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가의 좌충우돌 다가구주택 짓기 01 > REPORT

본문 바로가기


건축가의 좌충우돌 다가구주택 짓기 01

본문

Vol. 182-14 / 전원속의 내집

우리 시대 의 가치가 변하고 있다. 혼란스러운 부동산 시장에서 진정한 내 집 마련의 의미, 그리고 정답은 아니지만 하나의 방법으로서의 가이드를 제시한다. 직접 땅을 사고 설계에서부터 시공까지 모든 과정을 직접 경험한 한 건축가의 집짓기 수기, 그 좌충우돌 분투기가 지금부터 펼쳐진다.   

   

곽은선 건축가  정리 편집부 

    

385b46921abbebd79836eece3fee41c1_1462787
 

 

집 값 상승세의 종점이 머지않았음을 예측한 3년 전,

우리 가족은 내 집 마련을 위한 준비를 시작했다

 

한 아이의 엄마이자 야근과 철야를 밥 먹듯이 하는 일하는 여성, 그리고 온전히 우리의 힘으로 집을 마련해야 하는, 우리 주변의 평범한 가정 속에 내가 있다.

아이가 초등학교에 들어가고 이제 진짜 내 집을 마련해야 하는 시기가 왔고, 우리 가족은 아파트를 살 것인가 말 것인가 하는 고민에 빠졌다. 설계를 하는 건축가로서 획일적인 아파트는 이미 예전부터 그 가치 이상의 과잉가격으로 거래되고 있다고 생각해 왔다. 설령 지금 아파트를 사더라도 30년 후 배관이 낡거나 내외부가 노후화되어 리모델링이나 재건축을 하게 된대도 소위 이 안 되기 때문에 대형 건설사들이 이 일에 뛰어들기 힘들다는 판단이 들었다. 만약 재건축을 하게 되더라도 각 세대가 부담해야 하는 비용도 상당할 것이었다. 무엇보다 지금 당장은 경제활동을 하고 있지만 30년 후 노인이 된 주민 대다수가 마음이 맞아 아파트를 고쳐가며 살 수 있을까? 30년 후 슬럼화 될 가능성이 큰 아파트 장만을 위해 전 재산을 쏟아 붓고, 거기에 대출금을 갚기 위해 10~20년의 삶을 은행에 저당 잡혀 살고 싶지는 않았다. 게다가 내가 내는 돈의 상당 부분은 건물의 가치가 아닌 건설사 영업의 꽃인 아파트 브랜드의 가치 아닌가!

 

 

아파트 전셋값으로 서울 시내 한복판에

내 집을 마련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싶었다

 

하지만 아파트가 아닌 대안으로서, 도시 거주자들이 건물과 땅에 어느 정도 지분을 가질 수 있는건 다세대나 다가구 뿐이다. 이들은 우리 도시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주거형태이지만, 저급한 재료를 사용하고 층간소음과 단열, 방수 등의 문제로 돈이 넉넉하지 않은 서민이 사는 곳이라는 사회적 인식을 지우기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었다. 건설업자의 돈벌이에, 건축주의 공사비 절감, 그리고 건축 설계자의 공장에서 찍어내는 듯한 설계의 삼박자가 지금의 주택가를 그곳에 살면 춥고, 가난하고, 아파트보다 열악한 주거로 사람들 머릿속에 심어 놓았다. 닭장 같은 아파트보다 드라마틱해야 할 그 공간을 열악한 환경으로 만든 현재 주택가의 모습에 우리 모두가 반성해야 한다.

그래서 나는 건축가로서, 한 가정의 구성원으로서 사회의 허리를 이루는 중류층과 서민이 따뜻하고 조용하게 살아갈 수 있는 내 집을 만들어야겠다고 다짐했다. 무엇보다 내 아이가 브랜드 아파트에 살지 않더라도 무시당하지 않고, 행복하게 추억을 쌓아가며 건강하게 커갈 수 있는 공간을, 아파트 전셋값으로 서울 시내 한복판에 마련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싶었다.

    

 

값싼 땅의 문제를 디자인으로 극복하다

 

그리하여 우리 가족 총 12, 3세대가 모여 사는 현대판 대가족이 서울 상도동에 자리를 잡았다. 아이의 육아를 위해 함께 거주할 시어머니와 남편의 외할머니, 그리고 큰시누이와 큰조카가 한 세대를 이루고, 우리 부부와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아들이 두 번째 세대를 구성한다. 마지막으로 둘째 시누이 부부와 세 명의 어린 조카가 세 번째 세대를 이룬다.

우리가 모여 살 집을 짓기 위해 1년간 땅을 알아보았고 2011년 말, 시세보다 저렴하게 상도동에 평당 850만원에 40평 대지를 사게 되었다. 대개 가격이 싼 땅은 그만한 문제가 있다. 이 땅도 좁고 길며 땅 면적이 너무 작았다. 철거 전 대지도 도로보다 3m 가량 높았기 때문에 사업성이 떨어지는 부지였다. 1년간 3번의 설계를 변경하며 매달린 끝에 이 땅에 딱 맞는 최적의 디자인을 만들어낼 수 있었다. 주택은 지하 1층과 1층의 절반을 사용하는 A세대, 1층의 절반과 2층의 절반을 사용하는 B세대, 2층의 절반과 3층을 사용하는 C세대가 내부 계단과 화장실 벽을 경계로 각각 완벽하게 구분되며 3세대 모두 복층형 구조를 갖는다. 또한 지하 1층이 도로에 면하여 전면은 온전히 외부로 개방할 수 있다

385b46921abbebd79836eece3fee41c1_1462786
    
  

A세대

지하층의 단점을 1층 테라스의 개방감으로 극복하다

385b46921abbebd79836eece3fee41c1_1462786
  

지하 1층에는 3대의 주차 공간과 A세대 시어머니와 시할머니의 방, 화장실, 거실 및 주방이 위치하고 내부계단을 통해 1층으로 올라가면 큰시누의 방과 그녀의 아들 방, 화장실이 위치한다. 지하층이 갖는 단점을 1층 테라스 공간과 시야의 트임으로 극복하고, 한 곳에서 식사를 하면서도 각 구성원들의 프리이버시는 존중될 수 있게 구성했다.   

 

 

B세대

두 층을 어긋나게 사용하며 다양한 공간을 연출하다

385b46921abbebd79836eece3fee41c1_1462786
 

주차장 후면에 위치한 외부계단을 통해 올라가면 B세대의 현관이 나온다. B세대는 1층에 거실 및 주방과 안방 1개가 위치하며, 내부계단을 통해 2층으로 올라가면 아이방과 서재가 나온다. 1층에 거실과 방과 연계되는 B세대의 테라스를 계획하였고, 2층의 서재에 외부 발코니를 계획하여 거주 공간을 내부에 한정하지 않고 외부까지 확장시켜 답답함을 최소화하려 노력하였다.

 

 

C세대

최상층의 이점을 살려 내부계단과 옥상을 적극 활용하다

385b46921abbebd79836eece3fee41c1_1462786
 

C세대는 외부로 돌아 계단으로 2층까지 진입하여 현관으로 들어서면, 2층에 현관, 거실 및 주방, 1개가 있고, 내부계단을 오르면 3층 방 2개와 화장실, 복도가 나온다. 최상층의 이점을 살려 내부 계단의 다양한 공간감과 3층 외부 옥상부를 자신만의 전용 외부공간으로 갖는다.

    

건축가가 먼저 공간을 좀 더 품위있게 접근한다면 
열악한 주택가 골목의 풍경이 바뀔 수 있지 않을까?
 

처음 생각한 금액보다 총 공사비는 증가되었다. 최고급 단열재의 사용, 관공서에서나 쓴다는 배관의 사용, LED 전등의 70% 사용, 층간 소음 방지재, 숯페인트 등 이유는 많다. 하지만 그렇게 했음에도 각 세대가 땅부터 완공까지 지출한 금액은 현재 서울 시내의 아파트 전세금 정도이다. 그리고 입주한 지 3개월이 된 지금, 다른 이들이 말하는 내 집 마련의 행복을 만끽하고 있다.  위층 형님의 세 아이와 우리 아이가 뛰어다녀도 시끄럽지 않고, 20평 밖에 되지 않지만 결코 좁게 느껴지지 않는 널찍한 공간감이 있다. 계단에 앉아 읽지 않던 책을 꺼내 읽는 아이를 볼 때마다 흐뭇함을 느끼고, 다양하되 지나치게 크지 않은 창문과 밖으로 비치는 하늘을 바라보며 그 동안의 고생을 잊어간다. 
‘집’은 누구에게나 소중하다. 우리 가족 삶의 추억을 담는 곳이고, 치열한 삶의 노고를 달래는 휴식 공간이다. 주거는 문화의 시작이다. ‘재테크의 수단’이나 ‘과시를 위한 집’ 의 시대는 지났다. 이제 주거 공간을 좀 더 품위 있게 접근해야 한다. 내 집부터 시작한다면 우리나라의 열악한 주택가 골목의 풍경이 바뀔 것이라는 믿음으로 이 프로젝트의 시작을 열어본다(다음호에 계속…).  


이 글을 쓴 이에스건축사사무소 곽은선 소장은 건축 17년차 베테랑 건축사이자 현재 충북대학교 건축학과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4년 서울의 흑석동 다세대 전셋집에서 신혼을 시작했고 10년간 다세대·다가구에 살며, 우리 시대 공동주거가 왜 이렇게 열악한지, 왜 사람들은 아파트라는 하나의 건축 유형에 자신의 전 재산과 인생을 저당 잡혀 살아가고 있는지 의구심을 가지고 주거 환경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해왔다. 결국 불혹을 앞둔 지난해, 시어머니와 시누이를 꼬드겨 서울 한복판, 상도동 국사봉 자락에 세 가구가 살 집 한 채를 짓기로 결심하고 일을 벌인다. 02-2611-7759 chobabb@hotmail.com

※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이 게시물은 전원속의내집님에 의해 2017-04-21 17:19:12 HOUSE에서 이동 됨]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인스타그램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