낭패를 보기 십상이다. 직영공사를 앞둔 건축주가 기본적으로 알아두면 도움이 될 내용을 정리했다.글 임종빈 목조건축지원센터 원장최근엔 시공회사와 계약하지 않고 건축주가 직영으로 집을 짓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그들 중에는 내 손으로 내 가족이 살 집을 짓는다는 것에 대한 로망을 품어온 이도 있을 것이고, 남의 손에 맡기는 것보다 믿을 만하다는 이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뭐니 뭐니 해도 직영공사의 가장 큰 장점은 ‘건축비 절감’이다. 공사 비용을 아낄 수 있음은 물론, 건축 공정 기간 관리나 건축자재 선택 등이 훨씬 자유로운 것도 장점이다.하지만 직영공사를 하기에는 지식의 한계, 실패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 생업에 따른 시간적 제약 등의 현실적 이유로 갖가지 어려움이 따를 때가 많다. 특히 건축 경험과 지식이 부족해 어떤 시공방법과 자재가 좋은지 판단하기 힘들고, 인력 조달에 대한 정보가 부족해 적절한 시기에 인력을 투입하고 효율적으로 공정을 관리하는 것이 버거울 수 있다. 설계, 시공 등 건축 과정 전체에 대한 명확한 이해 없이 무작정 도전했다가는 오히려 돈은 돈대로 들고 결과물도 엉망인 사태가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이러한 위험요소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관련 강좌를 통해 목조건축에 대한 지식을 충분히 쌓고, 자재전시장을 찾아 직접 눈으로 보며 건축자재의 기능을 파악하는 등 ‘공부‘가 필요하다. 전체 공정을 이해할 정도가 되면 각 시공방법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자신감 있게 직영공사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서 직영건축 지원프로그램을 통해 건축 인력의 확보, 외주공사의 적절한 투입 시점, 설계 시 주의점 등의 정보를 얻는 것도 방법이다.집짓기 공정의 특성을 단계별로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설계 : 토목, 건축 설계 (건축사는 인허가 등 건축 관련 행정업무까지 대행한다.) 토목공사 : 건축을 위해 땅을 고르고 다지는 작업. 지형에 따라 공사 규모에 차이가 있다. 상수도공사 : 지역 공공 상수 연결, 지하수 개발(상수의 안정성 및 경제성을 고려) 하수도공사 : 지역의 환경적 제약(수자원 보호지역 등)에 따라 정화조 규격 및 설치비용이 차이가 난다. 전기공사 : 전력 수급 상황에 따라 외부전기 공사의 규모와 금액 차이가 난다. (전기 인입거리 고려)건축공사 : 건축공정 순서에 따른 분류 -기초공사 : 줄기초, 매트기초로 나눌 수 있다.-골조공사 : 단열을 고려하여 벽체 및 지붕의 골조 규격, 시공방식을 결정하여야 한다. -지붕마감 : 경제성과 미관을 고려하여 결정, 시공한다. -외벽마감 : 단열, 경제성 및 미관을 고려하여 결정, 시공한다. -내부전기공사 : 내부 공간의 사용 목적 및 편의성을 고려한다. -내부설비공사 : 난방, 위생, 온·냉수, 공조 등. 편의성, 에너지 효율성, 경제성을 고려한다. -창호공사 : 단열 및 채광, 경제성을 고려한다.(건물의 향, 창호의 크기, 수량 등) -단열공사 : 지역의 기후, 건물의 에너지 효율에 대한 수준을 고려하여 규격과 시공법을 정한다. -내부마감 : 타일, 도배, 장판, 전등, 주방가구 등. 관리 편의성, 건강상 요인, 미관,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종류, 범위를 정한 후 시공한다.데크 공사 : 동선의 편의성, 효율성을 검토, 규모와 형태를 정한다.조경 : 경제성, 관리의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규모 및 종류를 정한다.내 집을 짓기에 앞서 가장 먼저 할 일은 ‘사용목적을 명확히 하는 것’이다. 구성원에 따른 면적, 공간의 합리적 구성과 배치, 주변 환경과 기후를 고려한 건물의 기능적 요구 수준 등이 적절한지 고민해보는 과정이 우선이다. 이때, 건축업자나 주변인의 시선이 아니라 건축 주체인 ‘나’와 ‘내 가족’이 중심이 되는 것이 중요하다.다음으로 건축 예산의 규모를 정해야 한다. 만약 건축 시기가 은퇴시점이라면 자금 여력과 앞으로의 생활을 고려해 당초 계획한 예산의 70% 정도 선에서 지을 수 있는 규모를 계획하는 것이 좋다. 다음은 연면적 97.2㎡의 2층 경량목구조 주택을 지을 때 예상할 수 있는 직영공사 건축비 내역이다. 이는 단순한 참고용으로 작성되어 실제 금액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실제 설계도를 기반으로 하지 않았음을 염두에 두고 보길 권한다.예상 공사비 내역표의 ‘목공사 도급 시 공사이익금 20%’ 부분은 단순 예시로 시공업체마다 다르다. 이는 업체를 통하지 않고 건축주가 직접 목수를 고용하면 절감할 수 있는 비용이므로 직영공사 시 총계에서 제외하면 된다. 기반공사 예상 비용표는 건축 환경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는 항목들로, 실제 금액과는 차이가 크게 날 수 있어 따로 표시하였다. 제시된 내용 외에도 경계복원측량, 인허가 접수, 착공신고, 사용승인 및 채권매입, 고용산재보험 등의 부가적 비용이 추가될 수 있으며, 이는 해당 지자체 건축과와 상담하여 확인하는 것이 정확하다. 따라서 위의 표는 건축비의 규모나 비용목록을 대략적으로 가늠하고 검토하는 데 사용하는 것이 좋다.일단 도전해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충실한 준비와 공부가 전제된다면 ‘나만의 집짓기’는 더이상 꿈이 아닌 현실이 될 수 있다. 비록 간략하긴 하지만 제시한 정보와 자료들이 직영으로 집을 짓고자 하는 이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임종빈 목조건축지원센터 원장이 글을 쓴 임종빈 원장은 목조건축지원센터에서 우수 건축자재 소개, 건축 관련 강좌, 건축 자문, 인력 지원 등을 통해 예비 건축주들이 ‘내 손으로 내 집 짓기’의 꿈을 실현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010-7100-6724, http://cafe.daum.net/WCA※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25,766
인기
2017.01.31
더 견고하고 깨끗한 16㎜ 두께의 토레이 세라믹사이딩
단독주택은 건축주가 직접 유지·보수를 한다. 오염과 변색에서 자유로운 세라믹사이딩 외장재가 각광받는 건 당연한 일이다.취재 이세정 취재협조 한국서튼티드(주) 031-783-2110 8년 전, 국내 처음으로 일본의 세라믹사이딩 제품을 적용한 집이 지어졌다. 당시 최고급 외장재로 소개된 이 제품은, 유지보수가 필요 없는 신소재로 소문이 나 건축 관계자들이 실물을 보러 답사까지 오기도 했다. 이후, 실제로 시공된 지 몇 년이 지나도 외관에 큰 변화가 없는 점이 확인되면서 최근 들어 건축주들 사이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세라믹사이딩은 말 그대로 도자기 같은 세라믹으로 코팅되어 있는 외부 마감재다. 자외선이나 물에 노출되어도 변형이 없어 내구성이 높고 오염이 쉽게 타지 않는다. 국내에는 일본의 케이뮤(KMEW), 아이큐브(Nichiha), 최근 경쟁에 뛰어든 토레이(TORAY) 제품이 유통되고 있으며, 이들은 단독주택 외장재 시장에서 서서히 그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다.제품은 직물, 벽돌 느낌까지 다양한 이미지로 출시되고 있으며, 일정한 규격의 패널 형식으로 판매된다. 14㎜와 16㎜ 두 가지 두께로 나뉘는데, 이는 성능과 단열, 방음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14㎜ 보다 16㎜ 두께의 제품이 변형이 덜하고, 셀프크리닝 기능이 추가되어 관리가 더 쉽다고 알려져 있다. 토레이社 제품을 수입·유통하고 있는 한국서튼티드㈜의 배병철 과장은 “일본 현지에서는 14㎜ 두께의 세라믹사이딩 제품은 사양 추세에 있고, 거의 16㎜ 두께로 시공된다”고 밝혔다. 실제 일본에서는 14㎜ 제품에서 갈라지고 들뜨는 하자 문제들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지진이 빈번한 일본의 특수성에 더해, 제대로 된 시방서를 따르지 않을 경우 생기는 여러 가지 하자 때문이기도 하다.세라믹사이딩은 패널을 시공 부위에 맞춰 재단해 부자재들을 이용해 시공된다. 목조주택의 경우를 예로 들면, 구조체 외부에 투습방수지를 대고 하부에 스타터후레싱을 설치, 사이딩을 연결하는 식이다. 14㎜ 두께 제품은 표면에 구멍을 뚫고 못을 박아 고정하고, 이 부위를 사이딩과 비슷한 색의 터치업 페인트로 칠해 감춘다. 그러나 국내시공 현장에서는 못 대신 타카로 박는 경우가 있고, 시간이 지나 페인트 부위가 낡아 사이딩 표면과 색 차이가 발생해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16㎜ 두께의 제품은 판 뒤쪽에 클립을 박아서 한 단씩 쌓아 올리는 방식으로 시공되기 때문에 외관이 깔끔하고, 구조재의 수축 팽창에도 사이딩의 흔들림을 잡아주어 크랙에 대비한다. 이런 특성 때문에 일본에서도 16㎜ 두께 제품이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것이다.국내 유통되는 토레이 세라믹사이딩은 전 제품이 16㎜ 두께로 신축 당시의 깨끗함이 유지되는 오토크린 기능까지 갖추고 있다. 외벽은 시간이 지나면 배기가스나 먼지가 묻어 갖가지 오염이 생기는데, 후레싱 등을 제대로 설치하지 않은 미장벽에 나타나는 ‘눈물 자국’이라고 불리는 줄때가 대표적이다. 세라믹사이딩의 오토크린 기능은 특수 코팅에 의해 오염 물질이 붙어 있기 어렵고, 비가 오면 자체적으로 씻어 내려간다. 게다가 습기나 물에 노출되어도 변형이 없고, 열전도율이 낮아 단열에도 도움을 준다.화학소재 글로벌그룹인 TORAY GROUP 사이딩은 자체 개발한 탄소섬유를 활용한 제품으로 타사 제품과 차이가 있다. 탄소섬유는 가볍고 강하며 화학적, 열적으로 안정되어 있으며 녹슬지 않는 등 다른 소재에 없는 뛰어난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가혹한 조건에서도 그 특성이 오랫동안 안정되게 유지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소재로 시멘트 조성 설계 기술과 제조 노하우로 강도, 인성, 내열성을 높인 제품으로 시장을 공략하는 것이다.이러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건물 하부나 정면, 포인트 등 아직까지는 국소 부위에만 세라믹사이딩을 적용하고 있다. 물론 비용 때문이다. 보통 1㎡(회베)당 시멘트사이딩이 1만6천원, 스터코가 4만5천원 정도 가격인 반면, 세라믹사이딩은 7만5천원~8만원에 달한다(현장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 높은 가격 때문에 많은 건축주들이 선택을 주저해 온 건 사실이지만, 재도장이 필요 없고 유지 보수가 쉬운 장점이 널리 알려지면서 앞으로도 세라믹사이딩의 수요는 꾸준히 늘어날 전망이다. 특히 16㎜ 두께로 기능적인 측면을 강조한 토레이사이딩은 같은 두께의 타사 제품에 비해 가격 경쟁력을 갖추고 있어 시장의 큰 환영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토레이 사이딩 관계자는 “제품의 질도 중요하지만, 제대로 시공하는지 여부도 매우 중요하다. 앞으로 전문 작업자를 양성하기 위해 분기별로 시공 교육을 열고, 수료 인증 업체 등을 선정해 관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31,899
인기
2017.01.06
지하수 수질검사 받으려면 이렇게
상수도 보급이 되지 않는 지역에 있거나 다른 이유로 지하수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 전원주택. 생활용수 정도야 눈에 띄는 문제만 없으면 그러려니 하지만, 먹는 물은 조금만 이상한 징조가 보여도 찝찝하다. 생활용수, 음용수 목적의 지하수 수질검사를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상세하게 알아본다.취재 조고은❙ 지하수 수질검사, 꼭 해야 하나요?지하수를 개발할 때는 해당 지자체에 신고·허가 절차를 거쳐야 하는 것이 법정 의무다. 법적 기준 시설을 갖추고 준공시설도, 수질검사서, 현장사진을 포함한 서류를 제출해 용도에 적합 판정을 받아야 사용 가능하다. 상수도 미보급 지역에 집을 지으려고 할 때, 식수를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에 관한 계획서를 제출해야 건축준공 허가를 해주는 지자체도 있다. 지하수 수질검사는 나와 내 가족의 건강을 위해서도 중요하지만, 법적으로도 반드시 한 번은 거쳐야 하는 과정인 것이다.지하수를 개발하여 준공 허가를 받은 후에도 정기적으로 지하수 관련 검사전문기관의 수질검사를 받아야 한다. 생활용수는 1일 양수능력 30톤 이상일 때 3년마다 1회 검사해야 하고, 1일 양수능력 30톤 미만이거나 보건위생상 지장이 없는 용도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면제된다. 반면 모든 음용수는 반드시 정기적으로 수질검사를 해야 하는데, 1일 양수능력 30톤 미만은 3년마다 1회, 그 외 모든 시설은 2년마다 1회 검사하는 것이 법적 기준이다. 정기 수질검사를 받지 않으면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을 물게 된다. ❙ 지하수 수질검사는 어디서 받아야 하나요?지하수 수질검사는 국립환경과학원, 유역환경청 또는 지방환경청, 시·도 보건환경연구원, 특별시·광역시 수도기술연구소 또는 수질검사소 등에 의뢰하여 받을 수 있다. 특히 음용수를 민간업체에 의뢰 할 때는 반드시 국가에서 지정한 검사기관에서 받아야 한다. 먹는 물 검사기관 지정현황은 ‘각 지역 환경청 홈페이지 - 정보마당 - 부서별자료 - 측정분석과’에서 확인할 수 있다. 검사 수수료는 법적으로 특별히 강제하는 바는 없지만, 음용수 26~27만원, 생활용수 13~14만원 선으로 어느 기관이나 비슷하다. 지하수 개발업체와 계약하여 지하수를 개발할 때에는 업체에서 검사를 대행하고 계약금에 수수료를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 준공필 조건으로 계약 시, 종종 편법을 통해 수질검사를 통과시키는 경우가 있으므로 수질검사의 전 과정에 참석해 눈으로 직접 확인하는 것이 좋다.❙ 지하수 수질검사 방법먼저 집에서 가까운 검사기관을 찾아 의뢰한다. 민간업체나 지하수 개발업체에 의뢰해 진행할 경우 직원이 찾아와서 해주기도 하지만, 공공기관에 의뢰해 진행할 때는 수질검사용 시료(지하수)도 본인이 직접 채취하여 방문해 전달해야 한다. 시료 채취 준비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검사할 시료의 채취가 가장 중요하다. 먼저 시료를 담을 용기를 준비해야 하는데, 폴리에틸렌 용기(PET병), 유리병, 무균채수용기가 필요하다. 무균채수용기는 미생물(일반세균, 대장균군 등)의 정확한 검사를 위한 것으로, 온·오프라인 의료기기상사에서 구입할 수 있다. 채수량은 검사기관마다 요구하는 양에 조금씩 차이가 날 수 있다. 보통은 음용수 폴리에틸렌용기(PET병) 2ℓ, 유리병 2ℓ, 무균채수용기 150~200㎖ 이상, 생활용수는 유리병 2ℓ 이상, 무균채수용기 150㎖ 이상 채수한다.시료 채취하기멸균채수용기 ⓒ㈜엘케이랩코리아 www.lklab.com만약 채취 전날이나 당일 비가 오면 채취를 미루고 맑은 날 하는 것이 좋다. 수도꼭지는 깨끗하게 닦아 이물질을 제거하고, 가스 토치램프 등의 불꽃으로 1~2분 정도 가열해 소독한다. 채수하기 전 처음 물은 2~3분간 흘려버리고, 채수용기는 검사받으려는 물로 4~5회 씻어내야 한다. 용기에 시료를 받을 때에는 호스나 물탱크를 통하지 않고 수도꼭지에서 직접 받아야 하며,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천천히, 용기에 가득 담는다. 마개를 닫을 때에는 용기의 입구나 마개 안쪽에 손이나 이물질이 닿아 시료가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시료의 채취가 끝나면 바로 4℃ 이하 저온상태로 검사기관까지 운송해 수질검사를 신청한다. 운송 거리가 멀거나 날씨가 더울 때는 4시간 이내에 검사기관에 도착하는 것이 좋다. ※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18,156
인기
2017.01.03
단독주택 리모델링을 위한 건축법규
단독주택 리모델링은 벽을 없애거나 새롭게 세우는 구조 변경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디자인뿐만 아니라 설계도서, 샘플리스트, 시방서, 견적서 등을 꼭 챙겨야 한다. 도움말 ㈜테라디자인 이종민 대표 정리 편집부 ▶ 주택 리모델링을 할 때, 꼭 확인해야 할 서류가 있나요?단독주택 리모델링은 벽을 없애거나 새롭게 세우는 구조 변경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디자인뿐만 아니라 설계도서, 샘플리스트, 시방서, 견적서 등을 꼭 챙겨야 합니다. 특히, 구조 변경을 하는 단독주택은 도면이 없으면 예상치 못한 추가 공사비용이 생길 수 있을 뿐 아니라 분쟁의 소지가 많아질 수 있습니다. 공사 중 변경 사항이 우후죽순 생겨나 공정이 늦어질 수 있음은 물론, 어떠한 공사 부분이 견적에 포함되었는지를 두고 건축주와 시공자 간에 시비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단독주택은 반드시 설계도면을 작성한 후 견적서를 산출하고 시공을 진행해야 합니다. 리모델링에 앞서 건축주가 시행자(설계·시공자)에게 반드시 받아야 할 서류(도서)는 평면도, 전개도, 전기도면 등이 포함된‘ 설계도서’, 어떻게 시공해야 하는지 표시한 ‘공사시방서’, 마감재료를 구체적으로 선정한‘ 자재샘플목록’, 이 모든 공사를 진행하는데 얼마의 비용이 드는지 산출한‘ 공사견적서’입니다. 비용 등의 이유로 이 모든 서류를 갖추는 것이 부담스럽다면, 최소한 평면도와 구체적인 공사견적서는 공사업체에 요구해야 합니다. ▶ 리모델링과 인테리어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건축법에서 리모델링이란 건축물의 노후화 억제 또는 기능 향상 등을 위하여 대수선 또는 일부 증축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여기서 ‘대수선’은 기둥, 보, 지붕틀 등 건축물의 주요 구조부를 해체하여 수선, 변경 또는 증설하는 행위로, 단순 수선의 범위를 넘기 때문에 대수선이라고 합니다.‘ 증축’은 기존 건축물이 있는 대지에서 건축물의 건축면적, 연면적, 층수 또는 높이를 늘리는 것을 말합니다.단독주택에서 몇 억원 규모의 공사를 진행한다고 해도 벽이나 기둥을 허무는 구조 변경이 없다면 리모델링이 아닌‘ 인테리어’입니다. 하지만 단 몇 십만원 규모의 공사를 진행할지라도 증축하거나 대수선이 이루어진다면 리모델링 범주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 리모델링할 때도 건축 허가를 받거나 신고를 해야 합니까?리모델링은 기본적으로 허가 또는 신고를 받아야 합니다. 리모델링 범주에 속한 증축 혹은 대수선의 경우, 그 규모에 따른 건축설계가 이루어지면 관할관청에 허가를 받거나 신고를 한 후 공사를 시작하기 전 착공신고의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여기서 신고는 건축주가 직접 할 수 있는 사항이고, 허가는 반드시 건축사가 진행해야 하는 사항입니다. 단순 수리 정도의 공사라면 특별히 허가·신고 절차를 거칠 필요는 없습니다.기둥, 보, 지붕틀을 증설 해체하거나 3개 이상 수선 또는 변경하는 것, 내력벽을 증설·해체하거나 내력벽 면적을 30㎡ 이상 수선 또는 변경하는 것은 대수선 범주에 들어가서 신고 또는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기둥이 없는 2층 벽돌조 주택의 벽을 30㎡ 이상 수선 또는 변경하려 한다면 신고 또는 허가를 해야 합니다. 또한, 방화벽 또는 방화구획을 위한 바닥 또는 벽을 증설, 해체하거나 수선 또는 변경하는 것, 주 계단,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을 증설, 해체하거나 수선 또는 변경하는 것, 미관지구에서 건축물의 외부형태(담장 포함)를 변경하는 것도 대수선 행위이고 신고 또는 허가 대상에 포함됩니다.허가를 받아야 하는 행위 중에서 일정 규모 이하는 건축 신고만해도 됩니다. 바닥 면적의 합계가 85㎡ 이내인 증축·개축·재축, 연면적 200㎡ 미만이고 3층 미만인 건축물의 대수선, 연면적 합계가 100㎡ 이하인 건축물, 건축물의 높이를 3m 이하의 범위 안에서 증축하는 건축물은 모두 신고만 하면 됩니다. 신고 대상이 아닌 것은 당연히 모두 건축 허가 대상에 포함됩니다.관련법 _ 건축법 제2조(정의), 건축법시행령 제3조의2(대수선의 범위) ▶ 리모델링 설계도 건축사가 해야 하나요?건축 허가 또는 건축 신고를 해야 하는 건축물, 사용 승인을 받은 후 20년 이상이 지난 건축물로 주택법에 따른 리모델링을 하는 경우는 건축사가 아니면 설계할 수 없습니다. 다만, 바닥 면적의 합계가 85㎡ 미만의 증축·개축·재축, 연면적이 200㎡ 미만이고 층수가 3층 미만인 비교적 경미한 건축물 공사인 경우 건축사가 아니어도 설계는 가능합니다. 하지만 신고나 허가가 필요 없는 인테리어는 누구나 설계를 할 수 있습니다.관련법 _ 건축법 제23조(건축물의 설계) ▶ 시공업체에 맡기지 않고 공사를 직접 할 수는 없나요?건설산업기본법에 등록된 일반 건설업자(건설업 면허 소지자)가 해야 하는 공사의 규모는 따로 있습니다. 연면적 661㎡를 초과하는 주거용 건축물, 연면적 661㎡ 이하인 주거용 건축물로서 공동주택(층수가 3개 층 이상), 연면적 495㎡를 초과하는 주거용 외의 건축물, 연면적 495㎡ 이하인 주거용 외의 건축물로서 다중이 이용하는 건축물(초·중·고등학교, 학원, 숙박 시설, 병원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이 외의 공사는 일반인이 직접 시공해도 문제가 없는 셈이지요. 따라서 일반적인 노후 단독주택 리모델링의 경우 공사를 반드시 건설업자에게 맡겨야 할 의무는 없습니다.관련법 _ 건설산업기본법 제41조(건설공사 시공자 제한) ▶ 공사 감리를 해야 하는 리모델링 현장은?공사 감리란 건축사가 설계도에 따라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말합니다. 건축법상 감리가 필요한 공사는 바닥 면적의 합계가 200㎡ 이상인 건축물의 공사, 3개 층 이상인 건축물의 공사 등이 있습니다. 한마디로 말하면, 허가를 받아야 하는 건축물은 공사 감리를 받아야 하고, 신고 대상 건축물은 감리가 꼭 필요하지 않습니다.관련법 _ 건축법 제25조(건축물의 공사감리) <참고>* 개축_ 기존 건축물의 전부 또는 일부(내력벽, 기둥, 보, 지붕틀 중 셋 이상이 포함되는 경우)를 철거하고 종전 규모와 같거나 그보다 작게 건축하는 행위. 층수, 동수, 구조변경은 가능하고 높이 증가는 불가능하다.* 재축_ 건축하는 방법과 규모에 대해서는 개축과 같다. 하지만 개축이 건축주의 자발적인 의사에 따라 이루어진다면, 재축은 천재지변, 기타 재해(화재 포함)로 멸실되어 개축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에도 구조변경이 가능하다. 이 글을 쓴 ㈜테라디자인 이종민 대표는 전세비용으로 내 집을 마련할 현실적 대안으로 노후주택을 리모델링하는 ‘리노하우스’ 개념을 제시, 여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 홍익대 건축도시대학원에서 부동산 개발학을 연구 중이며, 저서로는 <마흔에 살고 싶은 마당 있는 집>, <앞으로 5년 경매하고 리모델링하라>가 있다. 070-4038-7916 wwwre.nohouse.co.kr ※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45,259
인기
2019.06.07
내 소유의 집 뒷산도 벌목하려면 신고해야 하나요?
허가나 신고 없이벌채할 수 있는 경우가따로 있어내 땅이어도 원칙적으로 나무를 함부로 벌목(베어냄)하거나 벌채(뿌리까지 제거함)할 수 없습니다.벌목뿐만 아니라 굴취(땅에서 파내 채취)도 마찬가지입니다.벌채와 굴취에는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 또는 지방산림청국유림관리소장의 허가가 필요합니다.물론 몇 가지 예외나 경미한 상황에서는 신고로 대체하거나 임의로 벌목할 수 있습니다.그 상황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우선적으로 임·농업이나 전원주택 생활과 관련 있는 부분 위주로 살펴보겠습니다.신고하고 벌채할 수 있는 경우로는 우선 지목이 전·답·과수원일 때 그 규모가 5천㎡ 미만인 상황, 오동나무, 현사시, 이태리포플러, 양버들 등 을 벌채하는 경우, 표고 재배용으로 이용하기 위한 나무를 벌채하는 경우(연간 50㎥ 이내) 등입니다.굴취의 경우 대나무 1천㎡ 이내, 임도 또는 방화선 설치에 방해되는 나무, 농경지나 주택 또는 건축물에 바로 붙어있어 그늘 등의 피해 우려가 있는 나무(농경지나 건축물 외곽 경계선에서 나무까지가 나무 높이에 해당하는 거리 이내), 전·답·과수원의 규모가 5천~1만인 곳의 나무 등일 때가 있습니다.허가나 신고 없이 벌채할 수 있는 경우는 자연 고사된 단독 개체 나무, 대나무, 임도나 방화선 설치에 방해되는 나무, 농경지나 주택에 그늘 등의 피해를 줄 수 있는 나무(나무 높이만큼의 거리 이내), 5천m2 이내 규모의 전·답·과수원 안에 있는 나무, [측량·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에 따른 측량에 지장을 주는 나무, 분묘 중심점에서 10m 이내면서 해가림 등의 피해 우려가 있는 나무 등이 있습니다.굴취는 관상수 재배 목적으로 인가를 받아 식재한 나무, 숲가꾸기 작업 중 발생한 임산물, 5천m2 미만의 전·답·과수원 내 나무에 가능합니다. 물론 산림소유자가 따로 있다면 동의가 전제되어야 합니다.만약 허가나 신고 대상임에도 임의로 벌채하면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습니다.따라서 벌채가 필요하다면 그 규모와 상황을 면밀히 따져보고, 해당지역 지자체나 지방산림청에 문의와 확인을 거쳐 관련 절차를 진행해야겠습니다.취재_신기영| 일러스트_라윤희ⓒ 월간 전원속의 내집www.uujj.co.kr [이 게시물은 전원속의내집님에 의해 2019-06-07 18:02:14 HOUSE에서 이동 됨]
전원속의내집
조회 5,696
인기
2019.06.07
주택 단지의 新 트렌드, 네이처스 타운
한 번 지어지고 나면 잊히는 수없이 많은 타운하우스와 단지들. 그중 기본에 충실한 주택과 브랜드 관리, 일상에 특별함을 더하는 요소가 미래 가치를 높이는 이 도시형 단지에 눈길이 간다.수도권역 세 곳에서 주택 단지 동시 분양을 실시하는 ‘네이처스 타운’이 단독주택 단지 시장에 소소한 파장을 주고 있다. 단독주택으로서 갖춘 건축적인 여유와 도시형 단지가 주는 투자 가치, 휴식 공간, 네임 밸류까지. 수많은 주택 단지 속에서 네이처스 타운을 돋보이게 하는 다양한 매력을 경기도 남양주시 호평동 단지를 중심으로 살펴본다.합리적인 가격에 규제 완화 전망까지우선 네이처스 타운을 매력적으로 만드는 부분 중 하나는 확장을 염두에 둔 구조다. 그간 주택 단지들은 대지에 용적률을 꽉 채워 다소 갑갑한 느낌이 드는 주택을 양산해왔던 것이 사실. 이와 다르게 네이처스 타운 주택은 설계부터 1층 후정으로의 확장이 쉽게끔 여유를 뒀다. 관계자는 “주변 단지 사례에 비춰봤을 때 1~3년 안에 건폐율과 용적률 조건이 완화될 가능성이 아주 높다”며 “그때 무리한 증축 등으로 주택의 기능과 미관을 망치는 것보다 지금 건축적인 여지를 남겨두면 증축하더라도 훨씬 안정적이고 자연스럽다”고 설명했다.건축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는 주택 가치 상승과도 맞물려있다. 현재 호평 네이처스 타운의 분양가는 도로나 공용 공간 지분 제외하고 전용면적 264㎡(80평)에 4억9천만원부터 시작한다. 주변 비슷한 규모의 주택 단지 시세가 7억원 초중반에 형성되어있으니, 규제 완화가 이뤄지면 다소 세금 지출이 있더라도 상당한 수익이 예상되는 셈이다. 또, 이곳은 대형마트와 교육시설, 영화관, 경춘선 평내호평역까지 도보 10분, 호평 IC를 통해 서울 잠실까지 자가용으로 30분이 소요된다. 문화·쇼핑·교통시설까지 두루 접근성을 갖춰 기본 인프라 자체가 좋은 편이다.호평 네이처스 타운주소 : 경기도 남양주시 호평동 554-4 일원 | 단지면적 : 약 21,000㎡(약 6,300평) | 단지규모 : 65세대 | 필지유형 : 396㎡(120평), 264㎡(80평) | 분양가격 : 4억9천만원~1_ 호평 네이처스 타운 북부 출구 예상도 / 2_ 단지 조감도. 가운데 필지에 인피니티풀과 게스트하우스 등의 공용 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다. 인피니티풀과 게스트하우스의 특별함네이처스 타운에는 단지만의 시그니처 포인트가 있다. 바로 넓은 공용 공간에 자리한 게스트하우스와 인피니티풀. 호평 네이처스 타운은 120평 필지 하나 전체를 공용 공간으로 할당했다. 관계자는 “한 필지라도 더 팔아야 수익성을 높일 수 있는 일회성 단지 플랜으로는 도입하기 어려운 선택”이라며 “앞으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고민하고 있기에 가능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런 공용 시설은 ‘네이처스 타운’이라는 이름을 걸고 있는 모든 단지에 적용된다.공용 시설은 각 주택에서 부족하게 느껴질 수 있는 마당 경험을 확장해 제공한다. 이로써 세대 간 프라이버시를 확보하고, 단조로워질 수 있는 일상 속 건강한 자극을 준다. 입주민들은 공용 시설을 통해 생활과 분리되면서도 집을 찾은 손님과 함께 안심하고 누릴 수 있는 공간을 향유한다. 한때 손님과 생활 동선 구분 없이 함께 지냈던 문화에서, 출입구를 분리하거나 별채로 만드는 게스트룸을 지나, 이제는 공용 공간으로 분리된 게스트하우스로까지 진화한 것이다. 여기에 인피니티풀도 단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럭셔리한 경험을 체험한다는 점에서 특기할 만하다. 일부 도시형 주택 단지들이 종종 입지만을 강조하는 것을 생각한다면, 이 안에서 ‘따로 또 같이’를 추구하는 휴식 공간을 둔 네이처스 타운의 선택은 사뭇 인상적이다.3_ 80평형 필지에 들어설 주택 거실 모델. 후정은 추후 확장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 4_ 컬러강판과 청고벽돌이 단정한 느낌을 주는 주택 외관 제값 받는 주택의 비결, 브랜드 프리미엄같은 지역에 비슷한 면적과 구조, 자재라고 해도 유명 브랜드가 적용된 아파트와 그렇지 않은 아파트는 매매 금액에서의 차이가 분명하다. 단지 브랜드의 품질 관리, 꾸준한 홍보, 탁월한 입지 선정 등의 인상이 주택의 가치를 높이고, 그 높아진 가치가 매매 시 가격에 반영되는 것이다. 그래서 유명 건설사의 이전 브랜드 아파트들도 현재의 브랜드를 적용하길 원한다는 뉴스를 어렵지 않게 접하곤 한다.주택 단지도 이젠 브랜드가 더욱 강조되는 시기로 접어들고 있다. 한 번 지어지고 분양이 끝나면 잊혀지는 주택 단지가 아니라, 꾸준히 브랜드가 알려지고 관리되는 것이다. 이런 부분은 향후 주택 매매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는 부분이다. 지금도 일부 특정 브랜드 단지들이 여러 차수에서 좋은 반응을 보이며 완판을 이어가고 이후에도 거래가 활발한 것이 그 증거다.5_ 마석 네이처스 타운은 옆에 화도초등학교를 접하고 있어 교육 접근성이 뛰어나다. / 6_ 1차 분양이 진행 중인 경기도 이천 증일동 네이처스 타운. 반응이 좋아 2차도 바로 이어서 진행할 예정이다. 마석 네이처스 타운주소 : 경기도 남양주시 마석우리 194 일원 | 단지면적 : 27,000㎡(약 8,200평) | 단지규모 : 67세대 | 필지유형 : 396㎡(120평), 264㎡(80평) | 분양가격 : 4억3천만원~이천 증일 네이처스 타운 1차주소 : 경기도 이천시 증일동 일원 | 단지면적 : 9,000㎡(약 2,700평) | 단지규모 : 20세대 | 필지유형 : 396㎡(120평), 264㎡(80평) | 분양가격 : 4억5천만원~네이처스 타운도 올해 남양주 호평과 마석, 이천 증일동 3곳에 분양을 시작하고, 내년에는 6곳의 단지가 새로 계획되어 있는 등 꾸준한 브랜드 관리가 이뤄지고 있다. 물론 관리에 앞서 브랜드의 가치를 유지하기 위한 엄격한 입지 선정과 설계 등이 수반되는 것은 기본. 앞으로의 네이처스 타운 브랜드가 가져올 주택 단지의 트렌드가 기대를 모으고 있다.취재_신기영 ⓒ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전원속의내집
조회 7,614
인기
2019.05.17
주택 리모델링 하기 전, 이것만은 반드시 확인하라!
Q 리모델링의 범위는 어디까지인가요?리모델링이란 건축물의 노후화 억제 또는 기능 향상 등을 위하여 대수선 또는 일부 증축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여기서 ‘대수선’은 건축물의 기둥, 보, 내력벽, 주계단 등의 구조나 외부 형태를 수선·변경하거나 증설하는 행위를 말하고, ‘증축’은 기존 건축물이 있는 대지에서 건축물의 건축면적, 연면적, 층수 또는 높이를 늘리는 것을 말합니다.▶ 관련 법령 「건축법」 제2조제9호, 제10호, 「건축법 시행령」 제2조제2호Q 리모델링 시 챙겨야 할 서류는 무엇인가요?단독주택을 리모델링할 때 건축주가 법적으로 반드시 챙기고 있어야 할 서류(계약서 등 제외)는 없습니다. 다만 필요한 서류를 요청하는 것은 건축주의 권리이므로, 진행 과정에 이해를 높일 수 있고 만에 하나 있을 하자를 미리 방지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서류들을 챙길 것을 권유합니다. 일단 집의 구성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평면도와 배선 및 콘센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전기도면 등이 포함된 ‘설계도서’, 어떻게 시공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이 담긴 ‘공사 시방서’, 마감 재료를 구체적으로 지시한 ‘자재샘플목록’, 이 모든 과정에 드는 비용을 산출한 ‘공사견적서’ 등입니다. 도면 및 도서에 따라서는 비용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Q 단독주택 리모델링 전 확인해야 할 부분을 알려주세요.설계·시공 전 기본적으로 확인할 사항 등은 아래와 같습니다.Q 견적서를 받았는데, 뭐가 중요한지 잘 모르겠어요.먼저 견적서를 받았다면 면적과 양, 인력은 꼭 점검해야 합니다. 견적서에 포함되는 주요 내용은 다음 예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각 항목, 즉 면적이나 사이즈, 사양에 대한 설명을 충분히 한 후 견적서에 기재하는 것이 향후 업체와의 갈등의 소지를 줄이는 방법입니다.Ⓐ순서 / Ⓑ공사 내용Ⓒ자재 사이즈(되도록 상세히 기재) / Ⓓ식(인건비), EA(자재의 개수), 자(‘자’당 금액, 1자=약 30.3cm / 원단이나 새시, 가구 등의 치수를 표기할 때 사용)Ⓔ Ⓓ에 기재된 인건비의 인원 수, 면적이라면 ㎡나 평, 자재의 개수 기재(가장 중요함) / Ⓕ건당 가격Ⓖ총 가격 / Ⓗ추가 발생 여부나 공사 특이사항(사이즈, 색상) 등을 별도로 표기Q 리모델링할 때 신고하는 공사와 허가 받아야 하는 공사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신고는 건축주도 직접 할 수 있지만, 허가는 반드시 건축사가 진행해야 합니다. 리모델링 중 대수선과 증축행위는 건축신고나 허가대상에 포함됩니다. 그중 ‘바닥 면적의 합계가 85㎡ 이내의 개축’, ‘연면적 200㎡ 미만, 3층 미만의 건축물의 대수선’, ‘연면적의 합계가 100㎡ 이하인 건축물’ 등은 허가 대상 건축물이라 하더라도 신고하면 건축허가를 받은 것으로 봅니다. 단, 건축허가를 받은 사람이 허가받은 날로부터, 건축신고를 한 사람이 신고일로부터 1년 이내 공사에 착수하지 않는 경우 등 일정한 사유에 해당하면 건축허가가 취소될 수 있고, 신고의 효력이 없어짐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관련 법령 「건축법」 제14조,「건축법 시행령」 제11조제3항Q 이 주택이 증축·대수선이 가능한지는 어떻게 확인하죠?국토교통부 토지이용규제정보서비스(http://luris.molit.go.kr)에서 토지이용계획, 지역/지구별 행위 제한, 규제안내서 등을 열람하거나 해당 시군구청, 전자민원 G4C(www.egov.go.kr)에서 토지이용계획확인원 등본을 발급받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증축 허가 신청을 하기 전에 허가권자에게 해당 건축물 증축이 건축법이나 다른 법령에서 허용되는지에 대한 사전결정 신청도 가능합니다.▶관련 법령 「건축법」 제10조제1항Q 리모델링을 지원해주는 사업에 대해 알고 싶어요.지자체 지원 사업은 서울시의 집수리닷컴(https://jibsuri.seoul.go.kr)이 대표적입니다. 공사비 융자지원, 전문가 상담, 공구 대여, 집수리 노하우 등 다양한 지원 혜택 및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밖에 오래된 단독·다가구주택 리모델링에 최대 1천만원까지 지원하는 ‘서울가꿈주택 사업’, 6개월 이상 방치된 빈집에 리모델링 비용의 최대 50%, 2천만원까지 무상지원하는 ‘빈집 살리기 프로젝트’, 150㎡의 농촌지역 단독주택을 대상으로 하는 ‘농촌주택개량자금’, 주택가 주차장 조성을 지원하는 ‘그린파킹사업’, 에너지 절감을 위해 노후 건축물의 창호 교체 공사를 지원하는 ‘그린리모델링 지원사업’도 유용합니다. 기존 주택을 새로 짓거나 고쳐 임대주택을 공급하는 ‘집주인 임대주택 사업’도 눈여겨볼 만합니다.Q 주택 매도 후 하자가 발견되었는데, 보수의 책임은 누구에게 있나요?부동산 매매 계약 이후 건물의 하자가 발견되었을 경우 6개월 동안은 전주인(매도인)의 책임입니다. 이는 민법에 명시된 부분으로, 매도인의 악의에 의하거나 매수인의 과실 없이 거주 중 발견한 하자 등에 대해서도 6개월 내 하자 보수를 해주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Q 리모델링을 하며 이웃집과 분쟁이 생겼는데, 웬만하면 소송 없이 해결하고 싶어요.분쟁이 발생한 경우에는 각 시군구와 특별시·광역시·도에 설치된 건축분쟁전문위원회를 통해 분쟁의 조정 또는 재정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하려는 사람은 ‘신청인의 성명(법인인 경우에는 명칭) 및 주소’, ‘당사자의 성명(법인인 경우에는 명칭) 및 주소’, ‘대리인을 선임한 경우에는 대리인의 성명 및 주소’, ‘분쟁의 조정 등을 받으려는 사항’, ‘분쟁이 발생하게 된 사유와 당사자 간의 교섭경과’, ‘신청연월일’ 등을 기재하고 서명·날인한 분쟁조정 등 신청서에 참고자료 또는 서류를 첨부해서 관할 건축분쟁전문위원회에 제출(전자문서에 의한 제출을 포함)해야 합니다. 증거자료 또는 서류가 있으면 그 원본 또는 사본을 분쟁조정 등 신청서에 첨부해서 제출할 수 있고, 조정신청은 해당 사건의 당사자 중 1명 이상이, 재정신청은 해당 사건 당사자 간의 합의로 합니다.참고 자료 * 이종민, 「앞으로 5년 경매하고 리모델링하라」, 인사이트북스(2014) * 토미,「리모델링으로 재테크하라」, 예문(2017) * 알기 쉬운 생활법령 www.easylaw.go.kr * 법제처 www.law.go.kr정리_조고은ⓒ 월간 전원속의 내집 Vol.230 www.uujj.co.kr
전원속의내집
조회 5,484
인기
2019.05.03
벽에 붙이는 변기, 멋있긴 한데 하자는 없을까요?
층간 소음 없고 청소 용이하지만공사 난이도는 높아GOOD IDEA▶ 큰 부피를 차지하는 물탱크와 바닥의 배수구가 벽에 매립되어 있고, 바닥에 변기가 닿지 않아 공간이 더 넓어 보이는 효과가 있어요. 바닥 타일과 벽 마감재를 시공할 때도 끊기지 않으니까 깔끔하고요. 배관이 바닥이나 천장을 지나지 않아 층고도 더 활용할 수 있어요. ▶ 요즘처럼 층간 소음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클 때는 소음 감소 효과를 간과할 수 없죠. 변기 배관이 아랫집 천장을 통과하는 통상적인 욕실의 소음이 약 60dB 정도인데, 벽부형 변기로 교체하면 이 소음의 약 1/4 정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 ▶ 기존 기성품 변기는 바닥으로부터의 높이가 정해져 있다 보니 변기에 사람이 적응해야 하는데, 벽부형 변기는 높이 조절이 수월해 사용자에 맞춰 설치할 수 있어요. ▶ 바닥 배관이나 지지하는 부분에 의해 바닥이 막혀있지 않아 청소가 무척 편리해요. 또, 배관 측면에서도 물이 고일 수 있는 부분이 적기 때문에 냄새 역류 가능성이 낮은 편이고요.BAD IDEA▶ 배관 공사가 상대적으로 복잡한 편이에요. 만약 누수가 발생하면 벽체가 바로 오염될 수도 있고요. 벽부형 변기를 고를 때 점검용 패널을 지원하는 모델을 염두에 둬야 합니다. ▶ 목조주택이라면 바닥없이 벽체에 무게 전부를 의존하는 특성상 장기적으로는 구조에 피로가 쌓여 처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요. 전문 기술자의 수시 조정이 필요한 부분이고, 조정이 없다면 누수로도 이어질 수 있죠. 처음 설계 시부터 적용을 염두에 두고 보강 시공도 이뤄져야 해요. ▶ 일반 변기에 비해 변기 자체의 가격이 비싼 편이에요. 시공비도 마찬가지로 다소 비싸고, 일반 변기에서 벽부형으로 바꾸는 경우라면 파이프 위치도 옮겨야 해 추가비용이 만만치 않아요. 만약 변기를 바꿀 계획이라면 화장실 전면 리모델링을 겸해서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 벽부형 변기 자체가 상대적으로 고급형이기 때문에 부수적인 기능이 추가되어있는 제품이 많아요. 불필요하게 많은 기능은 시간이 상당히 지나면 유지·관리가 어려워지고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취재_신기영 | 일러스트_라윤희ⓒ 월간 전원속의 내집www.uujj.co.kr [이 게시물은 전원속의내집님에 의해 2019-05-03 17:44:45 HOUSE에서 이동 됨]
전원속의내집
조회 6,015
인기
2019.05.03
실내 연장선상에 놓인 발코니, 베란다, 테라스
까다로운 방수와 면적의 손실에도 많은 건축주가 선택하는 데는 이유가 있다. 잘 만든 테라스는 카페도 부럽지 않다.입면 외장재인 폴리카보네이트 안쪽으로 보이드를 내어 만든 공간에 다양한 크기와 목적의 테라스를 설치했다. _ 아키텍케이 건축사사무소 대지가 좁아 마당을 마련하기 힘든 도심 주택은 옥상에 데크를 깔아 테라스로 적극 활용한다. _ Kozo Yamamoto Architectural office ⓒJoao Morgado2층 외부 공간, 이것만은 알고 준비하세요▶ 목조주택의 발코니 바닥으로 내리는 빗물이 구조체까지 스며들지 않도록 코너 방수, 시트 방수, 방수 합판 등을 적용하고 별도의 담수 테스트를 거칠 필요가 있다.▶ 발코니(법적용어)는 난간 설치 여부와 관계없이 외벽 중심선으로부터 1.5m까지는 바닥면적에서 제외된다. 단독주택의 경우 외벽 중 2면 이내만 구조 변경이 가능하다.▶ 빗물이 벽을 타고 테라스의 천장 부분으로 흐르거나 바람에 의해 마감재를 적실 수 있다. 끝부분에 물끊기 처리를 해주고, 내수성이 좋은 재료로 마감하는 것을 권장한다.박공 모양의 프레임이 바깥 공간으로 그대로 연장된 사례로 1층에서 바로 접근할 수 있도록 외부 계단과 연결했다. _ Fabian Evers Architecture ⓒMichael Schnabel, Sebastian Berger곡면의 특징을 드러내는 예각 부분을 비워두고 천장을 반사도가 높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마감해 공간의 풍성함을 더했다. _ 조호건축 ⓒ변종석코너부에 기둥이나 창호 프레임 없이 실내와 연결해 다이닝룸이 자연스레 확장돼 보인다. 많은 손님도 거뜬하게 수용한다. _ Davide Macullo Architects ⓒEnrico Cano, Como창호 바로 앞자리는 배수를 고려해 자갈로 마감하고, 나머지 공간은 인조 잔디와 데크로 구획했다. _ ㈜로터스건축 ⓒ석민호주방과 마주한 야외 테라스. 가족만의 오붓한 공간인 동시에 사용하지 않을 때는 목재 데크로 덮어두는 수영장을 설치했다. _ 황준도시건축사사무소 ⓒ박영채구성_조성일| 사진_주택문화사DBⓒ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전원속의내집
조회 8,559
인기
2018.11.28
"집을 공장에서 미리 만들어서 짓는다?"
‘차라리 집도 공장에서 만들면 좋을 텐데’ 하는 생각, 한 번쯤은 해 봤을 것이다. 날씨, 비용, 심지어 민원 걱정까지 덜어주며 공장에서 90% 이상을 짓는 프리패브 목조주택. 앞으로 주택 시장의 판도를 바꿀 이 시스템의 최전선을 보기 위해 평택의 ‘집 짓는 공장’에 다녀왔다.주택이 만들어지는 공간제작소의 평택 공장 전경. 올해 2월 국내 최초로 수입한 자동화 기계의 컨베이어 시스템은 부재 가공부터 패널 제작까지 한 채에 들어가는 주택의 모든 벽체를 약 3일 만에 생산해낸다. ‘프리패브 공법’이란 프리패브리케이션 (Pre-Fabrication)의 약자로 건축 시 현장 작업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장에서 골조를 생산하고, 현장에서는 조립만 하는 공법을 말한다. 그동안 국내에서는 주택의 구조용 자재를 공장에서 미리 가공하는 프리컷(Pre-Cut), 골조의 벽체 또는 박스만 먼저 만들어 현장에서 조립하는 패널라이징 공법 등으로 공장 시스템의 이점을 살려 왔다. 공간제작소는 Panels Plus社의 자동화 시스템 기계를 국내 최초로 들이며 부재 가공부터 내장 공사까지 약 15일 만에 완성하는 일정 맞추기에 성공했고, 올해 2월부터 이 시스템을 통해 완공된 주택은 자그마치 100여 채. 날씨와 계절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기계가 측정하고 재단하기 때문에 정확도에 있어서도 탁월함을 자랑한다.예비 건축주들에게 가장 인기가 높았던 모듈러 주택. 3.4×7.2(m) 모듈 세 개로 1층을 만들고, 내벽 구성만 달리한 같은 모듈 세 개로 2층까지 만든 사례이다. + 프리패브 주택의 장점▶ 합리적인 가성비90~95% 공정을 공장에서 제작해 낭비 없이 자재를 사용하여 자재비를 절감하고, 효율적인 분업으로 이루어진 원스톱(One-Stop) 시공을 통해 공기를 단축시킨다. 나아가 완성된 주택을 분해해 다른 땅에 짓도록 파는 ‘리셀(Re-sell)’의 가능성도 있어, 비용 대비 효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가격은 기본 스펙 적용 시 평당 약 330만원 수준(기초 공사 및 이동 비용 등 제외)이다.▶ 공법의 표준화주택은 보통 몇 개의 모듈로 나누어 설계 및 제작된다. 설계 단계에서 시공으로 넘어갈 때 자재의 효율적인 수급까지 고려되며, 골조에 들어가는 모든 자재는 기계에 의해 오차 1mm 이내로 재단된다. 목조주택은 목수의 경험과 숙련도에 의해 품질 편차가 크다는 단점을 자동화 및 기계화로 보완해 품질의 표준화를 이룩한다.▶ 현장 조립공장에서 각 모듈이 제작되는 기간 동안 현장에서는 기초 및 토대 공사는 ‘투 트랙(Two Track)’ 방식으로 진행된다. 현장에서 소음 및 먼지를 발생시키며 짓는 기간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현장 주변 관리, 공사 폐기물 등에 대한 신경을 덜 쓸 수 있고 민원에 대한 우려도 상당 부분 해소된다.+ 설계 과정주택은 아래의 포트폴리오처럼 직사각형을 기본으로 하되, 변형을 통해 원하는 형태로의 설계도 가능하다. 다만 자동화 생산에 최적화된 사이즈로 3.4×5.2 / 3.4×7.2 / 3.4×9.0(m)의 세 가지 모듈을 권장하며 도로의 육교나 교량의 높이를 고려해 한 층 높이는 최대 3.8m까지 추천한다. 탁 트인 층고 구현도 가능하며, 골조를 제외한 자재(외장재, 창호재, 단열재)는 건축주의 요구조건에 맞춰 변경할 수 있다.기본형 스펙 구조재 : S.P.F. 북미산 목재 + 타이벡외장재 : 시멘트 사이딩(화이트), 메탈 사이딩(화이트/그레이/브라운) (건식 공법 권장)단열재 : 그라스울(지역별 단열등급 적용)창호 : 미국식 창호도어 : 우딘社현관문 : 단열방화도어(엘도어社)난방 : 건식 온수난방 위 지정 마감PROCESS골조, 조립, 전기, 설비, 내·외장, 마감 등의 파트가 있으며, 주택마다 각 파트별 담당자 및 공정 전체를 총괄하는 디렉터가 배치되어 철저한 분업 시스템으로 작업 효율을 높인다.+ 완공 사례경기도 김포시 / 모듈러 주택임에도 복잡한 요철과 다양한 창 크기 표현이 가능함을 보여준다.경기도 양평군 / 단층주택으로 규모가 작을수록, 평면 및 모듈의 결합이 단순할수록 비용은 낮아진다.경기도 파주시 / 한 집처럼 보이지만 맞벽을 대고 있는 심플한 듀플렉스 주택이다.강원도 강릉시 / 블랙 앤 화이트를 바탕 목재로 포인트를 주어 유행을 타지 않는 스타일을 구현했다.+ 이동식 주택도 가능하다고?최근에는 프리패브 시스템의 장점을 살려 이동식 주택 모델인 ‘Cabin House’도 선보이기 시작했다. 소비자들의 수요가 가장 많은 ‘6평형 기본 + 다락 + 포치’로 제작되었다.자재 사양 골조 : 2″×6″ S.P.F 단열재 : 그라스울 외장재·지붕재 : 에코월패널, 루나우드 내장재 : 벽·천장 – LPM보드 / 바닥 – 강화마루 난방 : 전기 온돌 패널 기타 : 다락(2.4평), 포치, 소형 욕실 및 주방 각 1개소, 싱크·냉장고·세탁기 포함INTERVIEW / 오한솔 공간제작소 시공관리부 부장“골조뿐만 아니라 나머지 공정도 자동화 생산이 최종 목표”◾ 설계는 외부에서 받고 시공만 공간제작소에 의뢰할 수 있나가능은 하지만, 프리패브 공법의 특성을 이해하고 설계를 할 수 있는 건축사사무소가 많지 않아 사전에 검토 및 협의가 필요하다. 기본 설계는 물론 모듈 설계와 자재 재단 등이 동시에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골조만 납품하는 반축공사는 가능하다.◾ 타운하우스처럼 A타입, B타입 등 정해진 모델을 고를 수도 있나지금까지 축적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보편적이고 대중적인 평면 및 단면으로 구성한 타입이 7개 정도 있다. 약 14~36평까지 규모도 다양하다. 비슷한 구성과 스펙의 맞춤 설계 주택에 비해 더 저렴하게 짓는 방법 중 하나이다.◾공장 제작에 들어가면 설계 변경은 불가능한가공간제작소의 자동화 시스템은 사전에 재단표 및 수량 산출을 통해 공정을 획기적으로 줄여 비용을 절감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생산 라인에 들어간 주택의 경우 내벽의 수정, 마감재 교체 등 미미한 변경 외에는 사실상 어렵다.◾ 이동 및 설치가 중요해 보인다. 공간제작소만의 노하우가 있다면사전에 이동이 가능한지 검토를 철저히 진행한다. 4m 이상의 도로 폭 확보, 차량의 회전 반경, 전선과의 간섭 등도 변수이다. 저진동 차량을 통해 이동해 충격을 최소화하고, 접합부 연결에는 팀장 이상급 전문 인력이 직접 담당한다.◾ 공간제작소 시스템의 보완할 점은갈수록 높아지는 공사 비용에 대한 대안으로 머지 않아 많은 업체가 분명 이 자동화 시스템 시장으로 뛰어들 것이다. 선두 기업인 공간제작소가 현재는 골조 공사만 자동화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나머지 공정들에 대해서도 업그레이드된 자동화 설비 구축을 통해 전자동 시스템 기반의 주택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취재협조_공간제작소공간제작소는 합리적이고 가성비 높은 주택 집짓기를 추구하는 프리패브 목조주택 브랜드이다. 이번 자동화 시스템 기계 도입은 갈수록 높아지는 인건비와 자재 비용을 현저하게 낮추면서 숙련도에 무관하게 높은 품질을 생산할 수 있다는 점이 강점이다. 하청과 재하청으로 구성된 인력이 지어 책임 소지조차 불분명한 집짓기 시장에서 100% 직접 고용된 젊고 전문적인 인력이 모든 공정을 책임진다. 02-3411-0911 | http://gg-arch.co.kr구성_조성일| 사진_변종석ⓒ 월간 전원속의 내집2018년 11월호 / Vol.237 www.uujj.co.kr
전원속의내집
조회 10,844
인기
2018.09.13
전원 초보자를 위한 잔디깎기 입문 가이드
꿈에 그리던 정원은 멋진 잔디 없이 완성할 수 없다. 그래서 필요한 잔디깎기. 대체 뭘 구입할지, 또 어떻게 써야 할지 고민인 당신을 위한 간단 가이드. Ⓒ후스전원주택을 짓고자 하는 건축주라고 해도 전원생활을 미리 경험해본 경우는 많지 않다. 주택 생활을 해보았어도 잔디정원을 처음 접하는 이들도 많다. 잔디깎기나 예초기, 송풍기를 써보는 일도, 그전에 고르는 일조차 낯설다. 그래서 이들 장비를 고르는 기준과 사용요령, 그리고 주의사항까지 짚어보았다. 잔디깎기는 정원 관리의 핵심 전기모터 vs 엔진 : 편리는 전기모터, 넓은 작업은 엔진 전기모터식은 엔진이 없다는 것이 장점이다. 그래서 소음은 엔진식 대비 약 70% 수준, 매연은 아예 없다. 엔진이 없으니 연료 계통에 딸리는 관리도 필요 없다. 하지만, 넓은 면적을 오래 작업해야 한다면 작업 지속성은 엔진식이 상대적으로 유리할 수 있다. 전기모터식은 배터리 소모 대비 충전 시간이 느리기 때문이다. 물론, 꾸준히 개선이 이뤄져 ‘이고파워’ 제품의 경우 1시간 이상 사용에 배터리 충전시간 20분~1시간으로, 여분 배터리 하나 정도면 지속적인 작업이 가능한 수준까지 왔지만, 이때도 최소 배터리 1개를 추가 확보하고 충전-교체를 반복해야 한다. 그래서 전문가들은 약 200평 이상 작업 규모라면 엔진식을 권한다. 자주식 vs 비자주식 : 마당의 경사도와 규모로 선택 스스로 동력을 가지고 움직이는지에 따라 자주(自走)식과 비자주식으로 나뉜다. 자주식은 상대적으로 힘이 덜 들어 작업 피로감이 덜한 장점이 있다. 비자주식이라고 해서 작동이 어려운 것은 아니지만, 작업 면적이 넓고 경사가 있는 정원이라면 고민해야 한다. 같은 용량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 자주식은 잔디 깎는 날 외에 바퀴에도 동력이 들어가야 해 사용 시간이 조금 줄어들 수 있다. 가동 시간에 약 20% 정도 차이가 생긴다. 일반적인 주택 정원 규모는 전체 가동 시간이 적어 선택을 크게 좌우할 부분은 아니다.예초기, 정원 관리의 중간 고리 전기모터식 vs 엔진식 : 사용시간보다는 배터리 호환성 예초기도 잔디깎이와 비슷한 장단점을 가진다. 일반 전원주택 잔디정원 관리에서 예초기는 보조적인 역할을 하고 있어 작동 시간 중요성이 덜하다. 다만 울창한 수풀을 전문적으로 정리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엔진식이 유리할 수 있다. 잔디깎기를 전기모터식으로 결정했다면 예초기도 같은 제조사를 선택하는 것이 배터리를 공유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이다. 커팅 날 : 잔디 정원에서 금속 칼날은 불필요 커팅 날은 크게 나일론 와이어와 금속 칼날로 구분된다. 전원주택 정원 관리 수준에서는 대체로 나일론 와이어로 충분하며, 금속 칼날은 무성한 잡초나 잡목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면 굳이 추가 구매할 필요는 없다. 만약 좀 더 전문적인 정원 관리가 요구된다면 전정용 칼날 등 호환·교체 가능한 부품을 가진 제품을 고르는 것이 별도 기기 구매를 하지 않아도 돼 경제적이다. TIP. 배터리는 용량과 셀(cell) 제조사까지 확인할 것 배터리는 용량이 얼마나 큰지, 오래 안정적으로 쓸 수 있는지가 관건이고, 이런 성능은 ‘셀(cell)’ 생산 업체 확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삼성이나 LG에서 생산되는 셀이 안정적인 용량과 출력을 보이며 세계적으로도 인정받고 있고, 일부 중국산 셀의 경우 상대적으로 짧은 수명과 함께 방전될수록 출력이 줄어드는 일이 발생하기도 한다. 송풍기, 잔디 정원부터 다용도 청소까지 배낭형 vs 핸디형 : 더 강한 힘과 작업 지속성은 배낭형이 유리 송풍기는 크게 배낭(백팩)형과 핸디형으로 나뉜다. 배낭형은 상대적으로 출력이 더 크게 설계되는 편이고 어깨로 무게를 분산하기 때문에 피로감이 덜하다. 핸디형은 오래 쓰기에는 불편하지만, 작업 방향이 자유롭다. 송풍기는 잔디깎기나 예초기와 달리 평소 청소 등에도 활용할 수 있어 정원이 넓고 낙엽 정원수가 많다면 오래 사용할 수 있는 배낭형이 더 유리할 수 있다. Ⓒ후스잔디깎기 준비 및 주의사항❶ 예초기 모델|EgoPower ST1500E-F 배터리|DC 56V 전용배터리(7.5Ah 배터리 사용 시 90분) 예초폭|38㎝ 커팅 날|듀얼 줄타입 날(나일론) 2.4㎜ 중량|3.2kg(배터리 제외)❷ 잔디깎기 모델|EgoPower LM2020E-SP(자주식) 배터리|DC 56V 전용배터리(7.5Ah 배터리 사용 시 60분) 예초폭|50.8㎝ 예초 높이|2.5~8㎝(5단 컷팅 조절) 중량|26kg❸ 송풍기 모델|EgoPower LB6000E(배낭형) 배터리|DC 56V 전용배터리(7.5Ah, 350CFM 3시간, 최고 600CFM 23분) 송풍량|350~600CFM 송풍속도|160, 192, 최대 232㎞/h 중량|5.7kg(배터리 제외) 잔디깎기-예초기-송풍기 순서로 진행 잔디정원은 가장 먼저 잔디깎기로 마당의 넓은 부분을 정리해나간다. 하지만, 잔디깎기는 자체의 크기가 있어 가동 범위에서 어느 정도 제약을 받는데, 가장자리에 억지로 잔디깎기를 쓰려하지 말고 남겨둔다. 다음으로 예초기를 활용해 정원 구조물 주위나 정원수, 경계석, 펜스 주변 등 잔디깎기로 해결이 어려웠던 부분을 깎아 나간다. 전문가가 아니라면 예초기로는 넓은 범위를 고르게 정리하기 어렵기 때문에 예초기는 보조적인 수단으로 한정해 사용하는 것이 좋다. 잔디를 깎고 나면 잔여물이 주변 도로나 데크, 진입로에 쌓일 수 있는데, 이때 마무리 과정으로 송풍기를 사용해 정원 쪽으로 불어낸다. TIP. 배터리 충전기는 휴식 공간에서 멀리 둘 것배터리는 고용량을 짧은 시간 내에 충전하기 때문에 충전기에 쿨링팬이 적용되어 있다. 큰 소리는 아니지만, 신경 쓰일 수 있는 수준이다. 따라서 침실이나 거실, 서재 등 휴식·집중해야 하는 공간 주변은 피하는 것이 좋다.작업 순서 & 포인트 ❶ 키에 맞춰 손잡이 높이(위)를, 잔디 길이에 맞춰 커팅 높이(아래)를 조절한다. 배터리 용량도 확인한다.❷ 잔디 양이 적으면 그대로 배출해 멀칭*하고, 일상 커팅 때는 풀통을 장착해 모아 배출한다.❸ 잔디를 깎을 때 ‘ㄹ’자 형태로 왕복하며 진행하는 것이 깎인 면이 고르고 보기 좋다.❹ 잔디깎기가 끝나면 예초기를 준비한다. 커팅 날은 나일론 와이어를 20cm 길이로 내어 준비한다.❺ 보안경 착용 후 어깨끈을 조절해 허리 높이에 두고, 앞 손잡이 위치를 편하게 조절한다.❻ 예초는 헤드 중심부가 바닥에 살짝 닿는 높이에서 긁어나가듯 진행한다.❼ 송풍기 등받이가 허리에 밀착되도록 어깨와 허리끈을 조절한다.❽ 주변을 살핀 후 바람을 등지고, 집 가까이나 도로가에서 시작해 정원 안으로 불어나간다.❾ 정리가 끝나면 장비를 수습하고 배터리를 뽑아 충전한다.* 멀칭 – 잔디를 깎고 그 부산물을 잔디 정원 위에 그대로 깔아두는 것으로, 잔디가 자라는 토양을 보습하고 잡초를 억제하며 양분의 역할도 한다.잔디 깎을 때 주의할 점 3가지● 잔디깎기와 예초기 유지 보수는 칼날 교체 정도 일주일 1회 이상 잔디를 깎는 빈도라면 1년에 1회 칼날 교체를 권장한다. 이때 칼날은 제조사별로 호환되지 않기 때문에 전용품을 사용해야 한다. 예초기 날은 시중에서 예초기용 24㎜ 나일론 와이어를 구매해 보충하면 된다. ● 비 온 직후나 새벽에는 작업을 피해야 습기를 가득 머금은 잔디는 잘 깎이지 않아 작업 효율이 많이 떨어지고 기계 내에 엉겨 붙어 잔여물이 배출되지 않는 등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맑은 날에, 이슬이 맺힌 새벽을 피해 작업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잔디가 웃자랐다면 여러 번 나눠 작업 깎는 횟수를 줄이기 위해 무조건 낮은 칼날 높이로 작업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는 잔디 생육에 부담을 줄 수 있다. 잔디가 웃자랐다면 가장 높은 단계에서부터 2~3일 간격으로 점차 낮춰 깎아야 잔디에 무리가 없다. 취재협조_ ㈜후스 031-914-4230, www.egopower.co.kr취재_ 신기영 | 사진_ 변종석ⓒ 월간 전원속의 내집 [이 게시물은 전원속의내집님에 의해 2018-11-16 16:37:57 HOUSE에서 이동 됨]
전원속의내집
조회 8,801
인기
2018.10.24
“주택단지 개발, 승산 있을까?”
의뢰인은 소싸움으로 유명한 경상북도 청도군에 1,000여 평의 토지를 보유하고 있었다. 대다수의 지주가 그러하듯 땅으로 팔기는 세금 문제로 고민이 되어 지어 파는 것을 검토했다. 단지 경쟁력은 기획과 수익 적정성을 검토하는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 이에 다방면의 전문가가 의견을 제시한다. 사이트 기본 정보 위치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삼신리 면적 ▶ 3,517㎡(1,063.9평) 지역 지구 ▶ 계획관리지역 의뢰자 질의 사항 ▶ 이 땅이 전원주택단지로 개발하기에 적합할까?▶ 어떤 형태로 주택을 지어야 분양이 잘 될까? ▶ 매물로서 주택의 경쟁력을 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까? ▶ 짓고 나서 분양을 하면 어느 정도 수익을 얻을 수 있을까?사업지 인근에는 20세대 이상, 자연 친화적인 콘셉트로 조성된 1세대 전원주택마을이 주를 이루고 있다. "대도시 배후 입지 조건에 교통망 좋아, 주변 위락 시설들 배경으로 새로운 콘셉트의 주택단지 개발 가능성 높아"# 부동산 전문가의 분석 토지는 남측 5km 이내에 청도군청이 소재하고, 북측 약 20km 이내에 대구광역시, 약 15km 이내에 경산시가 자리하고 있다. 대도시 배후의 전원주택 입지 조건으로 광역 접근성이 양호한 편이다. 또한 중앙고속도로 진입이 가능한 청도IC가 5km 이내에 위치한 것도 장점이다. 대구 시내까지 약 40분, 경산 시내까지 약 20분 내 진입이 가능하고 청도IC를 통해 중앙고속도로를 이용하는 경우 동대구IC까지 약 25분 내 진입할 수 있다. 토지 인근의 각북면, 금천면 등에는 이미 여러 전원주택단지가 개발되어 공급된 선례가 있다. 이들은 널따란 면적의 땅에 여유롭고 자연 친화적인 주택을 내세운 단지들이라, 금번 토지개발은 주변의 다양한 휴게관광시설을 배경으로 한 차별화된 사업모델이 요구된다. 지리적인 여건으로 봐서 청도군 내 전원주택의 지속적인 수요를 고려한다면, 주택단지로서의 입지는 양호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지난 8월 공개된 친친디의 풀빌라 SLP 모델. 한옥의 개념을 접목한 휴양형 주택이다."농어촌에 적합한 에어비앤비로, 수익형 주택 모델 만들면 수익률 20% 초반 나올 수 있어" # 풀빌라 민박 단지로서의 가능성 의뢰인은 이 토지를 ‘온천이 나오는 풀빌라 단지’로 만들고 싶어 했다. 청도의 지리적 특성상 온천수의 직접적인 수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풀빌라가 온수풀을 운영하기 위해 들이는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온천수’라는 아이템을 세컨드하우스의 분양 경쟁력으로 삼고자 했다. 하지만, 문제는 주택 모델이었다. 이에 일본 온천관광단지 내 ‘료칸’ 모델을 수입해오기 위해 직접 일본 출장도 수차례 다녀왔다. 그러나 여러 가지 면에서 난관에 부딪혔다. 1년간 전국의 유명하다는 풀빌라도 직접 다녀 보았지만, 막상 본 토지에 적용하려면 아쉬운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 그러던 어느 날, 본지에서 소개한 ‘1억원대 수영장 딸린 집(2018년 8월호 소개)’을 본 순간, ‘탁!’ 하고 무릎을 쳤다고 한다. 우리의 전통적인 주거 양식인 한옥을 본 딴 한국형 모듈러주택이 마음에 들었던 그는 풀빌라의 핵심인 ‘풀(Pool)’의 실물을 보기 위해 서울로 향했다. 실제 적용된다는 6m(가로)×3m(세로) 규격의 풀은 예상보다 깊고 컸다. 또한 풀빌라에서 가장 어려운 것이 수영장 관리인데, 완제품이라면 판매업체를 통한 설치와 관리가 지원된다는 점도 마음에 들었다. 친친디는 한국형 에어비앤비 사업을 목표로 ‘공유주택’이라는 아이템도 제안했다. 수분양자가 사용하지 않을 때, 민박 형태로 운영한다면 수익형 전원주택의 가능성도 있다는 뜻이다. 농어촌의 경우, 70평 미만은 펜션업으로 등록하지 않아도 민박사업이 가능한 것도 이점이 된다. 인근 주택 신축사업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1억원대 중반 이하로 개별 주택 건축비를 설정하고, 휴양형 아이템인 온천스파 스위밍을 경쟁력으로 삼는다면 가능성은 있어 보였다. 풀빌라 프로젝트에 들어갈 6m 길이의 스파 모델# 사업성 검토를 위해 인근 주택 매매 사례까지 분석, 철저한 적정성 타진으로 사업 적합성을 따지다 인근 단독주택 매매 사례를 검토한 결과, 본 토지(2018년 1월, 3억4천만원 매입가 기준)를 형질변경 및 지목변경한 후 1억원대 중반의 건축비로 단독주택 8개 동을 신축하였을 경우 총 분양대금은 약 21억~24억원 수준으로 예상된다. 이 사업이 분양까지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개발 수익률은 20% 초반을 가늠해 볼 수 있다. 특히 인근으로 프로방스 카라반캠핑, 프로방스 테마파크(포토랜드), 용암온천, 소싸움 경기장 등 관광 및 휴게 및 집객시설이 날로 활성화됨에 따라 타 지역 대비 기반시설 및 유동인구 수준도 우수할 거라는 평가를 받았다. 요즘은 불경기라 하더라도 주5일제의 영향으로 일년 내내 주말을 성수기로 보는 경향이 있다. 이런 면에서 휴양형 전원주택 분양은 수분양자들의 수익성 증대에도 도움이 되어 매력적인 경쟁력을 가진다. 여기에 민박사업의 홍보 마케팅 및 관리를 원스톱으로 해결해 줄 수 있는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구축한다면, 수분양자 입장에서 지속적인 수익창출이 가능할 것이다. 사업성 검토 및 자문단 - 주택사업 컨설팅 총괄 : 친친디 서동원 - 주택사업 컨설팅 슈퍼바이저 : 밸류맵 김범진 - 주택단지조감도 : 다무원 김지윤 - 부동산 컨설팅 : 친친디 김상곤 - 세무 컨설팅 : 절세티비 윤나겸 취재협조_ ㈜친친디 1599-4217 www.건축어벤저스.com / www.친친디.com 구성_ 편집부 ⓒ 월간 전원속의 내집
전원속의내집
조회 11,752
인기
2018.09.27
가구에 대한 고정관념을 버리자!
가구에 대한 기존 방식을 그대로 고수하기보다 고정관념을 깨고 새로움을 적용해야 창조적인 공간이 나온다. 자신의 라이프스타일과 취향에 맞춘 맞춤형 주문가구는 활용 가능한 아이디어가 무궁무진하다. 계단부터 수납장까지 한 번에 가리는 천장에 매다는 도어 가구 도어가 천장 레일에 매달려 슬라이딩으로 형태로 열고 닫힌다. 계단 아래에 냉장고와 오븐을 수납하고 나머지 공간은 모두 수납장으로 제작한 상태. 그 앞에 슬라이딩 도어를 4개 제작하여 천장에 매달아서 가구 도어로 쓰이기도 하고 계단 등을 보이지 않게 하는 파티션도 되는, 이중적인 역할을 한다. 옆면 역시 다용도실로 가는 문이자, 동시에 장식장 문이 되도록 설계하여 제작했다. 신발장 도어를 대리석으로, 현관 전체의 마감재 통일 현관의 벽 마감이 대리석이라 같은 재질을 이용하여 신발장 도어를 제작했다. 대리석이라 재질에 따른 무게도 있는데 슬라이딩 도어라 문이 커져 더 무거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고하중용 슬라이딩 레일을 이용하여 가구에 올려 태워 시공하는 형태로 문제를 해결했다. 의례적으로 가구 도어는 당연히 목재일거라고 생각하는데 이처럼 제작 가구는 다양한 재료를 무궁무진하게 적용하여 현장과 일체감 있는 공간을 구현할 수 있다. 멋과 기능을 살린 타공 도어 신발장기성 신발장은 선반 사이즈와 문 모양만 골라서 배열하듯이 제작된다. 이런 신발장은 오로지 기능적인 부분만 강조된 형태일 수밖에 없다. 오른쪽 사진은 현관 중문과 동일한 컬러로 신발장 오픈 부분에 포인트를 주어 중문과 신발장이 한 몸처럼 보이도록 디자인했다. 중앙에서 손잡이를 대신하는 오픈 부분과 위·아래로 장식 효과가 있는 오픈 부분을 만들어 기능과 디자인을 모두 살렸다. 이 공간은 장식장 역할도 겸할 수 있다. 신발장은 공중에 띄워서 바닥이 더 넓어 보이게 하는 효과를 더했다. 가구로 만든 숨은 출입문 얼핏 보면 책장으로 보이지만 장 하나를 움직이면 안쪽 공간으로 들어가는 출입문이 된다. 주택 건축 시 애매하게 남는 공간이나 수납을 위해 필요한 공간을 위해, 앞면에 가구를 배치하고 해당 가구를 출입문으로 사용한 아이디어다. 데드스페이스를 없애고 추가적인 수납 공간까지 확보하는 장점이 있다. 도움말_ 이정란 마춤가구 우노 대표 031-321-5590 | http://unogagu.com 취재_ 편집부ⓒ 월간 전원속의 내집 2018년 9월호
전원속의내집
조회 8,140
인기
2018.07.02
잔디 정원, 제초제도 괜찮을까?
여름 잔디 관리는 고달픈 일이라고 치부하기 쉽다. 하지만, 약제를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푸른 정원을 만들 수 있다. 상황에 맞는 약제와 주의점을 Q&A로 만나본다.사람들은 종종 잔디에 약제를 사용하는 것을 부자연스럽게 여기기도 하지만, 작물에 비료와 물을 주는 것처럼 약제도 정원을 가꾸는 보조적인 수단 중 하나다. 온종일 잡초를 뽑는 대신 제초제를, 일일이 벌레를 잡는 대신 살충제를 사용하는 것뿐이다. ‘약제(농약)=위험’이라는 인식이 있지만, 현재 시판되는 약제는 소금이나 아스피린보다도 안전한 저독성, 보통 독성이 대부분이다. 편리하지만, 약제를 사용해 원하는 효과를 보려면 정확한 사용법 숙지는 필수다.잔디를 식재하기 전, 어떤 약제를 도포해두는 것이 좋나?대부분 약제 처리가 필요하지 않을 때가 더 많다. 다만, 병해 이력이 있어 흙이 오염된 것으로 의심되는 경우에는 살균제를 흙과 섞어 주는 것이 잔디 병해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살균제는 다양한 병해를 방제할 수 있는 아족시스트로빈입상수화제*(헤리티지)와 같은 약제를 2,000배(물 1ℓ당 약제 0.5g) 희석해 땅이 촉촉하게 젖을 정도로 골고루 뿌려주는 방식으로 사용한다.7월에 해줘야 하는 잔디 정원 처방이 있다면?한국잔디에 잦은 ‘라이족토니아 마름병’은 가을에 증상이 나타는데, 이때는 방제하기 이미 늦은 시기다. 병은 고온다습한 7월에 감염되기 쉬우므로 장마가 오기 전 약제 처리해 예방한다. 또한, 뿌리를 갉아 먹어 잔디를 고사시키는 굼벵이도 성장 초기인 7월이 살충제 효과가 가장 좋다.살균제는 아족시스트로빈 입상수화제(헤리티지), 아족시스트로빈과 프로피코나졸유제*(헤드웨이), 사이프로코나졸 입상수화제(센티넬) 등에서 하나를 사용한다. 굼벵이에는 티아메톡삼 입상수화제(플래그쉽)가 효과적이다.*입상수화제– 작은 덩어리 가루 형태로 물에 녹여 쓰는 약제 *유제– 약제 성분을 유성용제로 녹여 물에 쉽게 섞이도록 한 약제잔디 종류별로 잔디 제초제도 달리해야 하나?잔디 종류에 따라 사용 가능한 약제가 구분되어 있다. 한국잔디도, 서양잔디도 일부 약제에는 해를 입기도 한다. 따라서 약제 구입 시 약제상에게 적용할 잔디 종류를 정확하게 알려주고 추천받아야 한다. 예를 들어 선택형 제초제 ‘모뉴먼트’는 서양잔디에 사용할 수 없고, ‘테너시티’의 경우 한국잔디나 벤트그래스에는 백화현상을 나타낼 수 있다.(좌) 라이족토니아 마름병에 걸린 잔디(위)와 그 균(아래). 주로 여름에 감염되기 쉽다. / (우) 고온다습한 장마철이 오기 전 미리 살균제를 도포해 감염을 예방한다.제초제는 언제 써야 하고, 효과적인 시기가 있다면?잔디용 제초제는 잡초 기준으로 발생 전에 써야 하는 약제와 발생 전·후 모두 쓸 수 있는 약제로 나뉜다. 잡초 발생 전 처리제는 잔디 휴면기인 3월 말경에 사용한다. 한편 잡초 발생 전·후 모두 쓸 수 있는 약제라고 해도 보통은 발생 초기에 쓰는 것이 좀 더 효과적이다. 정원에서는 잡초 발아시기와 종류를 특정하기 어려워 잡초 발생 전·후 모두 효과 있는 약제를 사용하거나 두 종류 약제를 섞어 쓰는 것을 권한다. 한국잔디에는 선택형 제초제인 ‘모뉴먼트’에 추가적인 효과를 위해 디캄바(반벨), 벤타존+엠씨피피 액제(밧사그란엠60) 등을 섞어 쓰는 것을 권장한다. 단, 디캄바는 나무에 약해를 줄 수 있어 나무가 없는 곳에서만 사용해야 한다.제초제를 써도 잡초가 안죽는데 무슨 문제인가?우선 그 잡초에 효과가 있는 제초제인지 확인해본다. 그 다음, 사용 시기를 따져본다. 대부분 2~3주 후에 약제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사용한 지 얼마 되지 않았다면 여유를 갖고 지켜봐야 한다. 약효가 있어야 하는 잡초인데 그럼에도 효과가 없다면 잡초가 너무 큰 상태거나 단위 면적에 충분한 양이 사용되지 않아서일 수 있다. 시기적으로 잡초가 성장할 여름~초가을에 효과가 약할 수 있는데, 이때는 벌초하고 사용하면 기대한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좌) 굼벵이와 같은 충해에 효과적인 약제 ‘플래그쉽’ / (우) 약제를 도포할 때는 정량을 희석해 고루 분포해야 더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성장을 억제해 잔디를 덜 깎게 하는 약제도 있다는데잔디의 지상부(잎) 생장을 억제하고 줄기와 뿌리를 강화하는 약제들을 생장조정제라고 한다. 한국잔디에는 트리넥사팍에틸 액제(래스모맥스)가 있으며 잔디 종류에 따라 작용하는 약제가 조금씩 다르다. 처음 사용 시에는 권장량의 절반~1/3 정도만 처리하고 생육 상태를 보면서 다시 자라기 시작할 때 권장량을 재처리하는 방식으로 사용한다. 시기는 보통 장마 전(6월 중하순)과 7월 하순~8월 중순에 처리한다.여러 약품을 혼용해도 괜찮나?약제의 일부는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오히려 약제상에서는 혼합 사용을 추천하기도 한다. 약제 제조사도 해당 제품의 혼용가부표를 홈페이지 등에 게재하고 있다. 만약 제시되지 않은 혼용이라면 눈에 띄지 않는 일부분에 시험 해보고 사용할 것을 권한다. 다만, 애초에 전문가의 추천을 받지 않은 혼용은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니 지양하는 것이 좋다.약제가 다른 작물에 피해를 주지는 않나?대부분의 잔디용 살균제나 살충제는 다른 작물에 해가 되는 일이 드물다. 일부 해가 우려되는 경우에는 분무기 노즐에 갓을 씌워 약이 튀지 않도록 주의해 처리한다. 때때로 약제가 빗물에 쓸려 내려가면서 다른 작물이나 나무에 해를 줄 수도 있는데, 날씨가 며칠간 맑을 것으로 예상되는 시기를 선택해 처리하는 것도 방법이다.취재협조_신젠타코리아㈜1588-3889|www.syngenta.co.kr취재_신기영
전원속의내집
조회 16,955
인기
2018.06.20
초보 건축주를 위한 친절한 구조 공부 ① / 책상을 보면 목조주택이 보인다
적게는 수천만원, 많게는 수억원까지 드는 건축비를 두고 과연 어떤 공법의 집을 지어야 할지 고민하는 독자를 위해 집의 뼈대가 되는 골조를 쉽게 이해해 보는 시간을 가진다.건축의 공법은 콘크리트, ALC, 경량철골(스틸스터드), 목조, 조적조, H-BEAM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이 모든 명칭은 구조 즉, 집의 뼈대가 되는 골조가 무엇인지에 따라 붙여진 이름이다. 골조는 매우 중요하다. 내외장재나 단열재류는 추후 교체가 가능하지만, 골조는 대수선 공사를 하기 전에는 변경이 쉽지 않으며 많은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어떤 공법을 적용하여 시공할 것인지 공법 선정에서부터 시작해 디테일한 설계, 그리고 규정과 시방서를 준수한 시공을 할 수 있도록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이러한 준비가 갖춰진다면 어떠한 공법으로 시공한다 하더라도 튼튼하고 보기 좋은 집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번 칼럼은 목조주택의 기본 원리를 쉽게 전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과정에서 어쩔 수 없이 다뤄지는 ‘구조역학’의 개념 역시 일상생활과 연계해 쉽게 설명하고자 한다.목조주택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된다. 투바이(2인치 두께의 구조목) 목재와 OSB합판을 이용한 경골목구조(Light Weight Lumber Structure)가 첫 번째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기둥과 보를 사용하여 프레임 형태로 건축하는 중목구조(Heavy Timber Structure)이다.경골목구조와 중목구조의 차이위에 두 종류의 책상 그림이 있다. 왼쪽은 책상 상판을 양쪽 집성판재로 지지하고, 우측은 각재가 지지하는 형식이다. 책상 상판을 2층 바닥이라고 가정해 본다면 건축물의 지지원리와 별로 다를 것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경골목구조는 왼쪽 책상처럼 벽이 힘을 지탱하는 구조로 투바이 목재와 OSB를 구조재 삼아 못과 결합철물로 시공된다. 1795년 제이컵 퍼킨스(Jacob Perkins)가 못을 생산하는 기계를 발명하면서 시작되었고, 1869년 남북전쟁 이후 전쟁 복구를 위해 본격적으로 발전하였다. 이 구조는 벽이 하중에 저항하는 내력벽 형식의 건축이며, 미국과 캐나다 등에서 매우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매뉴얼화한 건축 공법이다.< 경골목구조 = 벽이 수직・수평 하중을 지탱하는 방식 >내력벽과 전단벽 : 내력벽은 수직하중에 저항하는 벽이며 전단벽은 수평하중에 저항하는 벽체 구조를 일컫는다.중목구조는 오른쪽 책상처럼 기둥과 보가 하나의 구조체를 만들어 힘을 지탱하는 구조다. BC 4,500~3,000년의 유적에서도 이 구조가 발견된 것으로 보아, 인류의 최초 목조건축 방식으로 추정된다. 로마시대 전쟁의 역사 속에서 많은 건축물과 목교를 건설하면서 이러한 기술이 발전을 거듭하고, 장부맞춤(Mortise and Tenon)의 짜임 방식이 실제 건축에 적용되었다고 알려져 있다.중목구조 방식은 이후 미국으로 전해졌고, 우리나라의 한옥 구조 역시 중목구조에 속하며 중국에서 우리나라를 거쳐 일본에 전해졌다고 한다. 요즘 일본식 중목구조가 많이 선보이는데, 우리가 전해준 기술을 다시 우리가 수입하는 모습이다 보니, 공학자 입장에서는 안타까운 일이다.중목구조의 주요 구조부재는 보와 기둥이며 접합부는 짜임형태(Mortise and Tenon)와 볼트나 리벳을 사용하여 스틸 플레이트(Steel Plate)와 결합하는 방식이다. 인테리어 측면에서 보면 경골목구조는 실내에서 목재가 노출되지 않지만, 중목구조는 기둥과 보를 드러내 목재 본연의 미적 요소를 활용할 수 있다.그럼 과연 어떤 구조가 좋을까?필자의 의견은 ‘모두 똑같다’이다. 흔히들 콘크리트주택과 목조주택을 비교할 때 콘크리트주택은 튼튼하고 오래가는데 건축비가 많이 든다고들 한다. 반면에 목조주택은 친환경적이고 평당 건축비가 저렴하지만 화재에 취약하고 내구성과 내후성(부식)이 약하다고들 말한다. 또한 중목구조가 튼튼하고 좋기는 한데 건축비가 비싸다고 말한다.엄밀히 말하면 이것은 맞기도 하고 틀리기도 하다. 공법이라는 것은 이미 오랜 세월에 걸쳐 그 안정성이 입증된 것들만 살아남아 현대에 존재한다. 따라서 소규모 개인 건축물을 놓고 본다면 평면 계획과 입면 계획에 따라 그것에 적합하고 경제적인 공법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합리적일 뿐이다.기둥 사이의 경간 거리가 길고 높은 공간을 연출해야 한다면중목구조가 적합할 것이고, 그다지 크지 않은 공간이라면 경골목구조도 적합할 것이다. 필요하다면 이 두 가지 공법을 혼합한 구조도 무방하지 않을까? 그 예가 국립산림과학원에서 발표한 한국식 중목구조 공법으로 아래 이미지와 같다.구조설계, 구조공학, 역학. 참 딱딱하고 어려운 단어들이다. 예비 건축주들은 ‘내가 집을 지으면서 과연 이것까지 알아야 하나?’ 반문이 들 것이다. 그러나 물건 하나를 사고팔 때도 우리는 그 물건에 대해 어느 정도의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좋은 물건을 택할 수 있다. 집을 지을 때도 마찬가지다. 건축에 앞서 특정한 공법을 선택해야 할 때, 또는 공사 중간에 의문이 들 때 구조역학의 원리를 이해하고 있다면 중요한 결정을 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건축과 관련된 설계 규정이나 시공 기준들은 모두 역학의 기반 위에 제정되고 시행된다. 우리나라는 대부분 미국과 유럽, 일본의 시방을 인용하거나 참고해 기준이 만들어졌고, 국내 실정에 맞게 일부 조정을 거쳐 제시하고 있다. 최근에는 『소규모건축구조기준 목구조』를 신설하여 입법 예고한 상태인데, 건축주나 설계 시공자 입장에서는 환영할 만한 정부 조치로 판단된다. 예비 건축주라면, 구조 기준 정도는 한 번쯤 직접 읽어 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국토교통부공고 제2018-243호)‘하중의 합 = 지내력의 합’이 되어야 한다.우리는 평소 지구의 중력을 느끼고 살까?구조역학이란 쉽게 말하면, 힘의 평형을 찾는 과정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어떤 물체가 지구의 중력 때문에 생기는 누르는 힘과 이를 지탱하기 위해 물체 내부에 생기는 저항력이 서로 균형을 이루는 지점을 찾아내는 것이다. 건축물 전체로 보면 건축물 자체의 무게로 지반을 누르고 있으며 이에 대항하여 지반은 자신의 강성으로 건축물을 지탱한다. 이 저항력을 ‘지내력’이라 한다.이처럼 구조설계란 구조체에 적용되는 힘의 원리를 역학이란 이론으로 수치화하고 정량한 것으로, 구조체의 안전을 위해 재료 선정, 구조 형상, 부재 치수를 결정하는 것이다.다음 회에는 간단하고 알기 쉬운 역학의 기본 원리를 알아볼예정이다. 학창시절 배운 뉴턴의 법칙을 생각하며 접근하면 더욱 쉽게 느껴질 것이다. <다음 호에 계속…>연재순서01 경골목구조와 중목구조의 이해 02 간단한 구조역학 이론과 목재의 특성에 관해 03 공학목재, 그리고 트러스와 아치의 미학 04 중목구조 주요 접합부의 디테일 05 개인 공구로 짜임식 미니하우스 만들기글쓴이_ 김창환토목직 공무원을 시작으로 건설업체에서 25년 동안 구조물의 설계와 시공을 맡아 왔다. 서울시립대 대학원에서 토목 공학을 연구하고 구조진동과 파괴역학을 주제로 공부해 왔다. 현재 글루램을 활용한 장경간 네트워크 아치교의 설계와 시공 논문을 집필 중이며, 일산에서 건축공방 나무를 운영 중이다. http://blog.naver.com/kline352001취재_ 이세정 | 사진_ 변종석※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전원속의내집
조회 16,724
인기
2018.06.18
벽에 붙이는 변기, 멋있긴 한데 하자는 없을까요?
취재 신기영 일러스트 라윤희GOOD IDEA▶큰 부피를 차지하는 물탱크와 바닥의 배수구가 벽에 매립되어 있고, 바닥에 변기가 닿지 않아 공간이 더 넓어 보이는 효과가 있어요. 바닥 타일과 벽 마감재를 시공할 때도 끊기지 않으니까 깔끔하고요. 배관이 바닥이나 천장을 지나지 않아 층고도 더 활용할 수 있어요.▶요즘처럼 층간 소음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클 때는 소음 감소 효과를 간과할 수 없죠. 변기 배관이 아랫집 천장을 통과하는 통상적인 욕실의 소음이 약 60dB 정도인데, 벽부형 변기로 교체하면 이 소음의 약 1/4 정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기존 기성품 변기는 바닥으로부터의 높이가 정해져 있다 보니 변기에 사람이 적응해야 하는데, 벽부형 변기는 높이 조절이 수월해 사용자에 맞춰 설치할 수 있어요.▶바닥 배관이나 지지하는 부분에 의해 바닥이 막혀있지 않아 청소가 무척 편리해요. 또, 배관 측면에서도 물이 고일 수 있는 부분이 적기 때문에 냄새 역류 가능성이 낮은 편이고요.BAD IDEA▶ 배관 공사가 상대적으로 복잡한 편이에요. 만약 누수가 발생하면 벽체가 바로 오염될 수도 있고요. 벽부형 변기를 고를 때 점검용 패널을 지원하는 모델을 염두에 둬야 합니다.▶ 목조주택이라면 바닥없이 벽체에 무게 전부를 의존하는 특성상 장기적으로는 구조에 피로가 쌓여 처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요. 전문 기술자의 수시 조정이 필요한 부분이고, 조정이 없다면 누수로도 이어질 수 있죠. 처음 설계 시부터 적용을 염두에 두고 보강 시공도 이뤄져야 해요.▶ 일반 변기에 비해 변기 자체의 가격이 비싼 편이에요. 시공비도 마찬가지로 다소 비싸고, 일반 변기에서 벽부형으로 바꾸는 경우라면 파이프 위치도 옮겨야 해 추가비용이 만만치 않아요. 만약 변기를 바꿀 계획이라면 화장실 전면 리모델링을 겸해서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벽부형 변기 자체가 상대적으로 고급형이기 때문에 부수적인 기능이 추가되어있는 제품이 많아요. 불필요하게 많은 기능은 시간이 상당히 지나면 유지·관리가 어려워지고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월간 전원속의 내집 2018년 6월호 / Vol.232 www.uujj.co.kr
전원속의내집
조회 7,966
인기
2018.05.29
7월부터 다가구, 연면적 200㎡ 초과 건물 직영 시공 못한다
건축물 관련 규제가 갈수록 엄격해지고 있다. 현장관리인 배치제도, 내진 설계 의무화에 이어 이번에는 건축주 직영 시공 범위가 대폭 축소되었다. 어떤 점이 가장 달라졌는지, 공사 계약 시 건축주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알아봤다.취재 조성일작년 1월 발의된 건설산업기본법 개정안이 지난 12월 통과되었다. 개정안에는 연면적 200㎡(약 60평)를 초과하는 건축물, 그 이하라 하더라도 다중·다가구주택 등을 포함해 임대 및 분양을 목적으로 하는 건축물은 건축주 직영 시공을 금지한다는 조항이 포함되어 있다.이 개정안은 오는 6월 27일부터 시행된다. 잇따른 지진과 화재 발생 시 사고를 키운 원인으로 건축물의 부실시공이 지목되며, 계속해서 지적받아 온 건축물 안전문제의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린 것으로 보인다. 이전에는 주거용 건축물이라면 661㎡(약 200평), 비주거용 건축물이라면 495㎡(약 150평)까지는 건축주 직영 시공이 가능했다. 건축주 직영 공사는 전반적인 공사 프로세스와 현장 상황, 비용문제 등을 잘 안다면, 유용하고 합리적인 집짓기 방식이 될 수 있다. 우선 부가세 절감과 고용·산재 보험료 요율 혜택을 볼 수 있고, 각종 공사비용과 자재값을 건축주가 직접 일일이 지급(심지어 근로자의 고용·산재 보험료까지)한다는 부분에서는 투명성도 일부 보장되기 때문이다.반면 도급공사는 시공사와 계약을 맺어 일괄 진행하는 방식으로, 설계도면을 기준으로 견적을 받아 금액이 책정되면 그 금액 내에서 시공사가 책임을 지고 건물을 완성해야 한다. 건축주가 신경 쓸 점이 상대적으로 적고, 하자이행보증증권을 발행 받을 수 있어 하자 발생 시 책임을 물을 수 있다.부가세 10% VS 하자이행보증증권문제는 건축시장은 일반 계약이나 거래와 달리 정보의 비대칭성이 심해 문서상 건축주가 ‘갑’이라고 하더라도 공사에 대한 이해도가 상대적으로 부족할 수밖에 없는 한편, 비용은 상당히 높은 기형적인 시장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건축주는 신뢰할 만한 전문가 또는 시공사와 직영 공사로 계약을 한 후, 본인을 대신하는 전문가에게 일을 일임하고 부가세 10%를 절감하는 방식으로 절차를 밟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예를 들어 공사비가 3억원이라면 3천만원을 아낄 수 있으니 그 돈으로 자재의 스펙을 업그레이드하는 식이다.그러나 이는 곧, 행정 서류상 ‘시공자’가 건축주이고 만에하나 생길 사고나 하자 발생 시 그 책임은 시공자인 건축주에게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신뢰도가 곧 평판인 업계이기 때문에 문서와는 별개로 A/S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공사도 적지 않다. 그러나 건축주가 충분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음을 악용한 비양심적인 시공자들도 존재한다. 이에 정부가 문서의 효력이 없어 생기는 부실시공의 확률을 제도적으로 줄이고자 직영 시공의 범위를 대폭 축소한 것으로 해석된다.따라서 연면적 200㎡이 넘는 건축물(단독주택 포함), 그 이하라도 다중·다가구주택을 짓고자 하는 건축주는 도급계약방식 절차를 밟아야 한다. 도급계약은 종합건설업면허를 가진 시공사만이 체결할 수 있다. 계약금액이 정해진 도급계약에서는 시공 견적을 얼마 꼼꼼하고 자세하게 작성해주는지가 신뢰의 기준이 된다. 따라서 시공사 선정 시 비교 견적을 통해 신중하게 골라야 추가공사로 인한 예상치 못한 비용 발생을 막을 수 있다.종합건설업(건축공사업) 면허 취득요건자본금 : 법인 – 5억 원, 개인 - 10억 원 이상기술능력 :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건축 분야의 건축기사 또는 「건설기술진흥법」에 따른 건축 분야의 중급 이상의 건설기술자인 사람 중 2명을 포함한 건축 분야 초급 이상의 건설기술자 5명 이상 기타 요건 : 사무실(공간)도급계약 시 건축주는 계약서와 특약사항 챙겨야계약은 국토교통부에서 고시한 ‘민간건설공사 표준도급계약서’에 따른 진행이 권장된다. 계약서는 일반조건 1부와 공사계약 특수조건(특약 사항), 설계서 및 산출내역서 1부를 포함한다. 계약금은 정확하게 기입하고 추가공사 발생 시 별도의 계약서를 새로 작성해야 한다.계약금 및 선금 지급 시에는 업체로부터 보증서를 반드시 받아두어야 한다. 하자보수보증금률은 보통 3%로 책정하며, 하자담보책임 기간은 건설공사의 종류와 구조 등에 따라 다르므로 건설산업기본법 기준에 따른다. 일반조건만큼이나 특약 사항도 꼼꼼히 챙겨야 한다. 계약 이행증권의 비율과 기간, 하자이행보증증권 및 공사 잔금 제출 시기, 재하도급 금지 조항, 설계도면 및 내역서와 실제 시공상 오류 발생 시 처리 방법 등 처음엔 불편할 수 있지만, 문서로 꼼꼼히 남겨야 추후 발생할 문제의 소지를 줄일 수 있다.▶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1027호 민간건설공사 표준도급계약서공인된 전문가에 의한 건축 시공을 목적으로 시행되는 법인만큼 환영의 목소리가 높은 한편 당분간은 불안정한 과도기를 거칠 것으로 예상된다. 일단 상당수 건축주는 10%의 부가세를 피하기 위해서라도 연면적 200㎡를 넘지 않는 규모로 집을 지을 확률이 높다. 단독주택처럼 규모가 작고 이익이 크지 않은 건물은 종합건설사에서 시공을 꺼리는 경향도 있어, 종합건설업 면허를 대여해 계약하는 부작용도 예상된다. 하지만 이는 명백한 불법이며 건축주의 건축비용을 증가시키고 공사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므로 종합건설업면허 취득회사와 시공사가 동일한지 꼼꼼히 체크해야 할 것이다. 한편으로는 전문건설업자들이 이합해 별도의 종합건설업 회사를 새로이 차리는 등의 시장 재편의 움직임이 있을 것이라는 목소리도 있다. 안전과 디자인의 중요도가 높아지는 현재의 건축 시장에서 점점 강화되는 규제의 중심에 있는 이번 개정안이 저가 시공과 분양을 목적으로 하는 부실시공을 타개하는 해법이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월간 전원속의 내집 2018년 6월호 / Vol.232 www.uujj.co.kr
전원속의내집
조회 10,193
인기
2018.05.14
목조주택 찰떡궁합 단열재 불에 타지 않는 유리섬유(Glasswool)
외풍 없고 따뜻한 집을 책임지는 1순위 자재가 바로 단열재입니다. 그러나 꼭 놓치지 말아야 할 점이 바로 화재 안전성입니다. 목조주택에서 가성비 좋은 불연 단열재로 알려진 유리섬유, 그라스울에 대해 알아봅니다.지난겨울 유독 대형 화재 참사가 많았던 걸 기억하십니까? 의정부 아파트 화재, 분당 학원건물 화재,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사건 등 우리의 마음을 아프게 하고 나와 내 가족도 희생자가 될 수 있다는 불안감에 휩싸이게 했던 여러 일이 있었습니다. 이들 참사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된 것이 드라이비트 공법입니다. 흔히 ‘스터코’로 부르고 있는 이 공법은 건물 외벽에 스티로폼 단열재를 붙인 뒤 매쉬 작업을 하고 미장 마감재를 뿌리거나 발라 완성합니다. 단열 성능이 뛰어나고 비용이 저렴해서 몇 년 전부터 건축주들이 많이 찾고 있는 외장 마감자재입니다. 하지만, 요즘처럼 대기질이 나쁜 시즌에는 너무 빨리 오염되고, 무엇보다 화재에 취약한 것이 단점입니다. 스터코 자체가 가연성 물질이기도 하지만, 바로 스티로폼으로 알려진 발포폴리스티렌 소재의 EPS, XPS 등이 문제입니다.EPS는 물에 젖을 수 있고 XPS는 거의 물에 젖지 않습니다. 단열재는 물에 젖으면 물과 같은 열전도율을 갖게 되어 단열재의 역할을 거의 할 수 없기 때문에 최근에는 EPS보다는 흔히 ‘아이소핑크’라고 부르는 핑크색 XPS 단열재를 많이 사용합니다. 단열 기능은 나쁘지 않으나 목조주택에 함께 사용할 경우, ‘타이벡’이라 불리는 투습방수지의 투습 기능을 막아 구조벽의 내부에서 습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해하고, 무엇보다 화재에 취약한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목조주택에는 콘크리트 기초 부위에 주로 XPS를 사용하고, 스터드 사이에 유리섬유 단열재를 시공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습니다. 그럼, 유리섬유 단열재가 무엇이고,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내벽 스터드 간격 사이에 맞춰 그라스울을 시공하는 사진. 현장에서 빈틈 없이 꼼꼼히 채우고 습기 제어를 잘하는 것이 추후 단열 성능을 크게 좌우한다.압축과 복원력이 뛰어나 보관이나 이동이 간편하다.유리에서 실을 뽑아 뭉친 섬유 단열재유리섬유는 말 그대로 유리로 만든 섬유입니다. 누가 유리로 섬유를 만들 생각을 했을까요? 오래 전부터 유리섬유는 도자기류의 장식으로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나, 유리섬유라고 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제품은 1893년 컬럼비아 박람회에서 오엔스리피 유리회사가 유리섬유로 만든 옷입니다. 처음에는 유리에서 실을 뽑아천을 짤 수 있지 않을까라는 누군가의 호기심에서 시작되었으나 유리섬유는 보온, 흡음, 여과 등 여러 장점을 가져 오늘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유리섬유를 만드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녹인 유리를 물리적으로 잡아당기는 방법, 뜨거운 공기나 수증기로 날려버리는 방법, 원심력을 이용해 날려버리는 방법 등으로 가느다란 섬유를 만듭니다. 유리섬유의 섬유는 가늘수록 인장강도는 강하고, 열전도율은 낮아지기 때문에 섬유를 최대한 가늘게 만들어 냅니다. 이렇게 뽑아낸 섬유를 솜 형태로 만든 단열재가 바로 유리섬유 단열재입니다. 그래서 유리섬유 단열재를 보면 그냥 솜을 뭉쳐 놓은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근본이 유리인지라, 브랜드에 따라 다르지만 만지면 엄청 따가울 수 있습니다.▶ 그라스울에 불이 붙으면 타지 않고 서서히 녹게 된다. 실제 영상은 좌측 QR코드로 볼 수 있다단열과 차음, 불연 성능 뛰어나 인기유리섬유 단열재는 내부에 미세한 공기층을 촘촘히 확보해 열의 이동경로를 차단합니다. 특히 목조건축용 제품은 용도 및 사용처 별로 단열값이 다른 규격 제품이 생산되어 가장 효율적인 단열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습니다. 공기층 덕분에 소음을 흡수하는 능력도 뛰어나 차음이 필요한 곳에도 제격입니다. 압축과 복원력이 좋아 롤형태로 말아 운반·보관·관리하고, 현장에서 칼이나 가위로 쉽게 자를 수 있어 시공성도 뛰어납니다. 또한, 최근 가장 주목받는 장점은 불연성이라는 점입니다. 무기질인 유리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불에 타지 않고 유독가스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불이 붙으면 타는 것이 아니라 서서히 녹기 때문에 불의 확산을 늦춰 사람이 대피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확보해주는 것입니다.요즘처럼 재활용 쓰레기 처리의 문제가 사회 이슈로 대두되는 시대에 폐유리를 재활용해서 생산하기 때문에 매우 친환경적인 자재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석면과 달리 인체에 무해한 물질유리섬유 단열재는 종종 석면과 같은 것이 아니냐는 오해를 받습니다만, 결론부터 말씀 드리면 1급 발암 물질인 석면과는 전혀 다른 물질입니다. 석면은 그 결정이 1㎛ 이하까지 매우 가늘게 갈라지기 때문에 폐에 흡입되기 쉽고 폐포에 박혀 암을 유발하게 되지만, 유리섬유는 평균직경이 5㎛ 이상으로 폐에 흡입될 수 없습니다. 석면은 가늘게 세로로 쪼개지지만, 유리섬유는 가로로 끊어지기 때문에 직경이 줄어들지 않습니다. 설사 사람의 호흡기에 들어간다. 하더라도 체내에서 쉽게 용해되어 단기간에 체외로 배출되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하다 할 수 있습니다. 바닥 온돌공사를 하지 않는 경우, 지붕뿐 아니라 2층이나 다락방 바닥 단열재로 그라스울을 취부하기도 한다.그라스울이 벽체에 시공된 모습. 수분이 스며들지 않도록 투습방수지를 설치해야 한다.제대로 된 성능 위해서는 습기 제어가 관건유리섬유 단열재는 유리로 만든 ‘솜’입니다. 그래서 당연히 습기에 취약합니다. 만약 유리섬유 단열재가 물에 젖는다면 어떤 현상이 발생할까요? 물에 젖은 솜은 무거워져서 아래로 점점 처지게 될 겁니다. 그렇게 되면 벽체 상단은 단열재가 없는 상태가 되고 벽체 하단은 물에 젖은 유리섬유 단열재가 벽체를 채우게 되는데, 물에 젖은 솜은 열전도율이 물과 같기 때문에 단열이 안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뿐만 아니라, 단열재에 스며든 습기가 목재로 만든 벽체를 썩게 만들겠죠? 때문에 투습방수지같이 공기는 통하지만, 물은 스며들지 않게 하는 보호자재가 필수입니다.현재 국내 유리섬유 단열재는 여러 브랜드가 유통되고 있습니다. 성능에는 큰 차이가 없으나, 특성에는 조금씩 차이가 납니다. 물이 침투하지 못하는 제품, 따갑지 않은 제품, 폼알데하이드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 제품 등으로 특징을 나눌 수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뿌리는 형식의 시공방법을 쓰는 제품도 나와 있습니다. 현장의 단열 기준값에 맞춰 두께와 밀도를 계산해 적용하면 되겠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기초자재 중 하나인 투습방수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다음 호에 계속… >취재협조_ 홈우드 031-284-5885, www.homewood.co.kr구성_ 이세정 | 일러스트_ 라윤희ⓒ 월간 전원속의 내집 2018년 5월호 / Vol.231 www.uujj.co.kr [이 게시물은 전원속의내집님에 의해 2018-05-14 17:23:53 HOUSE에서 이동 됨]
전원속의내집
조회 12,096
검색
처음
1
페이지
2
페이지
3
페이지
열린
4
페이지
5
페이지
6
페이지
7
페이지
8
페이지
9
페이지
10
페이지
다음
맨끝
검색
게시물 검색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필수
정기구독 신청
Guest
로그인
회원가입
쇼핑몰
HOUSE
LIVING & DECO
CULTURE
설계제안
아이디어
분양정보
업체정보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