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제동 / 50㎡ 작은 집 > HOUSE

본문 바로가기


 

홍제동 / 50㎡ 작은 집

본문

Vol. 201-14 / 전원속의 내집

a729c4f01198c4a23b0c3364e77c5058_1519373 

“살면서 더 큰 집을 원하고, 이사를 하고, 더 많은 공간이 생기면 더 많이 채워 넣는, 그런 삶은 살고 싶지 않았습니다. 무의미하게 비워진 공간 없이 갖추어진 작은 집이라면 욕심을 버리고 살아갈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건축주가 노트에 손글씨로 꾹꾹 눌러 쓴 글이다. 결혼을 앞둔 예비 신혼부부가 집을 짓기로 한 이유는 여기서 시작된다. “방 두 개에 창이 큰 집이었으면 좋겠어요”, “25평 아파트보다 더 넓어 보이게 지어주세요”와는 전혀 다른 시작이다.
인왕산 북쪽 자락, 경사로를 따라 걷길 10여 분, 한쪽 코너에서 발견한 집은 하얀색 박스 위에 검정 박공집이 얹혀 있는 모양새다. 축대 위에 올라서 있어 고개를 들고 보아야 하지만, 실은 50㎡밖에 안 되는 작은 집이다.

 

 

a729c4f01198c4a23b0c3364e77c5058_1519373 

HOUSE PLAN
대지위치 : 서울시 서대문구  
대지면적 : 85㎡(25.71평)
건물규모 : 지상 2층
건축면적 : 44.30㎡(13.4평)
연면적 : 49.23㎡(14.89평)
건폐율 : 52.12% (법정 최대 60%)
용적률 : 57.92% (법정 최대 150%)
최고높이 : 8.35m
공법 : 기초 - 철근콘크리트 매트, 지상 - 경량목구조
구조재 : 벽 - 외벽 2×6 구조목 / 지붕 - 2×10 구조목
지붕마감재 : 골강판
단열재 : 그라스울 
외벽 마감재 : 스터코
창호재 : 융기드리움
설계 : OBBA 곽상준, 이소정 www.o-bba.com
시공 : TCM 글로벌 

 

 

a729c4f01198c4a23b0c3364e77c5058_1519373
도로와 도로 사이 틈에 자리한 주택은 마을의 시작을 환히 밝힌다. 재개발 논란이 많았던 낡은 동네에 새집이 들어서자, 오히려 젊은이들이 정착해 사니 좋다는 어르신들이 많았다는 후문이다.

 

 

INTERIOR SOURCE
내벽 마감재 : 도장
바닥재 : 구정 원목마루
욕실 및 주방 타일 : 윤현상재
수전 등 욕실 : 세면대 및 수전 - 로얄토토 / 양변기 및 기타 악세사리 - 대림바스
주방 가구 : 제작가구
조명 : 현관 펜던트 - 건축주 개별 구입 / 기타 조명 - 프로라이팅
현관문 : 리치도어
방문 : 제작목문
붙박이장 : 제작가구

 

a729c4f01198c4a23b0c3364e77c5058_1519373
현관으로 들어오면 각각 반 층의 단차를 두고 1층과 2층으로 갈라지는 계단실이 나온다. 하얀색 좁은 계단은 반려묘의 캣워크이다. 

a729c4f01198c4a23b0c3364e77c5058_1519373
​작은 집이지만 계단 하부를 이용해 만든 1층 세탁실과 욕실. 자투리 공간에 꼭 필요한 유틸리티 룸을 별도로 분리 구성해 살림으로 집이 번잡해지지 않도록 했다.

대다수 신혼부부처럼, 전세로 들어가서 내 집 아닌 불편함을 감수하며 2년, 또 옮겨서 2년 이렇게 사는 것보다는, 조금 단출하더라도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곳에서 살고 싶었던 부부. 결혼하고도 원래 살던 동네에 계속 살길 원했던 이들은 리모델링과 신축을 넘나들며 고민을 거듭했다. 집을 수소문하는 일과 동시에 매체를 통해 자신들과 코드가 맞는 건축가를 찾아 헤맸고, 여러 건축사사무소 문을 두드린 끝에 OBBA 곽상준·이소정 건축가와 연이 닿았다. 땅을 사기도 전부터 건축가와 메일을 주고받았다고 하니 그사이에 오간 이야기가 깊다.
제한된 예산과 삶의 방식을 고려해 결정된 면적은 ‘연면적 50㎡ 이하’. 주차장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규모다. 지금부터가 정해진 예산과 기간 내에서 면적과 구조, 디자인을 가감하는 건축가의 영민한 두뇌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골진 형태의 땅은 사면이 도로와 접해 있는 형태다. 대지의 높낮이 차도 무려 4m, 도로면으로는 1.8m 옹벽이 돋워져 있다. 건축가는 최소한의 토목공사로 지반을 다졌고 땅의 높낮이를 활용해 가장 높은 곳을 1.5층 현관 삼아 반 층씩 오르고 내리는 스킵플로어 구조로 동선을 짰다. 그래서 이 집은 땅의 가장 높은 부분에 현관이 있다.
1층은 현관과 계단실에서 90°로 꺾인 복도를 통해 작은 방과 큰 방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2층도 주방과 거실이 나란하다. 주방 밑에 작은 방이, 거실 밑에 안방이 있는 형국이다. 계단 하부는 세탁실과 욕실이, 주방 상부는 다락이 있어 어디 한 곳 빼놓을 것 없이 면적을 야무지게 활용했다.   그 구성이 마치 알이 꽉 찬 포도 같다.
“크지만 단조로운 공간이 있고, 작아도 풍요로운 공간이 있어요”
곽상준·이소정 건축가의 말처럼 집은 작지만 다양한 모습으로 풍성한 장면을 연출한다. 안방에서 내다보는 마당의 작은 평상이 여유롭고, 거실에서 바라보는 인왕산과 마을 풍경이 건축주 부부의 마음을 편안하게 한다. 솔바람 부는 여름날, 앞뒤로 문을 열어두면 집을 관통하는 바람이 코끝을 간질인다. 빔프로젝터가 있는 작은 다락에서 퇴근 후 영화 보는 시간이 기다려지고, 창을 통해 보는 풍경으로 하루를 마무리한다. 더 지을 수 있는 대지면적이었음에도 건축주의 흔들리지 않는 소신으로 지은 이 집은 부부에게 더할 나위 없는 만족을 주는, 작지만 풍요로운 보금자리가 되었다.

 

 

a729c4f01198c4a23b0c3364e77c5058_1519373
2층 주방에서 바라본 홍제동 옛 마을의 풍경. 건축주 부부가 시간을 가장 많이 보내는 곳이다. 이 풍경을 살리기 위해 거실을 2층에 배치했다.


a729c4f01198c4a23b0c3364e77c5058_1519373
PLAN – ATTIC / PLAN - 1F / PLAN - 2F

 

 

a729c4f01198c4a23b0c3364e77c5058_1519373
2층 진입부는 주방과 거실, 다락으로 오르는 동선이 겹친다. 슬라이딩 도어와 가변형 사다리로 필요에 따라 여닫고 오르내릴 수 있도록 했다.

 

 

INTERVIEW 건축가 곽상준·이소정

a729c4f01198c4a23b0c3364e77c5058_1519374

“내가 어떤 사람이고, 어떤 삶을 살길 원하는지 자신에게 질문하고 그 답을 찾는 게 중요해요.
그게 집짓기의 가장 기본이라고 생각해요”

Q 설계를 진행하며 발견한 홍제동 작은집의 건축적 의미는 무엇인가요
아파트로 획일화된 주거에 의미를 더하는 작업이라 뜻깊다고 생각했어요. 사실 대규모 필지는 이미 많이 개발됐고, 도심지 남은 이런 소규모 필지는 수지타산이 맞지 않는 땅들이죠. 건축가로서 이 땅에 어떤 해법을 제시할 수 있을지 궁금했어요. 이런 프로젝트가 많이 생기면 도심지 소규모 필지가 활성화되고 개발되면서 주거에 새로운 해법이 될 수 있지 않을까도 생각했고요.

Q 대지 상황을 보니, 쉽지 않은 땅이었을 것 같아요
도로로 둘러싸여 있고 높낮이 차이도 심해서 어찌 보면 열악한 대지라고 할 수 있었죠. 그걸 건축가가 건축적으로 어떤 해법을 제시하느냐에 따라서 이런 열악한 땅에서도 좋은 건축이 나올 수 있을 거라 생각했어요.

Q 건축주와 건축가의 궁합은 어땠는지 궁금합니다
건축은 시작에서 완성까지 설계자, 시공자, 건축주의 삼합이 정말 중요해요. 그래서 건축주가 자신과 맞는 건축가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해요. 그 관계가 진행 중 피드백이 오갈 때도 큰 영향을 미치죠. 그런 의미에서 홍제동 작은집의 건축주와는 궁합이 잘 맞았던 것 같아요. 무엇보다 자신들이 어떠한 삶을 살고 싶은지 명확했기 때문에 여러 어려움에도 흔들리지 않았어요.

a729c4f01198c4a23b0c3364e77c5058_1519374
​주방과 거실은 계단 3개 높이의 단차를 주어 공간 분리 효과와 함께 아일랜드 식탁·의자로 활용할 수 있게끔 했다.

a729c4f01198c4a23b0c3364e77c5058_1519374
​영화를 좋아하는 부부를 위해 다락을 미니 서재 겸 영화관으로 만들었다. 삼각형 박공면은 작은 스크린의 역할도 한다.

Q 예산을 절감하기 위해 고민한 것들이 있다면요
사실은 제한된 공사비 안에서 접근할 수 있는 재료가 많지는 않았어요. 우선, 목구조를 선택해서 비용적인 측면에서 이점을 봤어요. 목구조는 건식이니 겨울에 공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죠. 또, 건물과 어울리면서도 접근 가능한 재료로 저렴한 골강판을 선택했어요. 동네에 골강판으로 지붕을 덮은 집들이 꽤 있거든요. 처음부터 주변과 어우러지며 은은하게 스며드는 집을 원했으니 이 집에 잘 어울리는 재료라고 생각했고요.

Q 바닥재는 전체 공사비를 생각하면 조금 과하다 생각할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예산은 정해져 있는데 고집한 재료가 분명 있죠. 내부 바닥재는 상급 원목 마루로, 전체 공사비 대비 사양이 좋은 거였어요. 그런데 건축주가 필름이나 시트지 같은 인공적인 재료에 대한 명확한 의견이 있었어요.  ‘작지만 이 부분은 욕심이 난다’라면서요. 누군가에게는 그게 사치로 보일 수 있지만, 거기에 어떤 절대적인 건 없는 것 같아요.

Q 필요와 욕심은 어떤 기준으로 구분해야 할까요
집은 사는 사람에게 중요한 것이 정답이에요. 누군가에게는 작은집에서도 주방이 중요한 공간일 수 있고, 누군가에게는 예쁜 정원이 귀찮은 존재일 수 있는 거죠. 그래서 건축주는 내가 어떤 사람이고, 어떤 삶을 살길 원하는지 자신에게 질문하고 그 답을 찾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그게 집짓기의 가장 기본이라고 생각해요.
설계를 하다 보면 건축주들이 ‘이왕이면’이라는 말을 많이 하곤 해요. 이왕이면 옥상도 있었으면 좋겠고, 이왕이면 방 하나가 더 있었으면 좋겠다면서요. 하지만 그런 상황에 대비하려면 어디선가 예산과 시간을 빼와야 하는 ‘선택’의 문제가 생기곤 해요. 그러니 ‘내게 이것이 진짜 필요한가?’를 한 번쯤 생각해봐야 해요. 그 선택 과정에서 기회비용은 늘 존재하고, 무엇을 버릴까 하는 고민의 연속이에요. 물론 건축주마다 가치관이 다르니 버릴 것이 달라지겠죠.

Q 두 분이 생각하는 작은집이란
단순히 크기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진정으로 나에게 필요한 것이 적절하게 갖춰진 집이라고 생각해요. 이 집을 설계하며 우리는 종종 남에게 보이는 삶에 치중하진 않나 뒤돌아봤어요. 나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내가 무엇이, 왜 필요한지’ 고민을 거쳐 만들어진 집, 그게 진짜 작은 집, 최소의 집이 아닐까요.

※ 월간 <전원속의 내집> www.uujj.co.k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주택문화사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인스타그램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